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3, 사회통합 국민 인식

목차

표제지

목차

Abstract 17

요약 19

제1장 서론 30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1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설계 34

1. 연구 내용 34

2. 연구 방법 및 조사 설계 35

제2장 한국인의 사회통합 인식 구성 43

제1절 연구 배경 44

제2절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 45

1. 선행 연구 45

2. 연구 방법 48

제3절 분석 결과 53

1. 기초 분석 결과 53

2. 사회통합 평가에 대한 인식 구조의 영향 분석 64

3. 사회통합 인식 구조의 집단 간 차이 69

제4절 소결 73

제3장 사회통합 수준의 국제 비교 76

제1절 사회통합 측정 지표 및 자료 77

1. 사회통합 수준의 측정 지표 77

2. 사회통합 수준의 국가 간 비교 자료 80

제2절 사회통합 수준의 국제 비교 83

1. 삶의 만족도 및 행복 인식 83

2. 안전 및 건강 인식 86

3. 신뢰 및 갈등 인식 90

4. 네트워크 및 사회활동 참여 96

5. 정부의 역할 인식 102

제3절 소결 105

제4장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인식 109

제1절 서론 110

1. 문제제기 110

2.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 112

제2절 선행 연구 113

제3절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인식 114

1.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 114

2. 사회갈등과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 123

제4절 사회갈등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127

1. 사회갈등 인식 결정 요인 127

2. 사회통합 인식 결정 요인: 갈등 129

제5절 소결과 정책 함의 134

1. 소결 134

2. 정책 함의 135

제5장 박탈과 사회통합 인식 간의 관계: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138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39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140

1. 박탈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140

2. 연구 방법 142

제3절 분석 결과 145

1. 기초 분석 결과 145

2. 박탈이 주관적 사회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 154

제4절 소결 161

제6장 행복과 사회통합 인식 간의 관계 164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65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166

1. 행복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166

2. 연구 방법 169

제3절 분석 결과 172

1. 사회통합 인식과 행복의 응답 분포 172

2. 사회통합 인식과 행복의 관계 176

제4절 소결 181

제7장 결론 및 연구 함의 183

제1절 한국인의 사회통합 인식: 상태와 조건 184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정책 제언 186

