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6, 사회통합 상태 진단

목차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Abstract 18

요약 20

제1장 서론 29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30

1. 연구의 배경 30

2. 연구의 목적 3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33

1. 연구 내용 33

2. 연구 방법 36

3. 연구 구성과 방법의 개관 43

제3절 사회통합 개념의 이론적 검토 45

1. 정책 영역 45

2. 사회통합 상태와 조건의 다차원성 46

제2장 사회통합 정책영향평가 주요 내용 및 사회통합 인식 변화 50

제1절 사회통합 정책영향평가 주요 내용 51

1. 사회통합과 행복(2014년) 51

2. 사회통합과 사회이동(2015년) 52

3. 사회통합과 국민 인식(2016년) 56

4. 사회문제와 사회통합(2017년) 58

5. 사회갈등과 사회통합(2018년) 60

6. 연차별 연구의 사회통합 구성요소 변수 활용 방식 62

제2절 사회통합 인식의 변화 65

1. 사회통합 인식과 심리 65

2. 사회상에 대한 인식 70

3. 정부의 역할 77

4. 사회통합의 조건 83

제3장 사회적 포용과 사회통합 89

제1절 서론 90

제2절 선행연구 검토 91

1. 사회적 포용과 사회적 배제 91

2. 사회적 배제의 개념 및 측정 지표 93

제3절 연구 방법 100

1. 사회적 포용의 측정 지표 100

2. 연구 모형 101

제4절 사회적 포용 상태의 진단 103

1. 개인의 포용 상태 103

2. 구조적 포용 과정에 대한 인식 109

3. 사회적 포용 차원의 중첩도 및 연관성 114

제5절 사회적 포용과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7

1. 사회 포용성 및 사회통합 인식 수준 117

2. 포용 상태가 사회 포용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118

3. 포용 상태가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 120

제4장 사회적 자본과 사회통합 그리고 다문화수용성 123

제1절 서론 124

제2절 이론적 배경 125

1. 사회적 자본 125

2. 다문화수용성 126

3. 사회적 자본과 다문화수용성 관계 128

제3절 연구 방법 129

제4절 사회적 자본의 상태 진단 134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34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차이 138

