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8, 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목차

표제지

목차

Abstract 19

요약 22

제1장 서론 3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40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1

1. 연구 내용 41

2. 연구 방법 45

3. 연구의 한계 47

제2장 이론적 배경 50

제1절 후기산업사회에서의 위기와 불확실성 증대 51

제2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사회통합과 정신건강 54

1. 코로나19 팬데믹의 사회ㆍ경제적 충격 54

2. 코로나19 팬데믹과 사회통합 57

3. 코로나19 팬데믹과 정신건강 68

제3장 코로나19 전후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인식 변화 73

제1절 들어가며 74

제2절 주관적 행복과 삶의 만족도 77

1. 주관적 행복도 77

2. 삶의 만족도 80

3. 우울감 83

제3절 사회통합 인식 86

1. 국민으로서의 자부심과 사회통합도 86

2. 신뢰도 92

3. 사회적 자본 102

4. 형평성 111

제4절 요약 및 소결 122

제4장 코로나19 전후 위험인식의 변화와 영향요인 126

제1절 들어가며 127

제2절 연구 방법 129

제3절 분석 결과 131

1. 위험인식 수준의 변화 131

2. 불평등 인식과 신뢰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의 변화 141

3. 불평등 인식과 신뢰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153

제4절 요약 및 소결 161

제5장 코로나19 전후 신뢰ㆍ차별 인식의 변화 164

제1절 들어가며 165

제2절 연구 방법 167

1. 분석 자료 167

2. 측정 변수 167

3. 분석 방법 168

제3절 분석결과 169

1. 코로나19와 신뢰 169

2. 코로나19와 정부정책 및 관련 정보신뢰 171

3. 코로나19와 차별 175

4. 신뢰와 차별 인식 상태의 진단 182

5. 심층분석 191

제4절 요약 및 소결 197

제6장 코로나19와 위기 대응력 200

제1절 들어가며 201

제2절 자료 및 연구 방법 202

1. 코로나19에 대한 심리적 대응력 분석 202

2. 코로나19에 대한 생활 적응력 분석 206

제3절 분석결과 I: 코로나19에 대한 심리적 대응력 210

1.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심리적 대응력 210

2. 지역사회 응집성과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대응력에 미치는 영향 213

제4절 분석결과 II: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생활 적응력 216

1/2. 지역사회 응집성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222

제5절 요약 및 소결 224

제7장 코로나19 전후 정신건강 수준 변화와 영향요인 227

제1절 들어가며 228

제2절 코로나19의 영향과 정신건강 231

1. 코로나19의 정신건강 영향요인 231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34

제3절 분석 결과 Ⅰ: 코로나 전후의 정신건강(2017년과 2021년 비교) 240

1. 코로나 전후의 주요 정신건강 지표의 변화 240

2. 행복도 변화: 참가자 특성별 변화 차이 241

3/2. 우울 정도 변화: 참가자 특성별 변화 차이 248

4/3. 삶의 만족도 변화: 참가자 특성별 변화 차이 255

5/4. 사회적 지지 변화: 참가자 특성별 변화 차이 262

6/5. 자살생각 269

제4절 분석 결과 Ⅱ: 정신건강 영향요인 및 코로나의 영향 275

1. 행복도 275

2. 우울 정도 276

3. 삶의 만족도 276

4. 사회적 지지 277

5. 자살생각 278

제5절 분석 결과 Ⅲ: 코로나의 정신건강 영향에 대한 통합적 분석 279

1. 행복도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0

2. 우울 정도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0

3. 삶의 만족도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1

4. 사회적 지지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2

5. 자살생각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3

제6절 요약 및 소결 284

제8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289

참고문헌 296

[부록 1] 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 설계 315

[부록 2] 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332

[부록 3] 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초분석 349

판권기 2

〈표 1-1〉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의 연차별 주제와 주요 연구 내용 42

