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4,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목차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Abstract 11

요약 13

제1장 서론 2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2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25

제3절 조사 설계 및 내용 27

제2장 이론적 배경: 사회통합 개념의 확대를 위한 시도 45

제1절 사회통합 개념의 이론적 검토 46

1.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46

2. 사회통합의 하위 범주 50

제2절 사회통합과 사회병리의 관계 52

1. 사회병리의 역사와 개념 52

2. 사회통합과 사회병리의 관계 55

제3장 트라우마 경험과 정신건강 간 관계 5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8

1. 연구의 필요성 58

2. 연구 목적 60

제2절 연구 방법 61

1. 활용 변수 61

2. 분석 방법 63

제3절 분석 결과 65

1. 기초 분석 65

2.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 분석 76

제4절 소결 80

제4장 물질적 박탈이 정신건강에미치는 영향 8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3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84

1. 물질적 박탈과 정신 건강 간의 관계 84

2. 연구 방법 85

제3절 박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88

1. 기초 분석 결과 88

2. 물질적 박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94

제4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04

제5장 갈등과 정신건강의 사회경제적맥락과 사회통합 107

제1절 서론 108

1. 문제 제기 108

2.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 109

제2절 이론적 배경 110

1. 이론적 배경 110

2. 선행 연구 111

제3절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과 경험 112

1. 사회갈등 인식 112

2. 사회갈등 경험 117

제4절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정신건강 128

1. 자아탄력성 128

2. 스트레스 130

3. 우울 132

제5절 갈등과 정신건강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 133

1. 자료와 변수의 조작적 정의 133

2. 분석 결과 135

제6절 소결과 정책 시사점 139

1. 소결 139

2. 정책 함의 141

제6장 사회적 불안과 사회통합: 사회구조 인식의 영향 분석 14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44

제2절 연구 개요 및 모형 146

1. 연구 개요 146

2. 연구 모형 146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147

제3절 분석 결과 150

1. 기초 분석 결과 150

2. 사회적 불안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분석 158

3. 사회구조 인식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에 대한 분석 161

4. 사회적 불안과 사회통합 인식: 사회구조 인식의 영향 분석 163

제4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68

제7장 결론 및 연구 함의 171

제1절 연구 요약 172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정책 제언 175

1. 연구의 정책적 함의 175

2. 정책 제언 177

참고문헌 182

[부록 1]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 설계 190

[부록 2]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203

[부록 3]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초 분석 223

[부록 4] 사회통합 정책영향평가 4개년 지속 문항 비교 407

판권기 2

〈표 1-1〉 2017년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모듈의 주요 구성 문항 27

〈표 1-2〉 CES-D 11 척도 문항 29

〈표 1-3〉 부정적 생활 경험 측정 문항 30

〈표 1-4〉 지난 1년간 사행활동 경험 측정 문항 32

〈표 1-5〉 스트레스 척도 문항 33

〈표 1-6〉 아노미 척도 문항 34

〈표 1-7〉 자아탄력성 척도 문항 34

〈표 1-8〉 위험 인식 측정 문항 35

〈표 1-9〉 분배 공정성 측정 문항 37

〈표 1-10〉 절차 공정성 측정 문항 37

〈표 1-11〉 사회문제의 원인 측정 문항 38

〈표 1-12〉 다른 사람과의 다툼(갈등) 경험 측정 문항 39

〈표 1-13〉 가족과의 다툼(갈등) 경험 및 심리적 부담 측정 문항 39

〈표 1-14〉 사회통합 정책영향평가(2014년-2017년) 지속 설문 문항 40

〈표 1-15〉 2014년 주제 모듈 '사회통합과 행복' 주요 조사 문항 41

〈표 1-16〉 2015년 주제 모듈 '사회통합과 사회이동' 주요 조사 문항 41

〈표 1-17〉 2016년 주제 모듈 '사회통합 국민 인식' 주요 조사 문항 42

〈표 1-18〉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개요 43

〈표 1-19〉 응답자 분포 44

〈표 2-1〉 사회의 질과 사회통합의 주요 영역 비교 50

〈표 2-2〉 사회문제의 원인 56

〈표 3-1〉 응답자 특성 65

〈표 3-2〉 인구사회학적 특성, 트라우마 경험, 자아탄력성과 우울 여부 간 상관성 분석 67

〈표 3-3〉 인구사회학적 특성, 트라우마 경험, 자아탄력성과 자살생각 여부 간 상관성 분석 70

〈표 3-4〉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가 보고 건강수준과 평생 동안의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 빈도의 상관성 분석 73

