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 사회통합과 국민행복을 중심으로

목차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Abstract 12

요약 13

제1장 서론 3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3

1. 연구의 필요성 33

2. 연구의 목적 34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4

1. 연구의 내용 34

2. 연구의 방법 35

제2장 사회통합의 개념 및 수준 38

제1절 사회통합의 개념 39

제2절 선행연구 검토 42

1. 사회통합의 측정 지표 42

2. 사회통합 수준의 측정 결과 46

제3절 한국의 사회통합 수준 53

1. 사회통합 수준 비교 전략 53

2. 한국의 사회통합 상태 수준-시기적 변화의 파악 54

3. 한국의 사회통합 수준: 국제 비교 59

제4절 한국인의 사회통합 상태 진단 69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79

제3장 사회통합인식의 결정요인 82

제1절 이론적 배경 83

1. 들어가며 83

2. 사회적 포용: 빈곤, 불평등 84

3. 사회적 자본: 신뢰, 사회적 참여 86

4. 갈등의식 89

제2절 사회통합인식의 결정요인 분석 91

1. 연구분석틀 91

2. 분석결과 92

제3절 사회통합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38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47

제4장 행복의 개념 및 수준 150

제1절 이론적 배경 151

1. 행복의 의미 151

2. 행복에 대한 접근방식 154

제2절 선행연구 160

1. 객관적 삶의 질 수준 160

2. 주관적 행복수준 165

제3절 가구 유형별 개인 특성별 행복수준 167

1. 행복도와 다른 변수 간의 상관관계 167

2. 개인특성별 행복수준 168

3. 가구특성별 행복수준 172

4. 가구경제 수준별 행복수준 175

5. 사회통합과 행복수준 177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80

제5장 행복의 결정요인 182

제1절 서론 183

제2절 기존 연구 및 연구 방법 185

1. 기존 이론 및 연구들 185

2. 연구방법 189

제3절 분석 결과 193

1. 개인특성과 가구특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193

2. 객관적인 경제적 수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196

3. 주관적인 계층의식과 기대 수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200

4. 사회통합 수준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203

5.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종합 모형) 206

제4절 논의 및 소결 209

제6장 결론: 사회통합과 행복간의 관계 및 시사점 211

제1절 사회통합과 행복간의 관계 212

제2절 함의 및 정책제언 214

1. 사회통합 수준 및 결정요인의 함의 214

2. 행복 수준 및 결정요인의 함의 215

3. 정책 제언 217

참고문헌 219

[부록 1]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표본설계 224

[부록 2]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조사표 243

[부록 3]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기초분석표 255

판권기 2

〈표 1-1〉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개요 36

〈표 2-1〉 Chan, To and Chan(2006)의 사회통합의 측정 방법 43

〈표 2-2〉 사회발전을 위한 캐나다 협의회(2000)의 사회통합 지표 44

〈표 2-3〉 Berger-Schmitt(2000)의 두 가지 사회통합 전략 목표와 측정 내용 45

〈표 2-4〉 노대명 외(2010)의 사회통합의 영역구성 45

〈표 2-5〉 노대명 외(2010)의 사회통합 조건지표 영역 및 영역별 지표 46

〈표 2-6〉 강신욱 외(2012)의 사회통합 지표 48

〈표 2-7〉 연도별 한국인의 주관적 계층의식 변화 55

〈표 2-8〉 주관적 계층 집단별 자식세대의 계층이동 가능성 인식 55

〈표 2-9〉 연도별 각종 단체 참여 변화(중복응답) 56

〈표 2-10〉 연도별 자원봉사 참여 변화 57

〈표 2-11〉 연도별 기부율 변화 57

〈표 2-12〉 연도별 사회에 대한 신뢰 변화 58

〈표 2-13〉 연도별 사람에 대한 신뢰 변화 59

〈표 2-14〉 국가별 사회경제적 수준 및 조건 61

〈표 2-15〉 국가별 건강 및 생활만족도 62

〈표 2-16〉 국가별 고용상태 및 조건 64

〈표 2-17〉 국가별 사회통합 수준(2010년 기준): 시민활동, 집단 간 응집, 단체참여 66

〈표 2-18〉 국가별 사회통합 수준(2010년 기준): 안전 및 신뢰, 성평등, 소수자 포용 68

〈표 2-19〉 신뢰도, 갈등인식, 공정성 인식, 사회활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차이 71