〈표 1-2〉 '사회ㆍ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개요 46

〈표 1-3〉 코로나19 전후 변화 분석을 위한 공통 문항과 코로나19의 영향요인 분석을 위한 문항 48

〈표 3-1〉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관련 공통 문항 75

〈표 3-2〉 행복도 77

〈표 3-3〉 삶의 만족도 81

〈표 3-4〉 우울감 84

〈표 3-5〉 국민으로서의 자부심 87

〈표 3-6〉 전반적인 사회통합도 89

〈표 3-7〉 전반적인 사회신뢰도 92

〈표 3-8〉 대인신뢰도 1: 완전히 믿을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소수 96

〈표 3-9〉 대인신뢰도 2: 조심하지 않으면 이용하려 들 것 98

〈표 3-10〉 대인신뢰도 3: 사람들은 대개 이기적 100

〈표 3-11〉 전반적인 사회적 지지 102

〈표 3-12〉 아플 때 도움 줄 사람 유무 105

〈표 3-13〉 큰돈 빌려줄 사람 유무 107

〈표 3-14〉 이야기 나눌 사람 유무 109

〈표 3-15〉 '높은 지위에 오르려면 부패할 수밖에 없음'에 대한 동의 정도 112

〈표 3-16〉 '한국의 소득격차는 너무 큼'에 대한 동의 정도 114

〈표 3-17〉 '소득격차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에 대한 동의 정도 116

〈표 3-18〉 '정부는 실업자에게 적정수준의 삶을 제공해야 함'에 대한 동의 정도 118

〈표 3-19〉 '정부는 빈곤한 사람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함'에 대한 동의 정도 120

〈표 3-20〉 코로나19 전과 후(2021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와 항목 123

〈표 4-1〉 활용 변수 131

〈표 4-2〉 영역별 위험인식 수준 132

〈표 4-3〉 집단별 전반적인 위험인식 수준 134

〈표 4-4〉 집단별 건강 관련 위험인식 수준 135

〈표 4-5〉 집단별 경제생활 관련 위험인식 수준 137

〈표 4-6〉 집단별 생애주기 관련 위험인식 수준 138

〈표 4-7〉 집단별 사회생활 관련 위험인식 수준 140

〈표 4-8〉 불평등 인식 수준 141

〈표 4-9〉 집단별 불평등 인식 수준 142

〈표 4-10〉 대인신뢰 수준 145

〈표 4-11〉 집단별 대인신뢰 수준 146

〈표 4-12〉 사회신뢰 수준 147

〈표 4-13〉 집단별 사회신뢰 수준 148

〈표 4-14〉 행정부(청와대, 중앙정부, 지방자치정부 등) 신뢰 수준 149

〈표 4-15〉 집단별 행정부(청와대, 중앙정부, 지방자치정부 등) 신뢰 수준 150

〈표 4-16〉 사회적 지지 수준 151

〈표 4-17〉 집단별 사회적 지지 수준 152

〈표 4-18〉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1: 전반적 위험 156

〈표 4-19〉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2: 건강 관련 위험, 생애주기 관련 위험 157

〈표 4-20〉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3: 사회생활 관련 위험, 경제생활 관련 위험 158

〈표 4-21〉 2021년 전반적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160

〈표 5-1〉 신뢰와 차별 관련 문항 168

〈표 5-2〉 국가 위기 시 공공부문 제공 정보에 대한 신뢰도 175

〈표 5-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정부신뢰 183

〈표 5-4〉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인신뢰 184

〈표 5-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신뢰 186

〈표 5-6〉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공공부문에서 제공하는 정보신뢰 187

〈표 5-7〉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잠재적 차별 가능성 인식 분포 189

〈표 5-8〉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확진자/완치자에 대한 차별대우 인식 분포 190

〈표 5-9〉 코로나19로 인한 차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192

〈표 5-10〉 신뢰의 영향요인분석 194

〈표 5-11〉 잠재적 차별 가능성의 영향요인분석 195

〈표 5-12〉 신뢰가 코로나19 확진자/완치자에 대한 차별대우 인식에 미치는 영향 197

〈표 6-1〉 코로나 민감도 측정 문항 203

〈표 6-2〉 코로나 블루 측정 문항 204

〈표 6-3〉 지역사회 응집성 평가 문항 205

〈표 6-4〉 사회적 자본 평가 문항 205

〈표 6-5〉 코로나에 대한 중앙정부 대응정책에 대한 신뢰도 207

〈표 6-6〉 코로나19 이후 개인 생활수칙 준수도 207

〈표 6-7〉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했을 때 포스트코로나 시기 본인 삶의 변화 전망 208