〈표 3-5〉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가 보고 건강수준과 최근 1년간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 유무의 상관성 분석 74

〈표 3-6〉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가 보고 건강수준과 자아탄력성의 상관성 분석 75

〈표 3-7〉 우울 여부에 대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77

〈표 3-8〉 자살생각 여부에 대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79

〈표 4-1〉 영역별 박탈 항목 87

〈표 4-2〉 주요 변수에 대한 연령별 기술분석 결과 89

〈표 4-3〉 연령별ㆍ박탈항목별 박탈의 비율 90

〈표 4-4〉 연령별 평균 사회적 지지 점수와 상관관계 93

〈표 4-5〉 박탈과 정신건강 점수 간의 상관관계 94

〈표 4-6〉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전체 대상) 95

〈표 4-7〉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노인 대상) 97

〈표 4-8〉 박탈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전체 대상) 98

〈표 4-9〉 영역별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101

〈표 4-10〉 영역별 박탈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102

〈표 4-11〉 연령대별 지난 1년간 죽고 싶다는 생각 경험 비율 및 자살생각 이유 103

〈표 5-1〉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 113

〈표 5-2〉 사회갈등 수준에 대한 인식: 성별, 연령별, 학력수준별 115

〈표 5-3〉 사회갈등 수준에 대한 인식: 소득분위별, 빈곤지위별 116

〈표 5-4〉 사회갈등 수준에 대한 인식: 경제활동 상태별, 비자발적 실업 경험 여부별 117

〈표 5-5〉 원인별 갈등 경험 118

〈표 5-6〉 원인별 갈등 경험: 성별, 연령별, 학력수준별 119

〈표 5-7〉 원인별 갈등 경험: 소득분위별, 빈곤지위별 120

〈표 5-8〉 원인별 갈등 경험: 경제활동 상태별, 비자발적 실업 경험 여부별 121

〈표 5-9〉 가족 내 다툼이나 갈등 경험 및 심리적 부담 정도 122

〈표 5-10〉 가족 내 다툼이나 갈등 경험: 성별, 연령별, 학력수준별 123

〈표 5-11〉 가족 내 다툼이나 갈등 경험: 소득분위별, 빈곤지위별 123

〈표 5-12〉 가족 내 다툼이나 갈등 경험: 경제활동 상태별, 비자발적 실업 경험 여부별 124

〈표 5-13〉 주요 갈등 대상별 갈등 경험 여부 및 갈등의 심각성 125

〈표 5-14〉 주요 갈등 대상별 갈등 경험 여부: 성별, 연령별, 학력수준별 126

〈표 5-15〉 주요 갈등 대상별 갈등 경험 여부: 소득분위별, 빈곤지위별 127

〈표 5-16〉 주요 갈등 대상별 갈등 경험 여부: 경제활동 상태별, 비자발적 실업 경험 여부별 127

〈표 5-17〉 빈곤상태와 자아탄력성 세대 간 비교(중위소득 50% 기준) 129

〈표 5-18〉 지난 5년간 비자발적 실업 경험과 자아탄력성 세대 간 비교 129

〈표 5-19〉 실업 기간과 자아탄력성 세대 간 비교 130

〈표 5-20〉 빈곤상태와 스트레스 세대 간 비교(중위소득 50% 기준) 130

〈표 5-21〉 지난 5년간 비자발적 실업 경험과 스트레스 세대 간 비교 131

〈표 5-22〉 실업 기간과 스트레스 세대 간 비교 131

〈표 5-23〉 빈곤상태와 우울 세대 간 비교(중위소득 50% 기준) 132

〈표 5-24〉 지난 5년간 비자발적 실업 경험과 우울 세대 간 비교 133

〈표 5-25〉 실업 기간과 우울 세대 간 비교 133

〈표 5-26〉 주요 변수와 조작적 정의 134

〈표 5-27〉 사회경제적 취약성이 갈등 인식 및 갈등 경험에 미치는 영향 136

〈표 5-28〉 자아탄력성의 사회경제적 맥락 137

〈표 5-29〉 갈등 경험, 정신건강이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 138

〈표 6-1〉 한국 사회의 통합 수준에 대한 평가 설문지 148

〈표 6-2〉 영역별 위험 인식의 설명 요인 152

〈표 6-3〉 영역별 갈등 인식의 설명 요인 155

〈표 6-4〉 개인 특성과 생애주기 위험 인식 158

〈표 6-5〉 개인 특성과 경제적 위험 인식 160

〈표 6-6〉 사회통합 인식의 설명 요인: 사회적 불안 161

〈표 6-7〉 사회구조 인식(공정성 인식 관련)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162