1. 연구의 이론적 함의 186

2. 정책 제언 188

참고문헌 191

[부록 1]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 인식 조사」 표본 설계 197

[부록 2]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 인식 조사」 설문지 214

[부록 3]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 인식 조사」 기초 분석 229

판권기 2

〈표 1-1〉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 인식 조사 개요 36

〈표 1-2〉 응답자 분포 38

〈표 1-3〉 지속 설문 문항 39

〈표 1-4〉 2014년 주제모듈 '사회통합과 행복' 주요 조사 문항 40

〈표 1-5〉 2015년 주제모듈 '사회통합과 사회이동' 주요 조사 문항 40

〈표 1-6〉 2016년 주제모듈 '사회통합 국민 인식' 주요 조사 문항 41

〈표 1-7〉 2016년 국제 비교 가능 조사 문항 42

〈표 2-1〉 조사 문항 Ⅰ: 사회통합 요건의 중요도 51

〈표 2-2〉 조사 문항 Ⅱ: 한국 사회에 대한 평가 52

〈표 2-3〉 응답자 특성별 사회통합 평가 54

〈표 2-4〉 사회통합 평가와 사회 인식 간의 관계 55

〈표 2-5〉 사회통합 조건 중요도 평가 56

〈표 2-6〉 주관적 계층에 따른 사회통합 조건 중요도 평가 58

〈표 2-7〉 교육 수준, 이념 성향에 따른 사회통합 조건 중요도 평가 60

〈표 2-8〉 응답자 특성별 한국 사회에 대한 평가 62

〈표 2-9〉 사회통합 평가에 대한 사회 인식의 회귀분석 64

〈표 2-10〉 사회적 포용 관련 문항의 주성분 도출 결과(Varimax Rotate 결과) 65

〈표 2-11〉 사회적 자본 관련 문항의 주성분 도출 결과(Varimax Rotate 결과) 66

〈표 2-12〉 사회적 이동 관련 문항의 주성분 도출 결과(Varimax Rotate 결과) 66

〈표 2-13〉 영역별 중요도 평가 점수 67

〈표 2-14〉 사회통합 평가에 대한 사회통합 요소 중요도의 회귀분석 67

〈표 2-15〉 구조 모형 분석 결과 68

〈표 2-16〉 문항별 응답 평균과의 차이 70

〈표 2-17〉 각 집단의 사회통합 평가와 사회경제적 특징 73

〈표 3-1〉 사회통합 상태 지표의 예: Chan, To and Chan(2006)의 사회통합의 측정 방법 78

〈표 3-2〉 사회통합 조건 지표의 예: Berger-Schmitt(2000)의 두 가지 사회통합 전략 목표 78

〈표 3-3〉 강신욱 등(2012)의 사회통합 지표 79

〈표 3-4〉 국제 비교를 위한 사회통합 지표 체계 80

〈표 3-5〉 사회통합 비교 지표 및 이용 자료 82

〈표 3-6〉 사회활동(친목모임, 취미동호회, 각종 클럽활동 등) 참여 정도의 인식 97

〈표 3-7〉 친교 활동 정도 99

〈표 3-8〉 자원봉사 참여 정도 101

〈표 4-1〉 사회갈등 유형별 인식 115

〈표 4-2〉 유형별 사회갈등 점수: 성별, 연령별, 학력별 118

〈표 4-3〉 유형별 사회갈등 점수: 소득 분위별, 주관적 소득 계층별 119

〈표 4-4〉 유형별 사회갈등 점수: 정규-비정규별, 이념 성향별, 주택 소유 여부별 120

〈표 4-5〉 유형별 사회갈등 점수: 지역별, 권역별 121

〈표 4-6〉 10년 후 한국 사회 갈등 정도 122

〈표 4-7〉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갈등 유형: 1순위, 2순위 124

〈표 4-8〉 사회통합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에 대한 인식 126

〈표 4-9〉 사회갈등 인식의 주요 변수 설명 128

〈표 4-10〉 사회갈등 결정 요인 분석 결과 129

〈표 4-11〉 사회통합 인식의 주요 변수 설명 130

〈표 4-12〉 사회통합 결정 요인 분석 결과(1) 132

〈표 4-13〉 사회통합 결정 요인 분석 결과(2) 133

〈표 5-1〉 영역별 박탈 항목 143

〈표 5-2〉 사회통합 인식(종속변수)의 개념과 척도 145

〈표 5-3〉 인구학적 특성 146

〈표 5-4〉 연령별ㆍ박탈 항목별 박탈의 비율 147

〈표 5-5〉 연령별 박탈의 빈도 149

〈표 5-6〉 연령별 사회통합인식 점수 152

〈표 5-7〉 박탈과 사회통합 인식 간의 상관관계 153

〈표 5-8〉 총박탈점수가 사회통합 전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154

〈표 5-9〉 박탈 영역별 점수가 사회통합 전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155

〈표 5-10〉 총박탈점수가 사회적 포용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157

〈표 5-11〉 박탈 영역별 점수가 사회적 포용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158

〈표 5-12〉 총박탈점수가 사회적 신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159

〈표 5-13〉 박탈 영역별 점수가 사회적 신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160