〈표 6-8〉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했을 때 포스트코로나 시기 사회경제 변화 전망 208

〈표 6-9〉 지역사회 응집성 평가 문항 209

〈표 6-10〉 사회적 자본 평가 문항 209

〈표 6-11〉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코로나 민감도 211

〈표 6-12〉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코로나 블루 212

〈표 6-13〉 지역사회 응집성과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대응력에 미친 영향 215

〈표 6-14〉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정부 대응정책 신뢰도 217

〈표 6-15〉 개인 및 가구 특성별 개인 생활수칙 준수도 218

〈표 6-16〉 개인 및 가구 특성별 포스트코로나 개인 생활 전망 220

〈표 6-17〉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사회경제 전망 221

〈표 6-18〉 지역사회 응집성의 사회적 자본이 코로나 생활 적응력에 미친 영향 223

〈표 7-1〉 연도별 연구 참여자 특성 및 시점 간 차이 240

〈표 7-2〉 행복도: 연령대별 241

〈표 7-3〉 행복도: 성별 242

〈표 7-4〉 행복도: 소득계층별 244

〈표 7-5〉 행복도: 수도권, 비수도권 245

〈표 7-6〉 행복도: 농어촌, 중소도시, 대도시 246

〈표 7-7〉 행복도: 농어촌, 도시 247

〈표 7-8〉 우울 정도: 연령대별 248

〈표 7-9〉 우울 정도: 성별 250

〈표 7-10〉 우울 정도: 소득계층별 251

〈표 7-11〉 우울 정도: 수도권, 비수도권 252

〈표 7-12〉 우울 정도: 농어촌, 중소도시, 대도시 253

〈표 7-13〉 우울 정도: 농어촌, 도시 254

〈표 7-14〉 삶의 만족도: 연령대별 255

〈표 7-15〉 삶의 만족도: 성별 257

〈표 7-16〉 삶의 만족도: 소득계층별 258

〈표 7-17〉 삶의 만족도: 수도권, 비수도권 259

〈표 7-18〉 삶의 만족도: 농어촌, 중소도시, 대도시 260

〈표 7-19〉 삶의 만족도: 농어촌, 도시 261

〈표 7-20〉 사회적 지지: 연령대별 262

〈표 7-21〉 사회적 지지: 성별 263

〈표 7-22〉 사회적 지지: 소득계층별 265

〈표 7-23〉 사회적 지지: 수도권, 비수도권 266

〈표 7-24〉 사회적 지지: 농어촌, 중소도시, 대도시 267

〈표 7-25〉 사회적 지지: 농어촌, 도시 268

〈표 7-26〉 자살생각: 연령대별 269

〈표 7-27〉 자살생각: 성별 270

〈표 7-28〉 자살생각: 소득계층별 271

〈표 7-29〉 자살생각: 수도권, 비수도권 272

〈표 7-30〉 자살생각: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273

〈표 7-31〉 자살생각: 농어촌, 도시 274

〈표 7-32〉 코로나가 행복도에 미친 영향 275

〈표 7-33〉 코로나가 우울 정도에 미친 영향 276

〈표 7-34〉 코로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 277

〈표 7-35〉 코로나가 사회적 지지에 미친 영향 277

〈표 7-36〉 코로나가 자살생각에 미친 영향 1 278

〈표 7-37〉 코로나가 자살생각에 미친 영향 2 279

〈표 7-38〉 행복도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0

〈표 7-39〉 우울 정도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1

〈표 7-40〉 삶의 만족도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2

〈표 7-41〉 사회적 지지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3

〈표 7-42〉 자살생각 예측요인: 시점별 차이 284

[그림 2-1] 주요국의 GDP 성장률 추이 55

[그림 3-1] 행복도 78

[그림 3-2] 삶의 만족도 82

[그림 3-3] 우울감 85

[그림 3-4] 국민으로서의 자부심 88

[그림 3-5] 전반적인 사회통합도 90

[그림 3-6] 전반적인 사회신뢰도 93

[그림 3-7] 대인신뢰도 1: 완전히 믿을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소수 97