〈표 6-8〉 사회적 불안 인식과 사회통합 수준 평가 간 인과모형의 모형적합도 164

〈표 6-9〉 사회구조 인식과 사회통합 수준 평가 간 인과모형의 모형적합도 165

〈표 6-10〉 사회적 위험 인식과 사회구조 인식 인과모형의 모형적합도 166

〈표 6-11〉 완전경로모형의 모형적합도 167

[그림 1-1]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분석 모형 25

[그림 2-1] 사회적 통합과 사회적 응집의 이론적 관계 47

[그림 2-2] 사회의 질 체계와 사회통합의 주요 영역 49

[그림 3-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 여부 66

[그림 3-2]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과 우울 여부 68

[그림 3-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 여부 69

[그림 3-4]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과 자살생각 여부 69

[그림 3-5] 평생 동안의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 빈도 71

[그림 3-6] 유형별 평생 동안의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률 72

[그림 4-1] 연구 모형 86

[그림 4-2] 연령별 기초생활 박탈 비율 92

[그림 4-3] 연령별 주거 박탈 비율 92

[그림 4-4] 연령별 의료 박탈 및 미래 대비 박탈 비율 92

[그림 4-5] 청년의 고용상태별 우울 점수와 자살생각 비율 100

[그림 4-6] 지난 1년간 자살생각 여부 및 자살생각의 이유 103

[그림 5-1] 연구 개념 틀 110

[그림 5-2] 사회갈등 수준 인식 변화(2014, 2016, 2017) 114

[그림 6-1] '사회적 불안과 사회통합' 연구 모형 147

[그림 6-2] 항목별 위험요소에 대한 불안 151

[그림 6-3] 영역별 위험에 대한 불안 152

[그림 6-4] 분배 공정성에 대한 인식 153

[그림 6-5] 절차 공정성에 대한 인식 154

[그림 6-6] 한국 사회 격차에 대한 인식 156

[그림 6-7] 한국 사회에 대한 평가 157

[그림 6-8] 경로모형 163

[그림 6-9] 사회적 불안 인식과 사회통합 수준 평가 간의 인과모형 164

[그림 6-10] 사회구조 인식과 사회통합 수준 평가 간의 인과모형 165

[그림 6-11] 사회적 불안 인식과 사회구조 인식의 인과모형 166

[그림 6-12] 사회통합 수준 평가에 관한 수정된 경로모형 167

[그림 7-1] 예방-증진 개념의 도식화 179

〈부표 1-1〉 2015년 집계구 분포 190

〈부표 1-2〉 가구 및 인구 분포 191

〈부표 1-3〉 집계구 유형별 주택 분포 191

〈부표 1-4〉 주택 유형별 분포 192

〈부표 1-5〉 주택 유형별 분포-동부 192

〈부표 1-6〉 주택 유형별 분포-읍면부 193