〈표 5-14〉 분석 결과 요약: 사회통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 161

〈표 6-1〉 행복의 개념 구성 167

〈표 6-2〉 행복의 변수 설명 및 기초통계학적 특성 170

〈표 6-3〉 행복 결정 요인 변수 설명 및 기초통계학적 특성 171

〈표 6-4〉 사회통합의 변수 설명 및 기초통계학적 특성 171

〈표 6-5〉 사회통합 인식과 행복의 분포 173

〈표 6-6〉 사회통합 인식과 삶의 만족도 집단 구분 173

〈표 6-7〉 사회통합 인식과 삶의 만족도 집단별 특성 174

〈표 6-8〉 행복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177

〈표 6-9〉 우울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178

〈표 6-10〉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179

〈표 6-11〉 유데모닉 행복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180

〔그림 1-1〕 국민통합의 조건 32

〔그림 1-2〕 사회통합 국민 인식 조사 설계의 구조 모형 41

〔그림 2-1〕 이념 성향별 국민통합의 의미 46

〔그림 2-2〕 이념 성향별 '내가 생각하는 국민통합' 46

〔그림 2-3〕 이념 성향별 '통합을 위해 우선 노력해야 할 일' 46

〔그림 2-4〕 OECD(2011)의 사회통합의 세 요소 49

〔그림 2-5〕 한국 사회의 변화에 대한 평가 61

〔그림 2-6〕 사회통합 조건 중요도 평가 군집 분석 결과 71

〔그림 3-1〕 가구 소득 만족도 83

〔그림 3-2〕 개인 소득 만족도 84

〔그림 3-3〕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85

〔그림 3-4〕 행복도 86

〔그림 3-5〕 안전 인식 87

〔그림 3-6〕 최근 5년간 강도나 신체적 위해 경험 88

〔그림 3-7〕 건강 상태 인식 89

〔그림 3-8〕 건강문제로 인한 일상생활 곤란 경험 90

〔그림 3-9〕 타인에 대한 신뢰도 91

〔그림 3-10〕 타인의 이타심에 대한 인식 92

〔그림 3-11〕 타인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93

〔그림 3-12〕 성공 관련 부패 인식 94

〔그림 3-13〕 정치 영역의 부패 인식 95

〔그림 3-14〕 갈등 인식 96

〔그림 3-15〕 사회활동(친목모임, 취미동호회, 각종 클럽활동 등) 참여 정도의 인식 97

〔그림 3-16〕 사회활동참여와 타인에 대한 신뢰도 98

〔그림 3-17〕 친교 활동을 위한 만남의 정도 99

〔그림 3-18〕 친교 활동과 타인에 대한 신뢰도 100

〔그림 3-19〕 자원봉사 참여 정도 101

〔그림 3-20〕 정치적 관심도 102

〔그림 3-21〕 소득 격차 완화를 위한 정부의 책임 인식 103

〔그림 3-22〕 정부의 실업자 지원에 대한 동의 정도 104

〔그림 3-23〕 정부의 빈곤층 지원 축소에 대한 동의 정도 105

〔그림 4-1〕 사회갈등 인식 변화: 2014년과 2016년 116

〔그림 4-2〕 한국 사회 평가: 갈등이 심한 사회 vs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 123

