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한국사회는 외국인과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가 : 이민 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시론

□ 국회미래연구원은 미래전략에 대한 심층분석 결과를 적시 제공하는 브리프형 보고서인 「국가미래전략 Insight」 제76호(표제: 한국사회는 외국인과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가: 이민 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시론)를 8월 28일 발간함

□ 저자인 이상직 부연구위원은 본 보고서에서 이민 정책의 방향을 찾기 위한 탐색 작업으로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 현황과 체류 맥락, 원주민의 인식 및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개괄함

□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초반에 외국인이 본격적으로 유입된 이래 2019년 250만 명 규모(전체 인구 대비 약 5%)에 이르기까지 외국인의 수는 꾸준히 늘었고 앞으로도 늘 것으로 예상되지만 외국인 정책의 기본 관점과 틀은 여전히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에 있음. 한국사회의 외국인 정책은 외국인노동자 정책과 다문화정책이 별개로 운영되는 구조로, 집단별·사업별로 분절화된 형태로 추진되었음. 이는 근본적으로 외국인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점이 외국인을 생산력(노동)과 재생산력(출산)을 제공할 도구로만 보는 관점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기인함. 이러한 접근법은 더 이상 정당하지도, 유효하지도 않을 것으로 전망됨

□ 이상직 부연구위원은 “이민정책 의제는 외국인을 더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에 전제된 도구화된·인종주의화된 가치와 이들을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자유주의적 가치, 민족국가 체제에 내재된 민족주의적 가치가 경합하는 복잡미묘한 상황에 놓여 있는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이민 정책 전담 부서를 설치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한국사회가 외국인과 어떠한 관계를 맺을지 그 방향과 관점을 설정하는 일”이며, “노동시장 차별 축소와 같은 한국사회 전반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구조를 바꾸는” 일이라고 주장함

 


[출처] ‘이민 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시론’ 발간 (2023.08.28.) / 국회미래연구원 보도자료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1. 들어가며 5

2. 한국의 외국인들 6

1) 비중과 추이 6

2) 체류 자격별 현황 8

3) 국적별 현황 10

4) 난민 현황 11

3. 그들을 부른 것은 한국사회다 12

1) 외국인 노동자: 산업연수생제에서 고용허가제로 12

2) 결혼이주자 14

4. 같은 외국인, 다른 정책 17

1) 외국인 정책 집행 구조 17

2) 외국인 정책 기본계획 18

5. 당위와 현실의 괴리 21

1) 한국인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21

2) 외국인에 대한 포용도 국제 비교 23

6. 한국은 다문화 국가가 될 수 있을까 25

참고문헌 27

판권기 2

〈표 1〉 국적(지역) 및 체류자격별 체류외국인 현황(2021) 9

〈표 2〉 난민업무 현황 - 난민인정 1차 심사 11

〈표 3〉 아시아주계 주요 국가별 결혼이주자 수와 성별 비중(2021) 16

〈표 4〉 외국인정책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1-3차) 20

〈그림 1〉 세계 주요 국가의 이주배경 인구 비중(2017년 또는 최근) 6

〈그림 2〉 체류 외국인 수(1998-2021) 7

〈그림 3〉 아시아계 주요 국적별ㆍ주요 체류자격별 체류 외국인 현황(2021) 10

〈그림 4〉 체류자격별 취업자 수(2012-2021) 14

〈그림 5〉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 혼인 건수(1993-2021) 15

〈그림 6〉 집단 구성원별 포용 정도(2013-2022) 21

〈그림 7〉 외국인 이민자ㆍ노동자에 대한 포용도 수준(2013-2022) 22

〈그림 8〉 포용도 국제조사 결과(국가별 종합 점수, 2018년) 23

〈그림 9〉 이주자를 한국인(민)으로 생각하는 수준(2018) 24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이민정책 # 재외동포 # 이주노동자 # 결혼이주자 # 외국인정책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