〈부표 1-7〉 표본 집계구 배분: 방안1 195

〈부표 1-8〉 표본 집계구 배분: 방안2 196

〈부표 1-9〉 가구 무응답 가중치 기초통계 198

〈부표 1-10〉 래킹비 조정 인자 199

〈부표 1-11〉 가구 가중치의 래킹비 조정 가중치 결과 199

〈부표 1-12〉 개인 가중치의 성인 승수 조정 가중치 200

〈부표 1-13〉 개인 가중치의 래킹 조정인자 201

〈부표 1-14〉 개인 가중치의 래킹비 조정 결과 202

〈부표 3-1〉 박탈: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고기나 생선 223

〈부표 3-2〉 박탈: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신선한 과일 224

〈부표 3-3〉 박탈: 가끔 기호식품 225

〈부표 3-4〉 박탈: 외투, 코트, 파카, 털이나 가죽옷 등 226

〈부표 3-5〉 박탈: 계절 정장 227

〈부표 3-6〉 박탈: 난방 228

〈부표 3-7〉 박탈: 방 229

〈부표 3-8〉 박탈: 대중교통 접근성 230

〈부표 3-9〉 박탈: 지상 거주 231

〈부표 3-10〉 박탈: 수세식 화장실 및 온수 목욕시설 232

〈부표 3-11〉 박탈: 정기 진료 233

〈부표 3-12〉 박탈: 치과 이용 234

〈부표 3-13〉 박탈: 의약품 구입 235

〈부표 3-14〉 박탈: 여행 236

〈부표 3-15〉 박탈: 특별한 날 기념 237

〈부표 3-16〉 박탈: 여가활동 238

〈부표 3-17〉 박탈: 위로받을 수 있는 친척이나 친구 239

〈부표 3-18〉 박탈: 저축 240

〈부표 3-19〉 박탈: 노후 대비 241

〈부표 3-20〉 박탈: 사적 보험 242

〈부표 3-21〉 박탈: 자녀 고등교육 243

〈부표 3-22〉 박탈: 자녀 사교육 244

〈부표 3-23〉 박탈: 자녀 기본 참고서나 도서 245

〈부표 3-24〉 박탈: 자녀 고등학교 졸업까지 양육 책임 246

〈부표 3-25〉 박탈: 식사의 양을 줄이거나 거름 247

〈부표 3-26〉 박탈: 기한 내 공과금 미납부 248

〈부표 3-27〉 박탈: 전기, 전화, 수도 등이 끊긴 경험 249

〈부표 3-28〉 박탈: 난방 250

〈부표 3-29〉 박탈: 병원 방문 251

〈부표 3-30〉 박탈: 집세를 이유로 이사 252

〈부표 3-31〉 박탈: 자녀 공교육비 253

〈부표 3-32〉 어제 행복 254

〈부표 3-33〉 어제 우울 255

〈부표 3-34〉 삶의 만족도 256

〈부표 3-35〉 사회적 지지 257

〈부표 3-36〉 마음을 털어놓고 상의할 수 있는 사람 258

〈부표 3-37〉 가족 외에 가장 먼저 도움을 청하는 사람: 감기가 심하게 걸려 집안을 부탁해야 할 경우 259

〈부표 3-38〉 가족 외에 가장 먼저 도움을 청하는 사람: 큰돈을 갑자기 빌릴 일이 생길 경우 260

〈부표 3-39〉 가족 외에 가장 먼저 도움을 청하는 사람: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받아 이야기 나누고 싶을 경우 261