〈표 2-20〉 신뢰도, 갈등인식, 공정성 인식, 사회활동의 경제활동 특성별 차이 73

〈표 2-21〉 신뢰도, 갈등인식, 공정성 인식, 사회활동의 가구특성별 차이 75

〈표 2-22〉 신뢰도, 갈등인식, 공정성 인식, 사회활동의 가구 경제력 수준별 차이 78

〈표 3-1〉 사회통합 인식 분석을 위한 관련 변수 91

〈표 3-2〉 빈곤 및 불평등에 대한 인식 92

〈표 3-3〉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 93

〈표 3-4〉 빈곤 및 불평등에 대한 인식(성별에 따른 변화) 93

〈표 3-5〉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성별에 따른 변화) 93

〈표 3-6〉 빈곤 및 불평등에 대한 인식(연령에 따른 변화) 94

〈표 3-7〉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연령에 따른 변화) 95

〈표 3-8〉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학력에 따른 변화) 96

〈표 3-9〉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 인식(혼인상태 및 가구형태) 96

〈표 3-10〉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빈곤여부) 97

〈표 3-11〉 빈곤 및 불평등에 대한 인식(소득계층에 따른 변화) 98

〈표 3-12〉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소득계층에 따른 변화) 98

〈표 3-13〉 빈곤 및 불평등에 대한 인식(이념적 성향에 따른 변화) 99

〈표 3-14〉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이념 성향) 99

〈표 3-15〉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노동시장 참여형태Ⅰ에 따른 변화) 100