제5절 사회적 자본이 사회통합 국민 인식에 미치는 영향 140

1. 사회적 자본과 사회통합 수준 간의 상관관계 140

2. 사회적 자본과 우리 사회의 상태 간의 상관관계 140

3. 사회적 자본이 사회통합 수준에 미치는 영향 141

4. 사회적 자본이 우리 사회의 상태에 미치는 영향 142

제6절 사회적 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144

1. 사회적 자본과 다문화수용성의 상관관계 144

2. 사회적 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145

제5장 사회이동의 실태와 함의 147

제1절 서론 148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49

1. 사회이동성과 사회통합의 관계 149

2. 사회이동성 수준의 국제 비교 151

3. 한국의 사회이동성 수준에 대한 진단 156

제3절 사회이동성의 상태 진단 160

1. 분석 자료 개요 160

2. 세대 간 사회이동성 161

3. 사회이동성, 공정성 및 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 167

제4절 사회이동성 인식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분석 174

제6장 사회통합 인식의 종합 진단 176

제1절 서론 177

제2절 사회통합 인식 결정요인의 다차원성 진단 179

1. 상관분석 179

2. 회귀분석 184

제3절 불평등 인식과 사회통합 인식 194

1. 소득불평등 상태에 대한 인식 195

2. 소득분배 상태에 대한 인식과 태도 200

3. 함의 202

제7장 결론 204

제1절 연구 결과 205

제2절 정책적 함의 213

1. 사회통합 인식의 변화 213

2. 사회적 포용과 사회통합 214

3. 사회적 자본과 사회통합 215

4. 사회이동성과 사회통합 217

5. 사회통합 인식의 종합 진단 217

참고문헌 218

[부록 1] 사회통합 상태 진단을 위한 실태조사 표본 설계 225

[부록 2] 사회통합 상태 진단을 위한 실태조사 설문지 242

[부록 3] 사회통합 상태 진단을 위한 실태조사 기초분석 262

판권기 2

〈표 1-1〉 '사회통합 상태 진단을 위한 실태조사' 개요 37

〈표 1-2〉 응답자 분포 38

〈표 1-3〉 가구 및 가구원 일반, 가구경제 상태 등의 주요 문항 40

〈표 1-4〉 사회통합 인식 관련 주요 문항 40

〈표 1-5〉 사회이동성 관련 주요 문항 41

〈표 1-6〉 새롭게 구성된 문항 42

〈표 1-7〉 2019년 사회통합포럼 개요 43

〈표 1-8〉 연구의 내용과 연구 방법 44

〈표 1-9〉 강신욱 외(2012)의 사회통합 지표 47

〈표 1-10〉 노대명 외(2010)의 사회통합의 영역 구성 48

〈표 1-11〉 노대명 외(2010)의 사회통합 조건지표 영역 및 영역별 지표 48

〈표 1-12〉 정해식 외(2016)의 국제 비교를 위한 사회통합 지표 체계 49

〈표 2-1〉 코호트별 사회이동 현황 분석 주요 변수 53

〈표 2-2〉 교육 성취와 사회이동의 관계 분석 주요 변수 54

〈표 2-3〉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인식 관계 분석 주요 변수 55

〈표 2-4〉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관계 분석 주요 변수 57

〈표 2-5〉 갈등과 정신건강의 사회경제적 맥락 분석 주요 변수 59

〈표 2-6〉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의 연구 주제와 영역(2014~2018년) 64

〈표 2-7〉 사회통합 정도에 대한 인식 변화(2016~2019년) 67

〈표 2-8〉 주관적 행복감 변화(2016~2019년) 68

〈표 2-9〉 삶의 만족도 변화(2016~2019년) 69

〈표 2-10〉 우울감의 변화(2016~2019년) 70

〈표 2-11〉 사회상: 차별과 소외가 심한 사회 또는 배려와 포용의 사회(2016~2019년) 72

〈표 2-12〉 사회상: 서로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사회 또는 서로 믿고 살아가는 사회(2016~2019년) 73

〈표 2-13〉 사회상: 활력 없고 침체된 사회 또는 활력 있고 희망찬 사회(2016~2019년) 74

〈표 2-14〉 사회상: 경제적, 미래 불안이 가득한 사회 또는 경제적, 미래 희망이 있는 사회(2016~2019년) 75

〈표 2-15〉 사회상: 갈등이 심한 사회 또는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2016~2019년) 77

〈표 2-16〉 한국의 소득 격차는 너무 크다(2016~2019년) 79

〈표 2-17〉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2016~2019년) 80

〈표 2-18〉 정부는 실업자에게 적정한 수준의 삶을 제공해야 한다(2016~2019년) 81

〈표 2-19〉 정부는 빈곤한 사람들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한다(2016~2019년) 82

〈표 2-20〉 사회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2016년, 2019년) 84

〈표 2-21〉 사회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의 성별 비교(2016년, 2019년) 86

〈표 2-22〉 사회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의 연령대별 비교(2016년, 2019년) 87

〈표 3-1〉 사회적 배제의 정의 94

〈표 3-2〉 사회적 배제의 측정 지표 97

〈표 3-3〉 이 연구의 사회적 포용의 차원 및 지표 구성 101

〈표 3-4〉 경제 차원의 포용 상태 103

〈표 3-5〉 노동 차원의 포용 상태 104

〈표 3-6〉 건강 차원의 포용 상태 105

〈표 3-7〉 주거 차원의 포용 상태 107

〈표 3-8〉 서비스 차원의 포용 상태 108

〈표 3-9〉 기회의 평등 인식 110

〈표 3-10〉 소득 및 부(재산)의 분배 인식 111

〈표 3-11〉 특정 대상에 대한 평등 인식 112

〈표 3-12〉 법 집행 평등 인식 113

〈표 3-13〉 개인의 포용 차원 중첩도 115

〈표 3-14〉 사회적 포용의 차원 간 상관관계 117

〈표 3-15〉 사회적 포용성 및 사회통합 인식 118

〈표 3-16〉 포용 상태가 사회의 포용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120

〈표 3-17〉 포용 상태가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 122

〈표 4-1〉 다문화수용성 지수의 구성 개념 127

〈표 4-2〉 사회적 자본 - 신뢰에 대한 문항 130

〈표 4-3〉 사회적 자본 - 참여에 대한 문항 131

〈표 4-4〉 사회적 자본 -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대한 문항 131

〈표 4-5〉 사회통합 국민 인식 - 우리 사회의 상태 진단에 대한 문항 132

〈표 4-6〉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문항 133

〈표 4-7〉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신뢰의 차이 135

〈표 4-8〉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의 차이 136

〈표 4-9〉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비공식적 네트워크의 차이 138

〈표 4-10〉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차이 139

〈표 4-11〉 사회적 자본과 사회통합 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 140

〈표 4-12〉 사회적 자본과 우리 사회의 상태 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 141