〈부표 3-40〉 어두울 때 안전하다는 느낌 262

〈부표 3-41〉 강도나 신체적 위해 경험 263

〈부표 3-42〉 불안: 자연재해-홍수나 태풍 264

〈부표 3-43〉 불안: 자연재해-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동 265

〈부표 3-44〉 불안: 자연재해-황사나 가뭄 266

〈부표 3-45〉 불안: 자연재해-지진 및 쓰나미(지진해일) 267

〈부표 3-46〉 불안: 건강-신종플루, 결핵, 조류독감 등과 같은 전염병 268

〈부표 3-47〉 불안: 건강-유전자변형식품, 식중독, 잔류농약, 환경호르몬, 원산지 위조 등과 같은 먹거리 문제 269

〈부표 3-48〉 불안: 건강-스트레스, 우울증, 자살 등 정신건강 문제 270

〈부표 3-49〉 불안: 건강-암, 고혈압, 당뇨, 치매 등 성인병 271

〈부표 3-50〉 불안: 생애주기-노후 272

〈부표 3-51〉 불안: 생애주기-이혼, 가족부양 기능의 약화 등 가족 해체 및 악화 273

〈부표 3-52〉 불안: 생애주기-저출산으로 인한 사회문제 274

〈부표 3-53〉 불안: 생애주기-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 275

〈부표 3-54〉 불안: 사회생활-성폭력, 학교폭력, 가정폭력, 강도, 살인 등과 같은 범죄 276

〈부표 3-55〉 불안: 사회생활-교통사고, 가스폭발, 화학물질 유출 등 인적재난 및 산업재해 277

〈부표 3-56〉 불안: 경제생활-실업 및 빈곤 278

〈부표 3-57〉 불안: 경제생활-주택 및 전세 가격 불안 279

〈부표 3-58〉 불안: 경제생활-국가 및 가계부채, 주가폭락, 환율폭등 등과 같은 금융불안 280

〈부표 3-59〉 불안: 경제생활-경기침체 및 저성장 281

〈부표 3-60〉 불안: 정치 및 대외관계-북한의 위협 및 북핵 문제 282

〈부표 3-61〉 불안: 정치 및 대외관계-국가에 의한 개인의 인권 및 자유 침해 283

〈부표 3-62〉 불안: 정치 및 대외관계-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 등 주변 강대국 간의 군사적 충돌 284

〈부표 3-63〉 불안: 정치 및 대외관계-권력과 자본에 의한 민주주의의 위기 285

〈부표 3-64〉 불안: 환경-원전사고와 방사성 폐기물의 저장 및 관리 286

〈부표 3-65〉 위험 인식: 환경-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오염 287

〈부표 3-66〉 위험 인식: 환경-수질오염 288

〈부표 3-67〉 자아탄력성: 1) 나는 내 친구나 동료에게 너그럽다 289

〈부표 3-68〉 자아탄력성: 2) 나는 갑자기 놀림을 당해도 금방 괜찮아지고, 그것을 잘 이겨낸다 290

〈부표 3-69〉 자아탄력성: 3) 나는 새롭고, 평소에 잘 해보지 않았던 일을 해보는 것을 좋아한다 291

〈부표 3-70〉 자아탄력성: 4) 나는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는 편이다 292

〈부표 3-71〉 자아탄력성: 5) 나는 전에 맛보지 못했던 새로운 음식을 먹어보는 것을 즐긴다 293

〈부표 3-72〉 자아탄력성: 6) 나는 매우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인 것 같다 294

〈부표 3-73〉 자아탄력성: 7) 나는 늘 가던 장소에 갈 때 다른 여러 길로 가는 것을 좋아한다 295

〈부표 3-74〉 자아탄력성: 8)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호기심이 많다 296

〈부표 3-75〉 자아탄력성: 9) 나는 내가 만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다 297

〈부표 3-76〉 자아탄력성: 10) 나는 보통 행동하기 전에 생각을 많이 한다 298

〈부표 3-77〉 자아탄력성: 11) 나는 새롭고 다른 종류의 일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299

〈부표 3-78〉 자아탄력성: 12) 나는 매일 생활은 흥미로운 일로 가득하다 300

〈부표 3-79〉 자아탄력성: 13) 나는 나 자신이 꽤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것이다 301