〈표 3-16〉 주관적 소득계층 및 생활수준에 대한 인식(노동시장 참여형태Ⅱ에 따른 변화) 101

〈표 3-17〉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도 102

〈표 3-18〉 경제ㆍ이념적 특성별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도 103

〈표 3-19〉 기관 및 단체 신뢰도 104

〈표 3-20〉 성별 기관 및 단체 신뢰도 105

〈표 3-21〉 연령별 기관 및 단체 신뢰도 106

〈표 3-22〉 학력별 기관 및 단체 신뢰도 108

〈표 3-23〉 주관적 소득계층별 기관 및 단체 신뢰도 109

〈표 3-24〉 이념적 성향에 따른 기관 및 단체 신뢰도 111

〈표 3-25〉 경제활동상태1에 따른 기관 및 단체 신뢰도 112

〈표 3-26〉 경제활동상태2에 따른 기관 및 단체 신뢰도 113

〈표 3-27〉 단체 활동 정도 115

〈표 3-28〉 성별 단체 활동 정도 116

〈표 3-29〉 연령별 단체 활동 정도 117

〈표 3-30〉 학력별 단체 활동 정도 118

〈표 3-31〉 혼인상태별 단체 활동 정도 120

〈표 3-32〉 가구형태별 단체 활동 정도 121

〈표 3-33〉 빈곤여부에 따른 단체 활동 정도 122

〈표 3-34〉 주관적 소득계층별 단체 활동 정도 123

〈표 3-35〉 경제활동 상태에 따른 단체 활동 정도 124

〈표 3-36〉 이념적 성향에 따른 단체 활동 정도 126

〈표 3-37〉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27

〈표 3-38〉 성별 및 연령별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27

〈표 3-39〉 학력별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28

〈표 3-40〉 혼인상태별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28

〈표 3-41〉 가구형태별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29

〈표 3-42〉 빈곤여부에 따른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29

〈표 3-43〉 주관적 계층의식에 따른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30

〈표 3-44〉 경제활동상태Ⅰ에 따른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30

〈표 3-45〉 경제활동상태Ⅱ에 따른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31

〈표 3-46〉 이념적 성향에 따른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정도 131

〈표 3-47〉 갈등에 대한 인식 132

〈표 3-48〉 갈등에 대한 인식(성별에 따른 변화) 133

〈표 3-49〉 갈등에 대한 인식(연령에 따른 변화) 134

〈표 3-50〉 갈등에 대한 인식(학력에 따른 변화) 135

〈표 3-51〉 갈등에 대한 인식(소득계층에 따른 변화) 136

〈표 3-52〉 갈등에 대한 인식(이념적 성향에 따른 변화) 137

〈표 3-53〉 갈등에 대한 인식(노동시장 참여형태Ⅰ에 따른 변화) 138

〈표 3-54〉 인구사회적 변수가 사회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 139

〈표 3-55〉 경제적 변수가 사회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 141

〈표 3-56〉 인구 및 경제적 변수가 사회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 142

〈표 3-57〉 사회통합 인식관련 다항로짓분석 : 빈곤 및 불평등 의식 143

〈표 3-58〉 사회통합 인식관련 다항로짓분석 : 사회적 참여의식 144

〈표 3-59〉 사회통합 인식관련 다항로짓분석 : 기관 및 단체 신뢰 145

〈표 3-60〉 사회통합 인식관련 다항로짓분석 : 갈등의식 146

〈표 4-1〉 한국의 HDI 점수의 변화 161

〈표 4-2〉 HDI와 EIU 삶의 질 지수와 한국의 순위 162

〈표 4-3〉 한국인의 행복감 정도 166

〈표 4-4〉 한국인의 삶의 만족 정도 166

〈표 4-5〉 한국인의 주관적 안녕의 정도(순위) 167

〈표 4-6〉 행복도, 만족도, 우울도와 영역별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168

〈표 4-7〉 행복도, 만족도, 우울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차이 170

〈표 4-8〉 행복도, 만족도, 우울도의 경제적 특성별 차이 172

〈표 4-9〉 행복도, 만족도, 우울도의 가구특성별 차이 173

〈표 4-10〉 행복도, 만족도, 우울도의 가구 경제력 수준별 차이 176

〈표 4-11〉 사회통합과 행복도, 삶의 만족도, 우울도 178

〈표 5-1〉 종속변수, 독립변수 및 통제변수의 기술분석 결과 191

〈표 5-2〉 개인특성과 가구특성이 주관적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Base Model) 194

〈표 5-3〉 객관적인 경제적 수준이 주관적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선형모형) 197

〈표 5-4〉 객관적인 경제적 수준이 주관적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로그모형) 199

〈표 5-5〉 주관적인 경제적 수준과 기대수준이 주관적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201