〈표 4-13〉 사회적 자본이 사회통합 수준에 미치는 영향 142

〈표 4-14〉 사회적 자본이 우리 사회의 상태 진단에 미치는 영향 143

〈표 4-15〉 사회적 자본과 다문화수용성 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 144

〈표 4-16〉 사회적 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146

〈표 5-1〉 코호트별 취업 특성 162

〈표 5-2〉 15세 무렵 부의 학력과 본인의 직업 163

〈표 5-3〉 15세 무렵 부의 직업과 본인의 직업 164

〈표 5-4〉 15세 무렵 부의 직업 위세와 본인의 직업 165

〈표 5-5〉 코호트별 학력 특성 166

〈표 5-6〉 본인의 학력과 자녀의 직업 166

〈표 5-7〉 세대 내 사회이동성에 대한 인식 168

〈표 5-8〉 세대 간 사회이동성에 대한 인식 168

〈표 5-9〉 사회의 대우에 대한 공정성 인식 169

〈표 5-10〉 연령집단별 기회의 평등에 대한 인식 170

〈표 5-11〉 계층별 기회의 평등에 대한 인식 171

〈표 5-12〉 연령별 현재 소득계층과 15세 무렵 본인의 소득계층 174

〈표 5-13〉 사회이동 인식이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 175

〈표 6-1〉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주요 변수 180

〈표 6-2〉 사회통합 인식과 사회적 포용 지표(인식과 상태) 간 상관관계 181

〈표 6-3〉 사회통합 인식과 사회적 포용 지표(조건) 간 상관관계 181

〈표 6-4〉 사회통합 인식과 사회적 자본 지표(인식과 실태) 간 상관관계 182

〈표 6-5〉 사회통합 인식과 사회적 자본 지표(조건) 간 상관관계 183

〈표 6-6〉 사회통합 인식과 사회이동성 지표(인식과 실태) 간 상관관계 183

〈표 6-7〉 사회통합 인식과 사회이동성 지표(조건) 간 상관관계 184

〈표 6-8〉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인식변수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2016년) 185

〈표 6-9〉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인식변수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2019년) 186

〈표 6-10〉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조건변수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2016년) 187

〈표 6-11〉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조건변수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2019년) 188

〈표 6-12〉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사회통합 인식 영향력 비교 189

〈표 6-13〉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인식변수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 성별 차이(2016년) 190

〈표 6-14〉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인식변수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 성별 차이(2019년) 191

〈표 6-15〉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조건변수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 성별 차이(2016년) 192

〈표 6-16〉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조건변수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 성별 차이(2019년) 193

〈표 6-17〉 사회통합 구성요소별 사회통합 인식 영향력 비교: 성별 차이 194

〈표 6-18〉 2019년 추가 문항(상세) 194

〈표 7-1〉 분석 결과 요약: 사회통합 국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 209

〈표 7-2〉 분석 결과 요약: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 210

[그림 1-1] OECD(2011)의 사회통합 구성 요소 46

[그림 2-1] 사회통합 관련 일반 인식 변화(2016~2019년) 65

[그림 2-2] 5가지 사회상에 대한 인식 변화(2016~2019년) 71

[그림 2-3] 정부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2016~2019년) 78

[그림 3-1] 사회적 포용과 사회통합 분석 모형 102

[그림 3-2] 개인의 포용 차원 중첩도 115

[그림 5-1] 소득불평등과 세대 간 사회이동성 152

[그림 5-2] 소득탄력성을 이용한 세대 간 사회이동성 152

[그림 5-3] 2010년대 절대적 직업계층 이동성 153

[그림 5-4] 부모의 직업계층에 따른 비율 154

[그림 5-5] 사회계층의 상대적 지속성 155

[그림 5-6] 부모와 본인의 개인 근로소득을 사용한 대수선형 분석 결과(odds scale) 157

[그림 5-7] 본인 세대 계층이동 가능성 인식 158

[그림 5-8] 다음 세대 계층이동 가능성 인식 159

[그림 5-9] 자녀 세대의 소득에 부모 세대의 소득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대한 인식-연령집단 172