〈부표 3-80〉 자아탄력성: 14) 나는 다른 사람에게 화가 나도 상당히 빨리 괜찮아진다 302

〈부표 3-81〉 스트레스 수준: 1) 예상치 못한 일이 생겨서 기분 나빠진 적이 있다 303

〈부표 3-82〉 스트레스 수준: 2) 중요한 일들을 통제할 수 없다고 느낀 적이 있다 304

〈부표 3-83〉 스트레스 수준: 3) 초조하거나 스트레스가 쌓인다고 느낀 적이 있다 305

〈부표 3-84〉 스트레스 수준: 4) 짜증나고 성가신 일들을 성공적으로 처리한 적이 있다 306

〈부표 3-85〉 스트레스 수준: 5) 생활 속에서 일어난 중요한 변화들에 효과적으로 대처한 적이 있다 307

〈부표 3-86〉 스트레스 수준: 6) 개인적인 문제를 처리하는 능력에 대해 자신감을 느낀 적이 있다 308

〈부표 3-87〉 스트레스 수준: 7) 자신의 뜻대로 일이 진행된다고 느낀 적이 있다 309

〈부표 3-88〉 스트레스 수준: 8) 매사를 잘 컨트롤하고 있다고 느낀 적이 있다 310

〈부표 3-89〉 스트레스 수준: 9) 당신이 통제할 수 있는 범위에서 발생한 일 때문에 화가 난 적이 있다 311

〈부표 3-90〉 스트레스 수준: 10) 어려운 일이 너무 많이 쌓여서 극복할 수 없다고 느낀 적이 있다 312

〈부표 3-91〉 우울 수준: 1) 먹고 싶지 않고 식욕이 없다 313

〈부표 3-92〉 우울 수준: 2) 비교적 잘 지냈다 314

〈부표 3-93〉 우울 수준: 3) 상당히 우울했다 315

〈부표 3-94〉 우울 수준: 4) 모든 일들이 힘들게 느껴졌다 316

〈부표 3-95〉 우울 수준: 5) 잠을 설쳤다(잠을 잘 이루지 못했다) 317

〈부표 3-96〉 우울 수준: 6) 세상에 홀로 있는 듯한 외로움을 느꼈다 318

〈부표 3-97〉 우울수준: 7) 큰 불만 없이 생활했다 319

〈부표 3-98〉 우울 수준: 8) 사람들이 나에게 차갑게 대하는 것 같았다 320

〈부표 3-99〉 우울수준: 9) 마음이 슬펐다 321

〈부표 3-100〉 우울 수준: 10)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았다 322

〈부표 3-101〉 우울 수준: 11) 도무지 뭘 해 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 323

〈부표 3-102〉 자살생각 324

〈부표 3-103〉 아노미: 1) 요즘에는 누구를 믿어야 할지 정말 모르겠다 325

〈부표 3-104〉 아노미: 2) 미래를 생각하면, 아이를 낳는다는 것이 두렵다 326

〈부표 3-105〉 아노미: 3) 누가 뭐라고 해도, 보통사람들의 생활은 더 나아지기보다는 더 어려워지고 있다 327

〈부표 3-106〉 아노미: 4) 요즘 사람들은 하루하루를 그냥 살아갈 따름이지, 미래를 생각지 않는다 328

〈부표 3-107〉 아노미: 5) 요즈음 공무원들은 우리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공무원들에게 무엇을 탄원한다는 것은 소용이 없는 일이다 329

〈부표 3-108〉 아노미: 6) 요즘은 도대체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기 어렵다 330

〈부표 3-109〉 아노미: 7) 요즈음에는 도대체 무엇을 위해서 내 자신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지 의심스러울 때가 많다 331