〈표 5-6〉 사회통합도가 주관적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204

〈표 5-7〉 주관적 행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종합모형) 206

〈표 6-1〉 사회통합과 행복도, 삶의 만족도, 우울도 213

[그림 2-1] 노대명 외(2009)의 'OECD 각국의 사회통합지수' 48

[그림 2-2] 강신욱 외(2012)의 OECD 국가의 사회적 결속 지수(2010) 49

[그림 2-3] 강신욱 외(2012)의 OECD 국가의 사회적 안정성 지수(2010) 50

[그림 2-4] 강신욱 외(2012)의 OECD 국가의 사회적 형평성 지수(2010) 51

[그림 2-5] 사회적 안정성 지수와 사회적 결속 지수의 관계 52

[그림 2-6] 사회적 형평성 지수와 사회적 결속 지수의 관계 53

[그림 2-7] 연도별 사회에 대한 신뢰 58

[그림 2-8] 연령대별 신뢰도, 갈등인식, 공정성 인식, 사회활동 72

[그림 2-9] 경제적 특성별 사회활동 참여도 74

[그림 2-10] 가구특성별 신뢰도 76

[그림 2-11] 가구특성별 사회활동 참여도 76

[그림 2-12] 소득 및 재산분위별 신뢰도 79

[그림 4-1] KIHASA 종합복지지수 추이(1990~2010) 165

[그림 4-2] 연령별 행복도와 만족도 추세 169

[그림 4-3] 성격(부정적-긍정적)별 행복도, 삶의 만족도, 우울도 171

[그림 4-4] 일자리의 성격별 행복도 172

[그림 4-5] 가구 내 취약계층 유무별 행복도 174

[그림 4-6] 가구형태 및 주택 소유 등에 따른 행복도 174

[그림 4-7] 소득10분위별 행복도와 우울정도 175

[그림 4-8] 계층인식 및 생활수준변화와 행복도 176

[그림 4-9] 자부심, 신뢰도 및 사회활동과 행복도 178

[그림 4-10] 그림. 사회갈등인식 및 사회불공정인식 수준과 행복도 179

[그림 5-1] 1인당 GDP와 행복 간의 관계 187

[그림 6-1] 자부심, 신뢰도 및 사회활동과 행복도 212

[그림 6-2] 사회갈등인식 및 사회불공정인식 수준과 행복도 214

〈부표 1-1〉 2011년 최저생계비 조사의 지역별 조사구 및 가구 규모 224

〈부표 1-2〉 층별 표본 가구 규모 226

〈부표 1-3〉 층별 표본 가구 규모 227

〈부표 1-4〉 가구 설계가중치의 기초통계 231

〈부표 1-5〉 2012년 대비 2014년 표본에 대한 가중치 조정 승수 232

〈부표 1-6〉 가구 설계가중치의 조사구 승수조정 가중치 233

〈부표 1-7〉 가구 설계가중치의 가구 승수조정 가중치 233

〈부표 1-8〉 지역별 기구원수 분포 235

〈부표 1-9〉 래킹비 조정 인자 236

〈부표 1-10〉 가구 가중치의 래킹비 조정 가중치 237

〈부표 1-11〉 가구원 가중치의 성인 승수 조정 가중치 238

〈부표 1-12〉 가구원 가중치의 래킹 조정인자 239

〈부표 1-13〉 가구원 래킹 조정 가중치 240

〈부표 3-1〉 동거 가족과의 활동 Ⅰ: 저녁식사 255

〈부표 3-2〉 동거 가족과의 활동 Ⅱ: 여가활동 256

〈부표 3-3〉 희망 시간사용 Ⅰ: 수입이 생기는 일을 하는 시간 257

〈부표 3-4〉 희망 시간사용 Ⅱ: 가사 일을 하는 시간 258

〈부표 3-5〉 희망 시간사용 Ⅲ: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 259

〈부표 3-6〉 희망 시간사용 Ⅳ: 여가활동 시간 260

〈부표 3-7〉 사회활동 참여 Ⅰ: 정당 261

〈부표 3-8〉 사회활동 참여 Ⅱ: 시민운동단체 262

〈부표 3-9〉 사회활동 참여 Ⅲ: 노조, 사업자단체 또는 직업조합 263

〈부표 3-10〉 사회활동 참여 Ⅳ: 종교단체 264

〈부표 3-11〉 사회활동 참여 Ⅴ: 스포츠, 취미, 레저 모임 등 문화단체 265

〈부표 3-12〉 사회활동 참여 Ⅵ: 동창모임 266

〈부표 3-13〉 사회활동 참여 Ⅶ: 향우회 267

〈부표 3-14〉 사회활동 참여 Ⅷ: 친목단체 268

〈부표 3-15〉 사회활동 참여 Ⅸ: 기타 모임이나 단체 269

〈부표 3-16〉 도움을 요청할 사람 Ⅰ: 감기가 심하게 걸려 식사준비나 장보기와 같은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 270

〈부표 3-17〉 도움을 요청할 사람 Ⅱ: 큰 돈을 갑자기 빌릴 일이 생길 경우 271

〈부표 3-18〉 도움을 요청할 사람 Ⅲ: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아서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을 경우 272