[그림 5-10] 자녀 세대의 소득에 부모 세대의 소득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대한 인식-주관적 소득계층, 사회이동성 인식 수준별 173

[그림 5-11] 주관적 소득계층별, 연령대별 15세 무렵 본인의 소득계층 173

[그림 6-1] 소득불평등 상태에 대한 인식과 세대 간 소득탄력성 인식 196

[그림 6-2] 소득불평등 상태에 대한 인식과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한 인식 198

[그림 6-3] 소득불평등 상태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신뢰에 대한 인식 199

[그림 6-4] 소득불평등 상태에 대한 인식과 사회통합 상태에 대한 인식 200

[그림 6-5] 소득분배 상태에 대한 인식과 선호 201

[그림 6-6] 인구집단별 소득분배 상태에 대한 인식과 선호 202

[그림 7-1] 세대 간 이동성의 인식적 차원과 실제 212

〈부표 1-1〉 모집단 집계구 분포 225

〈부표 1-2〉 모집단 가구 분포 226

〈부표 1-3〉 모집단 인구 분포 227

〈부표 1-4〉 모집단 인구의 성별 분포 227

〈부표 1-5〉 시도별 인구의 연령별 분포 228

〈부표 1-6〉 지역별ㆍ연령별 행복감에 대한 상대표준오차 231

〈부표 1-7〉 지역별ㆍ소득 수준별 행복감에 대한 상대표준오차 232

〈부표 1-8〉 지역별ㆍ가구원 수별 행복감에 대한 상대표준오차 233

〈부표 1-9〉 지역별ㆍ연령별 삶의 만족도에 대한 상대표준오차 234

〈부표 1-10〉 지역별ㆍ소득 수준별 삶의 만족도에 대한 상대표준오차 235

〈부표 1-11〉 지역별ㆍ가구원 수별 삶의 만족도에 대한 상대표준오차 236

〈부표 1-12〉 표본 집계구 배분: 방안 1 237

〈부표 1-13〉 표본 집계구 배분: 방안 2 238

〈부표 1-14〉 표본 집계구 배분: 방안 3 239

〈부표 3-1〉 어제 행복했던 정도 262

〈부표 3-2〉 행복의 조건: 1순위 263

〈부표 3-3〉 행복의 조건: 2순위 264

〈부표 3-4〉 어제 우울했던 정도 265

〈부표 3-5〉 삶의 만족도 266

〈부표 3-6〉 최근 한 달 동안 외로움을 느낀 정도 267

〈부표 3-7〉 현재 우리 사회 평가: (1) 배려와 포용의 사회 268

〈부표 3-8〉 현재 우리 사회 평가: (2) 서로 믿고 살아가는 사회 269

〈부표 3-9〉 현재 우리 사회 평가: (3) 활력 있고 희망찬 사회 270

〈부표 3-10〉 현재 우리 사회 평가: (4) 경제적 희망,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는 사회 271

〈부표 3-11〉 현재 우리 사회 평가: (5)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 272

〈부표 3-12〉 우리나라 사회통합의 정도 273

〈부표 3-13〉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국민을 지원하는 것 274

〈부표 3-14〉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2)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사회를 이루는 것 275

〈부표 3-15〉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3) 남성과 여성의 처우 차이를 줄이는 것 276

〈부표 3-16〉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4)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처우 차이를 줄이는 것 277

〈부표 3-17〉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5)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 278

〈부표 3-18〉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6) 사회 구성원이 문화적 다양성(이민자, 성소수자, 북한이탈주민 등)을 인정하는 것 279

〈부표 3-19〉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7) 사회 구성원이 서로 믿고 살아가는 것 280

〈부표 3-20〉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8) 사회 구성원이 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281

〈부표 3-21〉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9) 법ㆍ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 282

〈부표 3-22〉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0) 사회 구성원 각자가 주어진 역할에 충실한 것 283

〈부표 3-23〉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1) 사회 고위층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노블레스 오블리주) 284

〈부표 3-24〉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2) 사회 구성원이 자기만을 생각하지 않고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것 285

〈부표 3-25〉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3) 사회 구성원이 여러 모임 등에서 다양하게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 286

〈부표 3-26〉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4) 충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 287

〈부표 3-27〉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5)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는 사회를 만드는 것 288

〈부표 3-28〉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6) 중산층이 두꺼운 사회를 만드는 것 289