〔그림 5-1〕 박탈 상태와 사회통합 인식 간의 관계 142

〔그림 5-2〕 빈곤율(중위 50% 기준) 및 절대적 박탈 경험률 148

〔그림 5-3〕 연령별 기초생계 박탈 비율 150

〔그림 5-4〕 연령별 주거 박탈 비율 150

〔그림 5-5〕 연령별 의료 박탈 및 교육 박탈 비율 151

〔그림 5-6〕 연령별 문화생활 박탈 및 미래 대비 박탈 비율 151

〔그림 6-1〕 사회통합 인식과 삶의 만족도 집단별 경제적 특성 175

〔그림 6-2〕 사회통합 인식과 삶의 만족도 집단별 사회적 특성 175

〈부표 1-1〉 2015년 전국 집계구 분포 197

〈부표 1-2〉 2015년 전국 신규 아파트 단지 분포 198

〈부표 1-3〉 층별 표본 집계구 및 신규 아파트 규모 199

〈부표 1-4〉 층별 표본 가구 규모 200

〈부표 1-5〉 가구 무응답 가중치 기초 통계 204

〈부표 1-6〉 가구 무응답 가중치의 권역별 기초 통계 204

〈부표 1-7〉 가구 이상 가중치 조정 결과 205

〈부표 1-8〉 가구 이상 가중치 조정 후 권역별 기초 통계 205

〈부표 1-9〉 권역별 기구원 수 분포 206

〈부표 1-10〉 래킹비 조정 인자 207

〈부표 1-11〉 권역별 가구 가중치의 래킹비 조정 207

〈부표 1-12〉 가구 가중치의 래킹비 조정 가중치 208

〈부표 1-13〉 가구원 가중치의 성인 승수 조정 가중치 209

〈부표 1-14〉 가구원 가중치의 래킹 조정인자 210

〈부표 1-15〉 권역별 가구 가중치의 래킹비 조정 211

〈부표 1-16〉 시도별 가구 가중치의 래킹비 조정 211

〈부표 3-1〉 어제 행복 229

〈부표 3-2〉 어제 우울 230

〈부표 3-3〉 삶의 만족도 231

〈부표 3-4〉 가치 있는 삶 232

〈부표 3-5〉 선택의 자유 233

〈부표 3-6〉 사회 신뢰 234

〈부표 3-7〉 삶의 영역 만족도: 생활수준 235

〈부표 3-8〉 삶의 영역 만족도: 건강 236

〈부표 3-9〉 삶의 영역 만족도: 삶에서 성취한 것 237

〈부표 3-10〉 삶의 영역 만족도: 개인적인 관계 238

〈부표 3-11〉 삶의 영역 만족도: 안전 239

〈부표 3-12〉 삶의 영역 만족도: 사회의 전반적인 안전 240

〈부표 3-13〉 삶의 영역 만족도: 미래 안정성 241

〈부표 3-14〉 삶의 영역 만족도: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 242

〈부표 3-15〉 삶의 영역 만족도: 지역사회 환경의 질 243

〈부표 3-16〉 삶의 영역 만족도: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 전반 244

〈부표 3-17〉 삶의 영역 만족도: 직업 245

〈부표 3-18〉 강도나 신체적 위해 경험 246

〈부표 3-19〉 어두울 때 안전하다는 느낌 247

〈부표 3-20〉 거주 지역이 외국인 거주자에게 살기 좋은 정도 248

〈부표 3-21〉 주관적 건강 249

〈부표 3-22〉 지속적인 질병, 장애, 쇠약, 정신건강 곤란 경험 250

〈부표 3-23〉 박탈: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고기나 생선 251

〈부표 3-24〉 박탈: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신선한 과일 252

〈부표 3-25〉 박탈: 가끔 기호식품 253

〈부표 3-26〉 박탈: 외투, 코트, 파카, 털이나 가죽옷 등 254

〈부표 3-27〉 박탈: 계절 정장 255

〈부표 3-28〉 박탈: 난방 256

〈부표 3-29〉 박탈: 방 257

〈부표 3-30〉 박탈: 대중교통 접근성 258

〈부표 3-31〉 박탈: 지상 거주 259

〈부표 3-32〉 박탈: 수세식 화장실 및 온수 목욕시설 260

〈부표 3-33〉 박탈: 정기 진료 261

〈부표 3-34〉 박탈: 치과 이용 262

〈부표 3-35〉 박탈: 의약품 구입 263

〈부표 3-36〉 박탈: 여행 264

〈부표 3-37〉 박탈: 특별한 날 기념 265

〈부표 3-38〉 박탈: 여가활동 266

〈부표 3-39〉 박탈: 위로받을 수 있는 친척이나 친구 267

〈부표 3-40〉 박탈: 저축 268

〈부표 3-41〉 박탈: 노후 대비 269

〈부표 3-42〉 박탈: 사적 보험 270

〈부표 3-43〉 박탈: 자녀 고등교육 271

〈부표 3-44〉 박탈: 자녀 사교육 272

〈부표 3-45〉 박탈: 자녀 기본 참고서나 도서 273

〈부표 3-46〉 박탈: 자녀 고등학교 졸업까지 양육 책임 274

〈부표 3-47〉 박탈: 식사의 양을 줄이거나 거름 275

〈부표 3-48〉 박탈: 기한 내 공과금 미납부 276

〈부표 3-49〉 박탈: 전기, 전화, 수도 등이 끊긴 경험 277