〈부표 3-110〉 부정적 생활 경험 여부 332

〈부표 3-111〉 흡연 여부 및 평균 흡연량 333

〈부표 3-112〉 음주 빈도 334

〈부표 3-113〉 음주량 335

〈부표 3-114〉 사행활동 경험 336

〈부표 3-115〉 사회 신뢰 337

〈부표 3-116〉 대인 신뢰 338

〈부표 3-117〉 타인이 나를 이용할 가능성에 대한 인식 339

〈부표 3-118〉 타인의 이기심에 대한 인식 340

〈부표 3-119〉 자원봉사 참여 341

〈부표 3-120〉 사회단체나 기관에 기부 342

〈부표 3-121〉 투표 여부 Ⅰ: 지방 선거(2014. 6. 4.) 343

〈부표 3-122〉 투표 여부 Ⅱ: 국회의원 선거(2016. 4. 13.) 344

〈부표 3-123〉 투표 여부 Ⅲ: 제19대 대통령 선거(2017. 5. 9.) 345

〈부표 3-124〉 이념적 성향 346

〈부표 3-125〉 국가 자긍심 347

〈부표 3-126〉 정치 영역의 부패인식 348

〈부표 3-127〉 경제 영역의 부패인식 349

〈부표 3-128〉 사회 인식Ⅰ: 성공과 부패의 연관성 인식 350

〈부표 3-129〉 사회 인식 Ⅱ: 한국의 소득 격차 351

〈부표 3-130〉 정부의 역할 Ⅰ: 소득 격차 축소 352

〈부표 3-131〉 정부의 역할 Ⅱ: 실업자에게 적정 수준의 삶 제공 353

〈부표 3-132〉 정부의 역할 Ⅲ: 빈곤층 지원 축소 354

〈부표 3-133〉 공정성 인식 Ⅰ: 두뇌(능력)에 비해 355

〈부표 3-134〉 공정성 인식 Ⅱ: 일과 관련된 기술에 비해 356

〈부표 3-135〉 공정성 인식 Ⅲ: 노력에 비해 357

〈부표 3-136〉 공정성 인식 Ⅳ: 학력에 비해 358

〈부표 3-137〉 공정성 인식 Ⅴ: 경력에 비해 359

〈부표 3-138〉 한국 사회 의사결정 과정Ⅰ: 당사자들의 의견 미반영 360

〈부표 3-139〉 한국 사회 의사결정 과정 Ⅱ: 불충분한 정보 수집 361

〈부표 3-140〉 한국 사회 의사결정 과정 Ⅲ: 결정권자의 편견과 감정 작용 362

〈부표 3-141〉 한국 사회 의사결정 과정 Ⅳ: 외부 압력이나 인맥 영향 363

〈부표 3-142〉 한국 사회 의사결정 과정 Ⅴ: 특정 집단의 이익 우선 364

〈부표 3-143〉 한국 사회 의사결정 과정 Ⅵ: 소외 계층의 어려움 무시 365

〈부표 3-144〉 우리나라 갈등 인식 366

〈부표 3-145〉 집단 간 갈등 인식 Ⅰ: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간의 갈등 367

〈부표 3-146〉 집단 간 갈등 인식 Ⅱ: 경영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 368

〈부표 3-147〉 집단 간 갈등 인식 Ⅲ: 주택 소유자와 비소유자 간의 갈등 369

〈부표 3-148〉 집단 간 갈등 인식 Ⅳ: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 370

〈부표 3-149〉 집단 간 갈등 인식 Ⅴ: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갈등 371

〈부표 3-150〉 집단 간 갈등 인식 Ⅵ: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 372

〈부표 3-151〉 집단 간 갈등 인식 Ⅶ: 지역 간의 갈등 373

〈부표 3-152〉 집단 간 갈등 인식 Ⅷ: 다문화 갈등 374

〈부표 3-153〉 집단 간 갈등 인식 Ⅸ: 개발주의자와 환경보호주의자 간의 갈등 375

〈부표 3-154〉 법률서비스 필요 및 이용 경험 376

〈부표 3-155〉 법률서비스 이용 어려움 377

〈부표 3-156〉 법률서비스 이용 어려움의 이유 Ⅰ: 1순위 378

〈부표 3-157〉 법률서비스 이용 어려움의 이유 Ⅱ: 2순위 379

〈부표 3-158〉 사회문제의 원인 Ⅰ: 자살, 알코올중독 등 자기 파괴적 행동 380

〈부표 3-159〉 사회문제의 원인 Ⅱ: 살인, 각종 범죄 등 타인에 대한 폭력ㆍ범죄 381

〈부표 3-160〉 사회문제의 원인 Ⅲ: 특정인(집단) 적대시하는 태도 382

〈부표 3-161〉 사회문제의 원인 Ⅳ: 희망, 진취성과 같은 삶의 방향 상실 383

〈부표 3-162〉 다툼이나 갈등 경험 384

〈부표 3-163〉 가족과의 다툼이나 갈등 경험 Ⅰ 385

〈부표 3-164〉 가족과의 다툼이나 갈등 경험 Ⅱ 386

〈부표 3-165〉 타인과의 갈등 및 폭력 발생과 고소고발 경험 Ⅰ 387

〈부표 3-166〉 타인과의 갈등 및 폭력 발생과 고소고발 경험 Ⅱ 388

〈부표 3-167〉 타인과의 갈등 및 폭력 발생과 고소고발 경험 Ⅲ 389

〈부표 3-168〉 타인과의 갈등 및 폭력 발생과 고소고발 경험 Ⅳ 390

〈부표 3-169〉 생활수준 인식 Ⅰ: 지난 10년 동안의 생활수준 391

〈부표 3-170〉 생활수준 인식 Ⅱ: 앞으로 10년 이내의 생활수준 변화 예측 392

〈부표 3-171〉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 Ⅰ: 세대 내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 기대 393