〈부표 3-29〉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7) 일자리를 가질 기회가 많은 사회를 만드는 것 290

〈부표 3-30〉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8) 서로 다른 집단 간의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것 291

〈부표 3-31〉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19) 정부가 나서서 갈등을 잘 조정하는 것 292

〈부표 3-32〉 사회통합을 위한 조건: (20)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양보와 협력이 이뤄지는 것 293

〈부표 3-33〉 사회인식: (1) 한국의 소득 격차는 너무 크다 294

〈부표 3-34〉 사회인식: (2)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사이의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 295

〈부표 3-35〉 사회인식: (3) 정부는 실업자에게 적정한 수준의 삶을 제공해야 한다 296

〈부표 3-36〉 사회인식: (4) 정부는 빈곤한 사람들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한다 297

〈부표 3-37〉 주관적 빈곤 인식(1) 298

〈부표 3-38〉 주관적 빈곤 인식(2) 299

〈부표 3-39〉 주관적 빈곤 인식(3) 300

〈부표 3-40〉 서비스 시설 접근성: (1) 문화시설 301

〈부표 3-41〉 서비스 시설 접근성: (2) 교육시설 302

〈부표 3-42〉 서비스 시설 접근성: (3) 의료시설 303

〈부표 3-43〉 서비스 시설 접근성: (4) 안전시설 304

〈부표 3-44〉 서비스 시설 접근성: (5) 생활편의시설 305

〈부표 3-45〉 서비스 시설 접근성: (6) 대중교통 306

〈부표 3-46〉 박탈: (1)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고기나 생선을 먹는다 307

〈부표 3-47〉 박탈: (2)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신선한 과일을 사 먹는다 308

〈부표 3-48〉 박탈: (3) 가끔 기호식품(차, 커피, 과자류, 아이스크림, 음료 등)을 사 먹는다 309

〈부표 3-49〉 박탈: (4) 매우 추운 날 입을 수 있는 외투(코트, 파카, 털이나 가죽옷 등)를 두 벌 정도는 가지고 있다 310

〈부표 3-50〉 박탈: (5) 예식장 갈 때와 같은 특별한 날에 입을 수 있는 여름과 겨울 각각의 정장을 한벌 정도는 가지고 있다 311

〈부표 3-51〉 박탈: (6) 질병으로 오랫동안(3개월 이상) 앓고 있는 경우 정기적으로 진료 받고(받을 수) 있다 312

〈부표 3-52〉 박탈: (7) 이가 아프면 치과에 가고(갈 수) 있다 313

〈부표 3-53〉 박탈: (8) 의사에게서 처방받은 의약품이나 필요한 (일반)의약품을 구입하고(할 수) 있다 314

〈부표 3-54〉 박탈: (9) 1년에 한 번 이상 (가족 또는 자녀와) 2~3일 정도의 여행(피서)을 다녀온다 315

〈부표 3-55〉 박탈: (10) 가족의 생일 등 특별한 날을 기념(외식 등)하고 있다 316

〈부표 3-56〉 박탈: (11) 정기적으로 혹은 종종 가족 또는 자녀와 취미생활이나 여가활동(영화, 공연)을 할 수 있다 317

〈부표 3-57〉 박탈: (12) 어려울 때 이야기를 나누고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친척이나 친구가 있다 318