[그림 3-8] 대인신뢰도 2: 조심하지 않으면 이용하려 들 것 99

[그림 3-9] 대인신뢰도 3: 사람들은 대개 이기적 101

[그림 3-10] 전반적인 사회적 지지 103

[그림 3-11] 아플 때 도움 줄 사람 유무 106

[그림 3-12] 큰돈 빌려줄 사람 유무 108

[그림 3-13] 이야기 나눌 사람 유무 110

[그림 3-14] '높은 지위에 오르려면 부패할 수밖에 없음'에 대한 동의 정도 113

[그림 3-15] '한국의 소득격차는 너무 큼'에 대한 동의 정도 115

[그림 3-16] '소득격차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에 대한 동의 정도 117

[그림 3-17] '정부는 실업자에게 적정수준의 삶을 제공해야 함'에 대한 동의 정도 119

[그림 3-18] '정부는 빈곤한 사람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함'에 대한 동의 정도 121

[그림 4-1] 연구 모형 129

[그림 4-2] 영역별 위험인식 수준 133

[그림 4-3] 집단별 전반적인 위험인식 수준 134

[그림 4-4] 집단별 건강 관련 위험인식 수준 136

[그림 4-5] 집단별 경제생활 관련 위험인식 수준 137

[그림 4-6] 집단별 생애주기 관련 위험인식 수준 139

[그림 4-7] 집단별 사회생활 관련 위험인식 수준 140

[그림 4-8] 집단별 불평등 인식 수준 143

[그림 4-9]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의 영향 인식 144

[그림 4-10] 집단별 대인신뢰 수준 146

[그림 4-11] 집단별 사회신뢰 수준 148

[그림 4-12] 집단별 행정부(청와대, 중앙정부, 지방자치정부 등) 신뢰 수준 150

[그림 4-13] 집단별 사회적 지지 수준 152

[그림 5-1] 코로나19 전후 사회신뢰 비교 169

[그림 5-2] 코로나19 전후 정부신뢰 비교 170

[그림 5-3] 코로나19 전후 대인신뢰 비교 170

[그림 5-4]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정책평가 171

[그림 5-5] 자국의 코로나19에 대한 대처 평가 172

[그림 5-6] 각 국별 코로나19 백신 신뢰도 172

[그림 5-7] 보건당국이 효과적인 코로나19 백신을 제공할 것이라는 신뢰 정도 173

[그림 5-8] 영국과 한국의 코로나19 정보의 출처에 대한 신뢰 비교 174

[그림 5-9] 코로나19 계기 차별대상 176

[그림 5-10] 코로나19 이후 잠재적 차별 가능성 176

[그림 5-11]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차별대상 유무 177

[그림 5-12]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차별대상(복수 응답) 178

[그림 5-13]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장 차별/혐오 대상이 된 사람/집단 여부 179

[그림 5-14]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장 차별/혐오 대상이 된 사람/집단(중복 응답) 179

[그림 5-15] 지역사회 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완치자에 대한 차별대우 인식 180