〈부표 3-19〉 삶의 만족도 273

〈부표 3-20〉 하는 일의 가치 274

〈부표 3-21〉 행복 275

〈부표 3-22〉 우울 276

〈부표 3-23〉 자기상 Ⅰ: 불행 vs. 행복 277

〈부표 3-24〉 자기상 Ⅱ: 동년배에 비해 덜 행복 vs. 더 행복 278

〈부표 3-25〉 자기상 Ⅲ: 부정 vs. 긍정 279

〈부표 3-26〉 삶의 영역 만족 Ⅰ: 생활수준 280

〈부표 3-27〉 삶의 영역 만족 Ⅱ: 건강 281

〈부표 3-28〉 삶의 영역 만족 Ⅲ: 삶에서 성취한 것 282

〈부표 3-29〉 삶의 영역 만족 Ⅳ: 개인적인 관계 283

〈부표 3-30〉 삶의 영역 만족 Ⅴ: 안전 284

〈부표 3-31〉 삶의 영역 만족 Ⅵ: 사회의 전반적인 안전 285

〈부표 3-32〉 삶의 영역 만족 Ⅶ: 미래 안정성 286

〈부표 3-33〉 삶의 영역 만족 Ⅷ: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 287

〈부표 3-34〉 삶의 영역 만족 Ⅸ: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 전반 288

〈부표 3-35〉 삶의 영역 만족 Ⅹ: 직업 289

〈부표 3-36〉 행복의 조건 1순위 290

〈부표 3-37〉 행복의 조건 2순위 291

〈부표 3-38〉 행복하기 위한 월평균 가구소득 292

〈부표 3-39〉 행복하기 위한 가구재산 293

〈부표 3-40〉 타인에 대한 신뢰도 분포Ⅰ 294

〈부표 3-41〉 타인에 대한 신뢰도 분포Ⅱ 295

〈부표 3-42〉 사회전반에 대한 신뢰도 분포 296

〈부표 3-43〉 대기업에 대한 신뢰도 분포 297

〈부표 3-44〉 종교계에 대한 신뢰도 분포 298

〈부표 3-45〉 교육계에 대한 신뢰도 분포 299

〈부표 3-46〉 노동조합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0

〈부표 3-47〉 언론계(신문사, TV방송국 등)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1

〈부표 3-48〉 의료계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2

〈부표 3-49〉 행정부(청와대, 중앙정부, 지자체 등)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3

〈부표 3-50〉 입법부(국회)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4

〈부표 3-51〉 사법부(법원)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5

〈부표 3-52〉 군대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6

〈부표 3-53〉 금융기관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7

〈부표 3-54〉 시민운동단체에 대한 신뢰도 분포 308

〈부표 3-55〉 검찰ㆍ경찰에 대한 신뢰도 인식 분포 309

〈부표 3-56〉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 분포 310

〈부표 3-57〉 '경영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 분포 311

〈부표 3-58〉 '주택소유자와 비소유자 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 분포 312

〈부표 3-59〉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 분포 313

〈부표 3-60〉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 분포 314

〈부표 3-61〉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 분포 315

〈부표 3-62〉 '지역(수도권과 지방, 영남과 호남) 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 분포 316

〈부표 3-63〉 '다문화 갈등(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북한이탈주민 등)'에 대한 인식 분포 317

〈부표 3-64〉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분포Ⅰ 318

〈부표 3-65〉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분포Ⅱ 319

〈부표 3-66〉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분포Ⅲ 320

〈부표 3-67〉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분포Ⅳ 321

〈부표 3-68〉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분포Ⅴ 322

〈부표 3-69〉 정치 관심도 분포 323

〈부표 3-70〉 제19대 국회의원 선거(2012.04.11.) 투표 여부 324

〈부표 3-71〉 제18대 대통령 선거(2012.12.19.) 투표 여부 325

〈부표 3-72〉 2014년 6월 4일 지방선거 투표 여부 326

〈부표 3-73〉 좋은 국민이 되기 위한 조건Ⅰ 327

〈부표 3-74〉 좋은 국민이 되기 위한 조건Ⅱ 328

〈부표 3-75〉 좋은 국민이 되기 위한 조건Ⅲ 329

〈부표 3-76〉 좋은 국민이 되기 위한 조건Ⅳ 330

〈부표 3-77〉 좋은 국민이 되기 위한 조건Ⅴ 331

〈부표 3-78〉 좋은 국민이 되기 위한 조건Ⅵ 332

〈부표 3-79〉 자원봉사활동 참여 수준 333

〈부표 3-80〉 사회단체나 기관에 기부 참여 수준 334

해시태그

#사회통합 #사회갈등 #사회복지 #사회정책 #행복지수 #삶의만족도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