〈부표 3-58〉 박탈: (13) 일상적이지 않은 지출에 대비(저축 등)하고 있다 319

〈부표 3-59〉 박탈: (14) 노후를 위해 (국민, 개인)연금에 가입하거나 저축하고 있다 320

〈부표 3-60〉 박탈: (15) 사회보험 외의 사적보험(의료보험ㆍ종신보험ㆍ생명보험 등의 보장성 보험)에 가입해 있다 321

〈부표 3-61〉 박탈: (16) 춥지 않도록 난방이 적절히 갖춰진 곳에서 생활하고 있다 322

〈부표 3-62〉 박탈: (17) 가족 수나 구성원의 연령에 맞게 적정한 방을 나누어 사용하고 있다 323

〈부표 3-63〉 박탈: (18) 걸어서 10분 안의 거리에 버스 정거장이나 전철역이 있다 324

〈부표 3-64〉 박탈: (19) 옥탑방이나 (반)지하가 아닌 지상에 거주하고 있다 325

〈부표 3-65〉 박탈: (20) 전용 수세식의 화장실 및 온수 목욕시설을 갖추고 있다 326

〈부표 3-66〉 박탈: (21) 전기요금, 전화요금, 수도요금 중 하나 이상을 내지 못해 전기, 전화, 수도 등이 끊긴 적이 있다 327

〈부표 3-67〉 박탈: (22) 집세(월세, 전세금)가 밀렸거나 또는 그 이유로 집을 옮긴 적이 있다 328

〈부표 3-68〉 박탈: (23) 자녀에게 고등교육(전문대학 및 대학교 이상)을 시키고 있다(시킬 수 있다) 329

〈부표 3-69〉 박탈: (24) 자녀가 원하는 경우 학원수강이나 과외를 시키고 있다(시킬 수 있다) 330

〈부표 3-70〉 박탈: (25) 자녀에게 필요한 기본참고서나 도서를 사 주고 있다(사 줄 수 있다) 331

〈부표 3-71〉 박탈: (26) 자녀의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양육(경제적, 사회적, 정서적)을 책임질 수 있다 332

〈부표 3-72〉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 333

〈부표 3-73〉 기관에 대한 신뢰도: (1) 대기업 334

〈부표 3-74〉 기관에 대한 신뢰도: (2) 종교계 335

〈부표 3-75〉 기관에 대한 신뢰도: (3) 교육계 336

〈부표 3-76〉 기관에 대한 신뢰도: (4) 노동조합 337

〈부표 3-77〉 기관에 대한 신뢰도: (5) 언론계(신문사, TV방송국 등) 338

〈부표 3-78〉 기관에 대한 신뢰도: (6) 의료계 339

〈부표 3-79〉 기관에 대한 신뢰도: (7) 행정부(청와대, 중앙정부, 지방자치정부 등) 340

〈부표 3-80〉 기관에 대한 신뢰도: (8) 입법부(국회) 341

〈부표 3-81〉 기관에 대한 신뢰도: (9) 사법부(법원) 342

〈부표 3-82〉 기관에 대한 신뢰도: (10) 군대 343

〈부표 3-83〉 기관에 대한 신뢰도: (11) 금융기관 344

〈부표 3-84〉 기관에 대한 신뢰도: (12) 시민운동단체 345

〈부표 3-85〉 기관에 대한 신뢰도: (13) 검찰, 경찰 346

〈부표 3-86〉 사회참여 활동: (1) 자원봉사 참여 정도 347

〈부표 3-87〉 사회참여 활동: (2) 사회단체나 기관에 기부 348

〈부표 3-88〉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1) 정당 349

〈부표 3-89〉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2) 시민운동단체 350

〈부표 3-90〉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3) 노조, 사업자단체 또는 직업조합 351

〈부표 3-91〉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4) 종교단체 352

〈부표 3-92〉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5) 스포츠, 취미, 레저 모임 등 문화단체 353

〈부표 3-93〉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6) 동창모임 354

〈부표 3-94〉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7) 향우회 355

〈부표 3-95〉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8) 친목단체 356

〈부표 3-96〉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9) 기타 오프라인 모임이나 단체 357

〈부표 3-97〉 단체 소속 여부 및 활동 빈도: (10) SNS 등 온라인 모임(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358

〈부표 3-98〉 투표 여부: (1) 2016년 4월 13일 국회의원 선거 359

〈부표 3-99〉 투표 여부: (2) 2017년 5월 9일 제19대 대통령선거 360

〈부표 3-100〉 투표 여부: (3) 2018년 6월 13일 지방선거 361

〈부표 3-101〉 사회적 참여 여부: (1) SNS에 글을 올리거나 답변하기 362

〈부표 3-102〉 사회적 참여 여부: (2) 탄원서 및 청원서에 서명하기 363

〈부표 3-103〉 사회적 참여 여부: (3) 집회 및 시위에 참여하기 364

〈부표 3-104〉 국가에 대한 자긍심 365

〈부표 3-105〉 이민 의사 366

〈부표 3-106〉 이민을 생각하는 이유 367

〈부표 3-107〉 수용도: (1) 이민자(외국인노동자, 결혼이민자 등) 368

〈부표 3-108〉 수용도: (2) 북한이탈주민 369

〈부표 3-109〉 수용도: (3) 성소수자(동성애자, 성전환자 등) 370

〈부표 3-110〉 이민자의 한국 사회 적응 방법에 대한 인식 371

〈부표 3-111〉 대인 신뢰도: (1) 내가 완전히 믿을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372