[그림 5-16] 터키 내 코로나19 확진자/완치자에 대한 차별대우 인식 181

[그림 5-17] 지역사회 내에서 차별을 받은 집단/사람 182

[그림 6-1]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코로나 민감도 212

[그림 6-2]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코로나 우울 213

[그림 6-3]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정부 대응정책 신뢰도 217

[그림 6-4] 개인 및 가구 특성별 개인 생활수칙 준수도 218

[그림 6-5] 개인 및 가구 특성별 포스트코로나 개인 생활 전망 220

[그림 6-6] 개인 및 가구 특성별 사회경제 전망 221

[그림 7-1] 개인의 정신건강 229

[그림 7-2] 생태학적 정신건강과 코로나의 영향 230

[그림 7-3] 코로나의 영향: 자연 실험설계 235

[그림 7-4] 연구모형 239

[그림 7-5]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분석 연구모형 239

[그림 7-6] 연령대별 행복도 수준 및 변화 242

[그림 7-7] 성별 행복도 수준 및 변화 243

[그림 7-8] 소득계층별 행복도 수준 및 변화 244

[그림 7-9] 수도권과 비수도권 행복도 수준 및 변화 245

[그림 7-10] 농어촌, 중소도시, 대도시 행복도 수준 및 변화 246

[그림 7-11] 농어촌과 도시 행복도 수준 및 변화 247

[그림 7-12] 연령대별 우울 정도 및 변화 249

[그림 7-13] 성별 우울 정도 및 변화 250

[그림 7-14] 소득계층별 우울 정도 및 변화 251

[그림 7-15] 수도권과 비수도권 우울 정도 및 변화 252

[그림 7-16] 농어촌, 중소도시, 대도시 우울 정도 및 변화 253

[그림 7-17] 농어촌과 도시 우울 정도 및 변화 254

[그림 7-18] 연령대별 삶의 만족도 수준 및 변화 256

[그림 7-19] 성별 삶의 만족도 수준 및 변화 257

[그림 7-20] 소득계층별 삶의 만족도 수준 및 변화 258

[그림 7-21] 수도권과 비수도권 삶의 만족도 수준 및 변화 259

[그림 7-22] 농어촌, 중소도시, 대도시 삶의 만족도 수준 및 변화 260

[그림 7-23] 농어촌과 도시 삶의 만족도 수준 및 변화 261

[그림 7-24] 연령대별 사회적 지지 수준 및 변화 263

[그림 7-25] 성별 사회적 지지 수준 및 변화 264

[그림 7-26] 소득계층별 사회적 지지 수준 및 변화 265

[그림 7-27]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회적 지지 수준 및 변화 266

[그림 7-28] 농어촌, 중소도시, 대도시 사회적 지지 수준 및 변화 267

[그림 7-29] 농어촌과 도시의 사회적 지지 수준 및 변화 268

[그림 7-30] 연령대별 자살생각 수준 및 변화 269

[그림 7-31] 성별 자살생각 수준 및 변화 270

[그림 7-32] 소득계층별 자살생각 수준 및 변화 271

[그림 7-33] 수도권과 비수도권 자살생각 수준 및 변화 272

[그림 7-34]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자살생각 수준 및 변화 273

[그림 7-35] 농어촌과 도시 자살생각 수준 및 변화 274

[그림 8-1]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소득감소 291

[그림 8-2] 외환위기 이후 불평등도와 경제성장률, 자살률, 출산율 추이 293

[그림 8-3] 자살률 추이 295

〈부표 1-1〉 모집단 집계구 분포 316

〈부표 1-2〉 모집단 가구 분포 318

〈부표 1-3〉 모집단 인구 분포 318

〈부표 1-4〉 모집단 인구의 성별 분포 319

〈부표 1-5〉 시도별 인구의 연령별 분포 320

〈부표 1-6〉 표본 규모 산정 325

〈부표 1-7〉 표본 집계구 배분: 방안 1 326

〈부표 1-8〉 표본 집계구 배분: 방안 2 327

〈부표 1-9〉 표본 집계구 배분: 방안 3 328

〈부표 3-1〉 응답자 월평균 근로소득 349

〈부표 3-2〉 코로나19 발생 이후 근로소득 감소 경험 350

〈부표 3-3〉 코로나19 발생 이후 근로소득 감소 정도 351

〈부표 3-4〉 코로나19 발생 이후 근로소득 감소 지속 기간 352

〈부표 3-5〉 코로나19 발생 이후 근로소득 감소 이유 353

〈부표 3-6〉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어려움: (1) 신용카드 대금이나 대출 이자를 연체한 적이 있다 354

〈부표 3-7〉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어려움: (2) 공과금을 기한 내 납부하지 못한 적이 있다 355