〈부표 3-50〉 박탈: 난방 278

〈부표 3-51〉 박탈: 병원 방문 279

〈부표 3-52〉 박탈: 집세를 이유로 이사 280

〈부표 3-53〉 박탈: 자녀 공교육비 281

〈부표 3-54〉 박탈: 대인 신뢰 282

〈부표 3-55〉 박탈: 타인이 나를 이용 283

〈부표 3-56〉 이기적 타인 284

〈부표 3-57〉 부패 인식: 정치 영역 285

〈부표 3-58〉 부패 인식: 경제 영역 286

〈부표 3-59〉 갈등 인식: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간의 갈등 287

〈부표 3-60〉 갈등 인식: 경영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 288

〈부표 3-61〉 갈등 인식: 주택 소유자와 비소유자 간의 갈등 289

〈부표 3-62〉 갈등 인식: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 290

〈부표 3-63〉 갈등 인식: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갈등 291

〈부표 3-64〉 갈등 인식: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 292

〈부표 3-65〉 갈등 인식: 지역 간의 갈등 293

〈부표 3-66〉 갈등 인식: 다문화 갈등 294

〈부표 3-67〉 갈등 인식: 개발주의자와 환경보호주의자 간의 갈등 295

〈부표 3-68〉 사회통합 저해 갈등 1순위 296

〈부표 3-69〉 사회통합 저해 갈등 2순위 297

〈부표 3-70〉 10년 후 갈등 인식Ⅰ: 가난한 사람 vs. 부유한 사람 298

〈부표 3-71〉 10년 후 갈등 인식Ⅱ: 경영자 vs. 노동자 299

〈부표 3-72〉 10년 후 갈등 인식Ⅲ: 주택 소유자 vs. 주택 비소유자 300

〈부표 3-73〉 10년 후 갈등 인식Ⅳ: 정규직 vs. 비정규직 301

〈부표 3-74〉 10년 후 갈등 인식Ⅴ: 고령자 vs. 젊은이 302

〈부표 3-75〉 10년 후 갈등 인식 Ⅵ: 진보 vs. 보수 303

〈부표 3-76〉 10년 후 갈등 인식 Ⅶ: 지역(수도권 vs 지방, 영남 vs. 호남) 304

〈부표 3-77〉 10년 후 갈등 인식 Ⅷ: 다문화(외국인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북한이탈주민 등) 305

〈부표 3-78〉 10년 후 갈등 인식 Ⅸ: 개발주의자 vs. 환경보호주의자 306

〈부표 3-79〉 사회인식Ⅰ: 성공과 부패의 연관성 인식 307

〈부표 3-80〉 사회인식 Ⅱ: 한국의 소득 격차 308

〈부표 3-81〉 정부의 역할 Ⅰ: 소득 격차 축소 309

〈부표 3-82〉 정부의 역할 Ⅱ: 실업자에게 적정 수준의 삶 제공 310

〈부표 3-83〉 정부의 역할 Ⅲ: 빈곤층 지원 축소 311

〈부표 3-84〉 자원봉사 참여 312

〈부표 3-85〉 사회단체나 기관에 기부 313

〈부표 3-86〉 사회적 네트워크 Ⅰ: 사회활동 참여 314

〈부표 3-87〉 사회적 네트워크 Ⅱ: 친교모임 참여 315

〈부표 3-88〉 사회적 네트워크 Ⅲ: 금전적 문제 발생 시 지인의 도움 316

〈부표 3-89〉 정치적 관심 317

〈부표 3-90〉 투표 여부 Ⅰ: 제8대 대통령 선거(2012. 12. 19.) 318

〈부표 3-91〉 투표 여부 Ⅱ: 지방선거(2014. 6. 4.) 319

〈부표 3-92〉 투표 여부 Ⅲ: 총선거(2016. 4. 13.) 320

〈부표 3-93〉 소득계층 인식 Ⅰ: 현재 321

〈부표 3-94〉 소득계층 인식 Ⅱ: 15세 무렵 322

〈부표 3-95〉 소득 만족도 323

〈부표 3-96〉 생활수준 인식 Ⅰ: 지난 10년 동안의 생활수준 324

〈부표 3-97〉 생활수준 인식 Ⅱ: 앞으로 10년 이내의 생활수준 변화 예측 325

〈부표 3-98〉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 Ⅰ: 세대 내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 기대 326

〈부표 3-99〉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Ⅱ: 세대 간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 327

〈부표 3-100〉 이념적 성향 328

〈부표 3-101〉 국가 자긍심 329

〈부표 3-102〉 사회통합 인식 330

〈부표 3-103〉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Ⅰ: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국민을 지원하는 것 332

