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내 접속 시 인터넷망을 이용해 주세요. #공기질 #대기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대기오염 2023 World Air Quality Report : Region & City PM2.5 Ranking SUMMARY - 글로벌 공기질 분석업체 아이큐에어(IQAIR)는 2024년 3월 「2023 세계 공기질 보고서」를 발표함. 보고서에 따르면 134개 국가 및 지역을 대상으로 작년도 초미세먼지(PM 2.5)* 평균 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WHO 기준치(연평균 5㎍/㎥)를 충족한 경우가 10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프랑스령 폴리네시아(3.2㎍/㎥), 모리셔스(3.5㎍/㎥), 아이슬란드(4㎍/㎥)가 공기가 깨끗한 지역 순위의 상위권을 차지함. 반면 대기오염이 심각한 곳은 방글라데시(79.9㎍/㎥), 파키스탄(73.7㎍/㎥) 등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많았으며,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100대 도시 중 99곳이 아시아권에 있었음. 한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19.2㎍/㎥로 전년(18.3㎍/㎥) 대비 소폭 상승하여 134개국 중 50번째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았음. |
*초미세먼지(PM 2.5): 입자 지름이 2.5㎛ 이하인 초미세먼지 |
| 동아시아 초미세먼지(PM2.5) 농도 현황 및 2023년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순위 |  |
- 동아시아의 경우, 2023년에 한국을 비롯한 중국, 대만, 마카오, 홍콩, 일본은 전년도 대비 연간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가 증가했지만, 몽골은 감소하여 공기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 최근 감소 추세였던 한국의 연간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023년도에 19.2㎍/㎥로 상승하여(전년도 18.3㎍/㎥) 공기질이 악화됨을 보여줌. |
| 한국 초미세먼지(PM 2.5) 농도 현황 및 최근 5년간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 |  |
- 위에 제시된 그래프는 한국의 주요 도시 중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및 울산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했으나, 대전은 유일하게 2023년 초미세먼지 농도가 감소함을 보여줌. |
- 한국의 대기오염은 주로 도시 차량 배출가스, 고비 사막에서 온 먼지와 모래, 그리고 석탄화력 발전소로 인한 것으로 분석함. 또한 한국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대기 오염 관리를 시행하고, 24개의 발전소를 천연 가스로 전환하며, 2034년까지 추가로 30개의 발전소를 폐쇄할 예정임을 언급함. |
- 발행처: European Policy Centreㅣ발행일: 2023-07 |
- 발행처: UNESCOㅣ발행일: 2024-03 |
- 발행처: 세계기상기구(WMO)ㅣ발행일: 2024-06 |
- 발행처: 미국 보건영향연구소(HEI), 보건계측평가연구소(IHME)ㅣ발행일: 2024-06 |
- 발행처: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ㅣ발행일: 2024-06 |
- 발행처: 경제·평화 연구소(IEP)ㅣ발행일: 2024-06 |
- 저자: 에릭 탈리아코초 지음 ; 이재황 옮김 - 발행사항: 책과함께(2024) |
- 저자: 이철희 - 발행사항: 위즈덤하우스(2024) |
- 저자: 제프 구델 지음 ; 왕수민 옮김 - 발행사항: 웅진지식하우스(2024) |
☞ 국가전략정보센터 방문 시 오프라인 자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 일시: 2024-6-26(수) ~ 27(목) - 장소: 과학기술컨벤션센터 B1 국제회의실 - 주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국회 AI 포럼 창립총회 및 기념 세미나 - 일시: 2024-6-26(수) -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 주최: 국회의원연구단체 '국회 AI 포럼' |
- 일시: 2024-7-1(월) ~ 4(목) - 장소: 킨텍스 제2전시장 - 주최: 안전보건공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