〈부표 3-8〉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어려움: (3) 집세(월세ㆍ일세)가 밀린 적이 있다 356

〈부표 3-9〉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어려움: (4) 돈이 필요해 적금 및 보험을 해지한 적이 있다 357

〈부표 3-10〉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어려움: (5)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돈이 필요해 금융기관이나 지인 등으로부터... 358

〈부표 3-11〉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1) 소득계층 - 1) 상층 359

〈부표 3-12〉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1) 소득계층 - 2) 중간층 360

〈부표 3-13〉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1) 소득계층 - 3) 하층 361

〈부표 3-14〉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2) 성별 - 1) 남성 362

〈부표 3-15〉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2) 성별 - 2) 여성 363

〈부표 3-16〉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3) 세대 - 1) 청년 364

〈부표 3-17〉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3) 세대 - 2) 장년층 365

〈부표 3-18〉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3) 세대 - 3) 노년층 366

〈부표 3-19〉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정책 평가: (1) 정부의 의료적 방역 조치 367

〈부표 3-20〉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정책 평가: (2) 코로나19와 관련된 정부의 정보제공 368

〈부표 3-21〉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정책 평가: (3) 정부의 사회경제정책 369

〈부표 3-22〉 국가위기 시 공공부문 제공 정보에 대한 신뢰도 370

〈부표 3-23〉 코로나19 이후 생활방식: (1) 방역지침을 철저하게 지키는 편이다 371

〈부표 3-24〉 코로나19 이후 생활방식: (2) 건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편이다 372

〈부표 3-25〉 코로나19 이후 생활방식: (3) 자기개발과 미래대비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 373

〈부표 3-26〉 코로나19 이후 생활방식: (4) 가족, 친구, 동료 등과 비대면 접촉(전화, SNS 등)을 통해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 한다 374

〈부표 3-27〉 코로나19 발생 이후 본인 삶의 변화: (1) 가구 경제 상황 375

〈부표 3-28〉 코로나19 발생 이후 본인 삶의 변화: (2) 가족관계 376

〈부표 3-29〉 코로나19 발생 이후 본인 삶의 변화: (3) 친구, 동료들과의 관계 377

〈부표 3-30〉 코로나19 발생 이후 본인 삶의 변화: (4)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 378

〈부표 3-31〉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1) 경제적 수준 379

〈부표 3-32〉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2) 불평등, 양극화 380

〈부표 3-33〉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3) 시민의식 381

〈부표 3-34〉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4) 전반적인 사회의 질 수준 382

〈부표 3-35〉 코로나19 계기로 '나도 차별대상/소수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지 여부 383

〈부표 3-36〉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장 차별/혐오 대상 된 사람/집단_1순위 384

〈부표 3-37〉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장 차별/혐오 대상 된 사람/집단_2순위 386

〈부표 3-38〉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장 차별/혐오 대상 된 사람/집단_1+2순위(중복응답) 388

〈부표 3-39〉 지역사회 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완치자에 대한 차별대우 인식 390

〈부표 3-40〉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원 경험(전 국민 대상 제외) 391

〈부표 3-41〉 수령한 특정 대상 재난지원금 종류_1순위 392

〈부표 3-42〉 수령한 특정 대상 재난지원금 종류_2순위 393

〈부표 3-43〉 수령한 특정 대상 재난지원금 종류_3순위 394

〈부표 3-44〉 수령한 특정 대상 재난지원금 종류_1+2+3순위(중복응답) 395

〈부표 3-45〉 지급된 정부지원에 대한 만족도 396

〈부표 3-46〉 본인의 가구가 정부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한 인식 397

〈부표 3-47〉 긴급재난 지원금의 지급 방식에 대한 의견 398

〈부표 3-48〉 어제 행복했던 정도 399

〈부표 3-49〉 어제 우울했던 정도 400

〈부표 3-50〉 삶에 만족하는 정도 401

〈부표 3-51〉 사회적 지지 정도 402

〈부표 3-52〉 마음을 털어 놓고 상의할 수 있는 사람 403

〈부표 3-53〉 가장 먼저 도움을 청할 사람: (1) 감기가 심하게 걸려 식사 준비나 장보기와 같은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 404