〈부표 3-172〉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 Ⅱ: 세대 간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 394

〈부표 3-173〉 사회통합 인식 395

〈부표 3-174〉 사회통합 인식 396

〈부표 3-175〉 사회상 인식 Ⅰ: 차별과 소외가 심한 사회 vs. 배려와 포용의 사회 397

〈부표 3-176〉 사회상 인식 Ⅰ: 차별과 소외가 심한 사회 vs. 배려와 포용의 사회 398

〈부표 3-177〉 사회상 인식 Ⅱ: 서로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사회 vs. 서로 믿고 살아가는 사회 399

〈부표 3-178〉 사회상 인식 Ⅱ: 서로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사회 vs. 서로 믿고 살아가는 사회 400

〈부표 3-179〉 사회상 인식 Ⅲ: 활력 없고 침체된 사회 vs. 활력 있고 희망찬 사회 401

〈부표 3-180〉 사회상 인식 Ⅲ: 활력 없어 침체된 사회 vs. 활력 있고 희망찬 사회 402

〈부표 3-181〉 사회상 인식 Ⅳ: 경제적 불안, 미래에 대한 불안이 가득한 사회 vs. 경제적 희망,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는 사회 403

〈부표 3-182〉 사회상 인식 Ⅳ: 경제적 불안, 미래에 대한 불안이 가득한 사회 vs. 경제적 희망,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는 사회 404

〈부표 3-183〉 사회상 인식 Ⅴ: 서로의 주장만 내세우고 남을 배려하지 않는 갈등이 심한 사회 vs.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 405

〈부표 3-184〉 사회상 인식 Ⅴ: 서로의 주장만 내세우고 남을 배려하지 않는 갈등이 심한 사회 vs.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 406

〈부표 4-1〉 응답자 특성별 행복도 407

〈부표 4-2〉 응답자 특성별 삶의 만족도 408

〈부표 4-3〉 응답자 특성별 우울도 409

〈부표 4-4〉 응답자 특성별 사회에 대한 신뢰도 (11점) 410

〈부표 4-5〉 '내가 완전히 믿을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는 의견에 대한 동의 411

〈부표 4-6〉 '만약 조심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은 나를 이용하려 들 것이다'는 의견에 대한 동의 412

〈부표 4-7〉 자원봉사 횟수 413

〈부표 4-8〉 사회단체나 기관에 기부 413

〈부표 4-9〉 국가 자긍심 414

〈부표 4-10〉 '오늘날 한국에서 높은 지위에 오르려면 부패할 수밖에 없다'에 대한 동의 정도 415

〈부표 4-11〉 '한국의 소득 격차는 너무 크다'에 대한 동의 정도 416

〈부표 4-12〉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사이의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에 대한 동의 정도 417

〈부표 4-13〉 '정부는 실업자에게 적정한 수준의 삶을 제공해야 한다'에 대한 동의 정도 418

〈부표 4-14〉 '정부는 빈곤한 사람들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한다'에 대한 동의 정도 419

〈부표 4-15〉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간의 갈등 수준 420

〈부표 4-16〉 경영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 421

〈부표 4-17〉 주택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간의 갈등 422

〈부표 4-18〉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 423

〈부표 4-19〉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갈등 424

〈부표 4-20〉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 425

〈부표 4-21〉 지역 간의 갈등(수도권과 지방, 영남과 호남) 426

〈부표 4-22〉 다문화갈등(외국인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북한이탈주민 등) 427

해시태그

#사회통합 #사회갈등 #사회복지 #사회정책 #사회적불안 #정신건강 #사회문제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