〈부표 3-104〉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Ⅱ: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 333

〈부표 3-105〉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Ⅲ: 남성과 여성의 처우 차이를 줄이는 것 334

〈부표 3-106〉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Ⅳ: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처우 차이를 줄이는 것 335

〈부표 3-107〉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Ⅴ: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 336

〈부표 3-108〉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Ⅵ: 사회 구성원이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 337

〈부표 3-109〉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Ⅶ: 사회 구성원이 서로 믿고 살아가는 것 338

〈부표 3-110〉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Ⅷ: 사회 구성원이 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339

〈부표 3-111〉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Ⅸ: 법‧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 340

〈부표 3-112〉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 사회 구성원 각자가 주어진 역할에 충실한 것 341

〈부표 3-113〉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Ⅺ: 사회 구성원이 자기만을 생각하지 않고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것 342

〈부표 3-114〉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Ⅱ: 사회 구성원이 여러 모임 등에서 다양하게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 343

〈부표 3-115〉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Ⅲ: 충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 344

〈부표 3-116〉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Ⅳ: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는 사회를 만드는 것 345

〈부표 3-117〉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Ⅴ: 중산층이 두터운 사회를 만드는 것 346

〈부표 3-118〉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Ⅵ: 일자리를 가질 기회가 많은 사회를 만드는 것 347

〈부표 3-119〉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Ⅶ: 서로 다른 집단 간의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것 348

〈부표 3-120〉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Ⅷ: 정부가 나서서 갈등을 잘 조정하는 것 349

〈부표 3-121〉 사회통합의 요소 중요도 ⅩⅨ: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양보와 협력이 이뤄지는 것 350

〈부표 3-122〉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Ⅰ-Ⅰ: 차별과 소외가 심한 사회 vs. 배려와 포용의 사회(현재. 2016년) 351

〈부표 3-123〉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Ⅰ-Ⅱ: 차별과 소외가 심한 사회 vs. 배려와 포용의 사회(10년 전, 2006년) 353

〈부표 3-124〉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Ⅰ-Ⅲ: 차별과 소외가 심한 사회 vs. 배려와 포용의 사회(10년 후, 2026년) 355

〈부표 3-125〉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Ⅱ-Ⅰ: 의심하는 사회 vs. 신뢰하는 사회(현재. 2016년) 357

〈부표 3-126〉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Ⅱ-Ⅱ: 의심하는 사회 vs. 신뢰하는 사회(10년 전, 2006년) 359

〈부표 3-127〉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Ⅱ-Ⅲ: 의심하는 사회 vs. 신뢰하는 사회(10년 후, 2026년) 361

〈부표 3-128〉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Ⅲ-Ⅰ: 침체된 사회 vs. 희망찬 사회(현재. 2016년) 363

〈부표 3-129〉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Ⅲ-Ⅱ: 침체된 사회 vs. 희망찬 사회(10년 전, 2006년) 365

〈부표 3-130〉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Ⅲ-Ⅲ: 침체된 사회 vs. 희망찬 사회(10년 후, 2026년) 367

〈부표 3-131〉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Ⅳ-Ⅰ: 불안이 가득한 사회 vs. 희망이 있는 사회(현재. 2016년) 369

〈부표 3-132〉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Ⅳ-Ⅱ: 불안이 가득한 사회 vs. 희망이 있는 사회(10년 전, 2006년) 371

〈부표 3-133〉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Ⅳ-Ⅲ: 불안이 가득한 사회 vs. 희망이 있는 사회(10년 후, 2026년) 373

〈부표 3-134〉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Ⅴ-Ⅰ: 갈등이 심한 사회 vs.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현재. 2016년) 375

〈부표 3-135〉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Ⅴ-Ⅱ: 갈등이 심한 사회 vs.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10년 전, 2006년) 377

〈부표 3-136〉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 Ⅴ-Ⅲ: 갈등이 심한 사회 vs.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10년 후, 2026년) 379

해시태그

#사회통합 #사회갈등 #사회복지 #사회정책 #삶의만족도 #행복지수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