〈부표 3-54〉 가장 먼저 도움을 청할 사람: (2) 큰돈을 갑자기 빌릴 일이 생길 경우 405

〈부표 3-55〉 가장 먼저 도움을 청할 사람: (3)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아서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고싶을 경우 406

〈부표 3-56〉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1) 예상치 못한 일이 생겨서 기분 나빠진 적이 있다 407

〈부표 3-57〉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2) 중요한 일들을 통제할 수 없다고 느낀 적이 있다 408

〈부표 3-58〉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3) 초조하거나 스트레스가 쌓인다고 느낀 적이 있다 409

〈부표 3-59〉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4) 짜증나고 성가신 일들을 성공적으로 처리한 적이 있다 410

〈부표 3-60〉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5) 생활 속에서 일어난 중요한 변화들을 효과적으로 대처한 적이 있다 411

〈부표 3-61〉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6) 개인적인 문제를 처리하는 능력에 대해 자신감을 느낀 적이 있다 412

〈부표 3-62〉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7) 자신의 뜻대로 일이 진행된다고 느낀 적이 있다 413

〈부표 3-63〉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8) 매사를 잘 컨트롤하고 있다고 느낀 적이 있다 414

〈부표 3-64〉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9) 당신이 통제할 수 없는 범위에서 발생한 일 때문에 화가 난 적이 있다 415

〈부표 3-65〉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 (10) 어려운 일이 너무 많이 쌓여서 극복할 수 없다고 느낀 적이 있다 416

〈부표 3-66〉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1) 먹고 싶지 않고 식욕이 없다 417

〈부표 3-67〉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2) 비교적 잘 지냈다 418

〈부표 3-68〉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3) 상당히 우울했다 419

〈부표 3-69〉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4) 모든 일이 힘들게 느껴졌다 420

〈부표 3-70〉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5) 잠을 설쳤다(잠을 잘 이루지 못했다) 421

〈부표 3-71〉 지난 일주일 간 부정적 경험: (6) 세상에 홀로 있는 듯 한 외로움을 느꼈다 422

〈부표 3-72〉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7) 큰 불만 없이 생활했다 423

〈부표 3-73〉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8) 사람들이 나에게 차갑게 대하는 것 같았다 424

〈부표 3-74〉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9) 마음이 슬펐다 425

〈부표 3-75〉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10)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았다 426

〈부표 3-76〉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 (11) 도무지 뭘 해 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 427

〈부표 3-77〉 지난 일주일간 부정적 경험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낀 경험 428

〈부표 3-78〉 지난 1년간 죽고 싶다는 생각 429

〈부표 3-79〉 지난 1년간 죽고 싶었던 이유 430

〈부표 3-80〉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 431

〈부표 3-81〉 기관에 대한 신뢰도: (1) 대기업 432

〈부표 3-82〉 기관에 대한 신뢰도: (2) 종교계 433

〈부표 3-83〉 기관에 대한 신뢰도: (3) 교육계 434

〈부표 3-84〉 기관에 대한 신뢰도: (4) 노동조합 435

〈부표 3-85〉 기관에 대한 신뢰도: (5) 언론계(신문사, TV 방송국) 436

〈부표 3-86〉 기관에 대한 신뢰도: (6) 의료계 437

〈부표 3-87〉 기관에 대한 신뢰도: (7) 행정부(청와대, 중앙정부, 지방자치정부 등) 438

〈부표 3-88〉 기관에 대한 신뢰도: (8) 입법부(국회) 439

〈부표 3-89〉 기관에 대한 신뢰도: (9) 사법부(법원) 440

〈부표 3-90〉 기관에 대한 신뢰도: (10) 군대 441

〈부표 3-91〉 기관에 대한 신뢰도: (11) 금융기관 442

〈부표 3-92〉 기관에 대한 신뢰도: (12) 시민운동단체 443

〈부표 3-93〉 다음 의견에 대한 동의: (1) 내가 완전히 믿을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444

