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3월 4일(미국 동부시간) 멕시코·캐나다·중국 등 3개국산 수입품에 대한 신규 관세 부과를 예정대로 시행함
- 이번 미국의 신규 관세는 불법 이민자와 마약 유입을 이유로 시행되었으며,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25%, 중국에 대해 10%(지난달 부과한 10%에 새롭게 추가) 세율로 적용됨
□ 캐나다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으로서 미국 동맹국이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임에도 신규 관세 부과 대상이 됨
- 이는 역시 미국의 동맹이자 FTA 체결국인 한국도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영향권에 있음을 보여줌
□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보다 생산원가가 저렴한 멕시코에 진출한 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이용해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해 온 한국 기업들에도 일정 타격이 예상됨
- 현재 한국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트랜시스 등 400여 개 기업이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음
□ 관세 부과 대상국인 멕시코·캐나다·중국은 자의적인 관세 부과에 강하게 반발하며 보복관세를 시작함
-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캐나다가 300억 캐나다 달러(약 30조 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즉각 부과한다고 발표함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우리는 미국의 결정에 관세·비관세 (투 트랙) 조처로 맞대응한다”면서 보복관세를 예고했으나, 구체적인 품목은 추후 발표하겠다고 밝힘
- 중국은 오는 3월 10일부터 첫 10% 닭고기, 밀, 수수, 대두 등 일부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추과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함

(출처: 연합뉴스)
- 이번 미국의 신규 관세는 불법 이민자와 마약 유입을 이유로 시행되었으며,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25%, 중국에 대해 10%(지난달 부과한 10%에 새롭게 추가) 세율로 적용됨
□ 캐나다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으로서 미국 동맹국이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임에도 신규 관세 부과 대상이 됨
- 이는 역시 미국의 동맹이자 FTA 체결국인 한국도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영향권에 있음을 보여줌
□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보다 생산원가가 저렴한 멕시코에 진출한 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이용해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해 온 한국 기업들에도 일정 타격이 예상됨
- 현재 한국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트랜시스 등 400여 개 기업이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음
□ 관세 부과 대상국인 멕시코·캐나다·중국은 자의적인 관세 부과에 강하게 반발하며 보복관세를 시작함
-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캐나다가 300억 캐나다 달러(약 30조 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즉각 부과한다고 발표함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우리는 미국의 결정에 관세·비관세 (투 트랙) 조처로 맞대응한다”면서 보복관세를 예고했으나, 구체적인 품목은 추후 발표하겠다고 밝힘
- 중국은 오는 3월 10일부터 첫 10% 닭고기, 밀, 수수, 대두 등 일부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추과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함

(출처: 연합뉴스)
해시태그
참고자료
- 동맹·FTA국가도 예외없다…美, 캐나다·멕시코에 25%관세 시행 (2025.03.04.) / 연합뉴스
- 美관세에 加·멕·中 보복관세 …'트럼프發 세계무역전쟁' 격화 (2025.03.05.) / 연합뉴스
- 트뤼도 "트럼프 관세는 어리석은 짓…WTO 이의 제기" (2025.03.05.) / 뉴시스
- 美, 관세 부과 만 하루도 안돼 “중간에서 만날 수도” 경감 시사 (2025.03.05.) / 국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