〈부표 3-112〉 대인 신뢰도: (2) 만약 조심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은 나를 이용하려 들 것이다 373

〈부표 3-113〉 대인 신뢰도: (3) 사람들은 대개 이기적이다 374

〈부표 3-114〉 대인 신뢰도: (4) 오늘날 한국에서 높은 지위에 오르려면 부패할 수밖에 없다 375

〈부표 3-115〉 부패 인식: (1) 정치 영역 376

〈부표 3-116〉 부패 인식: (2) 경제 영역 377

〈부표 3-117〉 이념적 성향 378

〈부표 3-118〉 우리나라의 갈등 정도 379

〈부표 3-119〉 집단 간 갈등 수준: (1)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간의 갈등 380

〈부표 3-120〉 집단 간 갈등 수준: (2) 경영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 381

〈부표 3-121〉 집단 간 갈등 수준: (3) 주택 소유자와 비소유자 간의 갈등 382

〈부표 3-122〉 집단 간 갈등 수준: (4)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 383

〈부표 3-123〉 집단 간 갈등 수준: (5) 여성과 남성 간의 갈등 384

〈부표 3-124〉 집단 간 갈등 수준: (6)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갈등 385

〈부표 3-125〉 집단 간 갈등 수준: (7) 기성세대(40~50대)와 청년세대(20~30대) 간의 갈등 386

〈부표 3-126〉 집단 간 갈등 수준: (8)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 387

〈부표 3-127〉 집단 간 갈등 수준: (9) 지역 간의 갈등(수도권과 지방, 영남과 호남) 388

〈부표 3-128〉 집단 간 갈등 수준: (10) 다문화갈등(외국인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북한이탈주민 등) 389

〈부표 3-129〉 집단 간 갈등 수준: (11) 개발주의자와 환경보호주의자 간의 갈등 390

〈부표 3-130〉 세대갈등의 가장 큰 원인 391

〈부표 3-131〉 성별 갈등 발생의 가장 큰 원인 392

〈부표 3-132〉 공정성 인식: (1) 두뇌(능력) 393

〈부표 3-133〉 한국 사회로부터 귀하가 받는 대우의 공정성: (2) 일과 관련된 기술 394

〈부표 3-134〉 공정성 인식: (3) 노력 395

〈부표 3-135〉 공정성 인식: (4) 학력 396

〈부표 3-136〉 공정성 인식: (5) 경력 397

〈부표 3-137〉 평등 인식: (1) 교육 기회 398

〈부표 3-138〉 평등 인식: (2) 취업 기회 399

〈부표 3-139〉 평등 인식: (3) 승진, 승급기회 400

〈부표 3-140〉 평등 인식: (4) 법의 집행 401

〈부표 3-141〉 평등 인식: (5) 여성에 대한 대우 402

〈부표 3-142〉 평등 인식: (6) 남성에 대한 대우 403

〈부표 3-143〉 평등 인식: (7) 장애인에 대한 대우 404

〈부표 3-144〉 평등 인식: (8) 외국인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대우 405

〈부표 3-145〉 평등 인식: (9) 소득 분배 406

〈부표 3-146〉 평등 인식: (10) 부(재산)의 분배 407

〈부표 3-147〉 평등 인식: (11) 지역 간 발전수준 408

〈부표 3-148〉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 409

〈부표 3-149〉 소득불평등 상태 인식: (1) 불평등의 정도 인식 410

〈부표 3-150〉 소득불평등 상태 인식: (2) 부자가 가난한 사람의 몇 배를 벌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 411

〈부표 3-151〉 소득불평등 상태 인식: (3) 살고 싶은 나라의 소득불평등 수준 412

〈부표 3-152〉 사회적 이동: (1) 부모 세대의 소득이 자녀 세대에 미치는 영향 인식 413

〈부표 3-153〉 사회적 이동: (2) 지난 10년 동안의 생활수준 변화 414

〈부표 3-154〉 사회적 이동: (3) 앞으로 10년 이내 생활수준 변화 전망 415

〈부표 3-155〉 사회적 이동: (4) 세대 내 계층이동 전망 416

〈부표 3-156〉 사회적 이동: (5) 세대 간 계층이동 전망 417

해시태그

#사회통합 #사회갈등 #사회복지 #사회정책 #사회이동 #다문화사회 #소득격차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