〈부표 3-94〉 다음 의견에 대한 동의: (2) 만약 조심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은 나를 이용하려 들 것이다 445

〈부표 3-95〉 다음 의견에 대한 동의: (3) 사람들은 대개 이기적이다 446

〈부표 3-96〉 다음 의견에 대한 동의: (4) 오늘날 한국에서 높은 지위에 오르려면 부패할 수밖에 없다 447

〈부표 3-97〉 다음 의견에 대한 동의: (5) 한국의 소득격차는 너무 크다 448

〈부표 3-98〉 다음 의견에 대한 동의: (6)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사이의 소득격차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 449

〈부표 3-99〉 다음 의견에 대한 동의: (7) 정부는 실업자에게 적정한 수준의 삶을 제공해야 한다 450

〈부표 3-100〉 다음 의견에 대한 동의: (8) 정부는 빈곤한 사람들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한다 451

〈부표 3-101〉 1년간 활동 빈도: (1) 자원봉사 452

〈부표 3-102〉 1년간 활동 빈도: (2) 사회단체나 기관에 기부 453

〈부표 3-103〉 국가 자긍심 454

〈부표 3-104〉 지난 10년 동안 생활수준의 변화 455

〈부표 3-105〉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 456

〈부표 3-106〉 자식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 예상 457

〈부표 3-107〉 현재 우리나라 사회통합 정도 458

〈부표 3-108〉 이웃과의 관계: (1) 이웃과 만나면 이야기를 나누는 편이다 459

〈부표 3-109〉 이웃과의 관계: (2) 이웃이 곤경에 처하면 도울 의향이 있다 460

〈부표 3-110〉 이웃과의 관계: (3) 이웃 사람들은 대체로 믿을 수 있다 461

〈부표 3-111〉 이웃과의 관계: (4) 이 동네 이웃 사람들은 대체로 서로 잘 어울리지 않는다 462

〈부표 3-112〉 이웃과의 관계: (5) 이 동네 이웃들과 나의 수준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463

〈부표 3-113〉 코로나19로 가장 위협받는 사회적 가치 464

〈부표 3-114〉 코로나19로 가장 높아진 사회적 가치 465

〈부표 3-115〉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한국사회가 안전한 정도 466

〈부표 3-116〉 다음 현상으로 인해 불안한 정도: (1) 자연재해 관련 467

〈부표 3-117〉 다음 현상으로 인해 불안한 정도: (2) 건강 관련 468

〈부표 3-118〉 다음 현상으로 인해 불안한 정도: (3) 생애주기 관련 469

〈부표 3-119〉 다음 현상으로 인해 불안한 정도: (4) 사회생활 관련 470

〈부표 3-120〉 다음 현상으로 인해 불안한 정도: (5) 경제생활 관련 471

〈부표 3-121〉 다음 현상으로 인해 불안한 정도: (6) 정치 및 대외 관계 관련 472

〈부표 3-122〉 다음 현상으로 인해 불안한 정도: (7) 환경 관련 473

〈부표 3-123〉 우리니라 갈등 정도 474

〈부표 3-124〉 집단 간 갈등 정도: (1)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간의 갈등 475

〈부표 3-125〉 집단 간 갈등 정도: (2) 경영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 476

〈부표 3-126〉 집단 간 갈등 정도: (3) 주택소유자와 비소유자 간의 갈등 477

〈부표 3-127〉 집단 간 갈등 정도: (4)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 478

〈부표 3-128〉 집단 간 갈등 정도: (5) 여성과 남성 간의 갈등 479

〈부표 3-129〉 집단 간 갈등 정도: (6)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갈등 480

〈부표 3-130〉 집단 간 갈등 정도: (7)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 481

〈부표 3-131〉 집단 간 갈등 정도: (8) 지역 간의 갈등(수도권과 지방, 영남과 호남) 482

〈부표 3-132〉 가구주 소득 단절 시 공적/사적 지원 없이 가계 유지 할 수 있는 기간 483

해시태그

#사회통합 #사회갈등 #사회복지 #사회정책 #삶의만족도 #정신건강 #코로나19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