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2, 사회통합과 사회이동

목차

표제지

목차

Abstract 14

요약 16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4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설계 26

1. 연구 내용 26

2. 연구 방법 및 조사 설계 27

제2장 코호트별 사회이동의 현황 34

제1절 서론 35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36

1. 사회이동의 개념과 주요 논쟁 36

2. 한국에서의 사회이동에 대한 연구들 40

3. 연구 문제 및 분석 방법 42

제3절 분석 결과 47

1. 기초 분석 47

2. 25~64세 직업이 있는 남자의 코호트별 사회이동 56

제4절 소결: 코호트별 사회이동 실태의 사회통합적 함의 72

제3장 교육성취와 사회이동 74

제1절 서론 75

1. 문제제기 75

2. 연구목적과 연구내용 77

제2절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 78

1. 이론적 배경 78

2.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80

3. 분석대상과 이용변수 81

제3절 분석결과 83

1. 교육이동 83

2. 교육이동과 사회경제적 지위 90

3. 교육성취 결정요인 94

제4절 소결 및 정책함의 96

1. 소결 96

2. 정책함의 97

제4장 사회이동과 사회통합인식 99

제1절 서론 100

제2절 관련 논의 및 선행 연구 102

1. 세대 102

2. 사회이동 107

3. 사회통합 110

제3절 연구 방법 112

1. 연구 설계 112

2. 변수의 측정 114

3. 분석 방법 119

제4절 분석 결과 120

1. 분석대상자의 특성 120

2. 사회통합인식 124

3. 사회이동 126

4. 회귀분석 결과 129

제5절 소결 및 정책함의 134

제5장 사회이동 수준 국제 비교 142

제1절 서론 143

제2절 연구 배경 145

1. 이론적 배경 145

2. 선행연구 검토: 국외 연구 147

3. 선행연구 검토: 국내 연구 151

4. 본 연구의 문제의식 153

제3절 직업계층 이동 국제비교 분석 및 결과 154

1. 분석방법론 154

2. 분석자료 159

3. 직업계층 이동 분석 161

4. 직업계층 이동 인식의 비교 분석 165

5. 계층 이동인식의 비교 분석 168

제4절 사회이동 수준 비교의 함의 170

1. 소득격차 인식과 사회이동 170

2.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인식 173

제5절 소결 및 정책함의 176

제6장 결론 178

제1절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간의 관계 179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정책제언 182

1. 연구의 이론적ㆍ정책적 함의 182

2. 정책제언 184

참고문헌 188

[부록 1]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설계 201

[부록 2]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조사표 217

[부록 3] 기초분석 236

판권기 2

〈표 1-1〉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개요 29

〈표 1-2〉 조사의 시점(3세대) 및 주요 조사 항목 31

〈표 1-3〉 응답자 분포 32

〈표 2-1〉 주요 변수의 조작적 정의 46

〈표 2-2〉 사례수 47

〈표 2-3〉 코호트별 평균 연령 47

〈표 2-4〉 코호트별 가구규모와 경제 상황(25세 이상 전체) 48

〈표 2-5〉 코호트별 분배지표 49

〈표 2-6〉 코호트별 경제활동상태 51

〈표 2-7〉 코호트별 아버지와 본인 학력(25세 이상 전체) 53

〈표 2-8〉 코호트별 아버지와 본인의 직업(25세~64세) 54

〈표 2-9〉 코호트별 아버지와 본인의 직업성격(25세~64세) 55

〈표 2-10〉 아버지 학력과 본인 학력 57

〈표 2-11〉 아버지 학력에 따른 아들 학력의 로그오즈와 오즈비 59

〈표 2-12〉 아버지 직업과 본인 직업 60

〈표 2-13〉 아버지 직업에 따른 아들 직업의 로그오즈와 오즈비 61

〈표 2-14〉 15세 무렵 주관적 계층과 현재 주관적 계층 62

〈표 2-15〉 아버지 계층에 따른 아들 계층의 로그오즈와 오즈비 63

〈표 2-16〉 본인의 현재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5~64세 직업이 있는 남자) 71

〈표 3-1〉 세대별 교육과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 82

〈표 3-2〉 세대별 교육과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와 조작적 정의 82

〈표 3-3〉 부모의 최종학력과 본인의 학업성적 83

〈표 3-4〉 부모의 최종학력과 본인의 최종학력 85

〈표 3-5〉 부모의 사회계층과 본인의 학업성적 86

〈표 3-6〉 부모의 사회계층과 본인의 최종학력 87

〈표 3-7〉 아버지 직업과 직장의 경제적 보상수준과 본인의 학업성적 88

〈표 3-8〉 아버지 직업과 직장의 경제적 보상수준과 본인의 최종학력 89

〈표 3-9〉 연령대별 관심집단 표본수와 비중 91

〈표 3-10〉 관심집단과 전체의 근로형태 비교 92

〈표 3-11〉 관심집단과 전체의 첫 직장 입사당시 근로형태 비교 92

〈표 3-12〉 관심집단과 전체의 본인의 근로소득 비교 93

〈표 3-13〉 학업성적 결정요인 95

〈표 4-1〉 사회이동의 주관적 인식의 측정 115

〈표 4-2〉 사회 이동의 경험(실제)의 측정 118

〈표 4-3〉 변수 118

〈표 4-4〉 대상 집단 특성 123

〈표 4-5〉 세대별 사회통합인식지수 125

〈표 4-6〉 소득계층별 사회통합인식지수 126

〈표 4-7〉 세대별 사회이동 인식과 경험 127

〈표 4-8〉 소득계층별 사회이동 인식과 경험 128

〈표 4-9〉 세대별 회귀분석 결과 132

〈표 4-10〉 소득계층별 회귀분석 결과 133

〈표 5-1〉 이동의 실제와 인식 153

〈표 5-2〉 임금근로자의 작업방식들(work logics)과 특징 157

〈표 5-3〉 서비스경제에서의 직업계층 분류 158

〈표 5-4〉 아버지와 자식의 직업 교차표와 계층이동 159

〈표 5-5〉 ISCO-88의 직능수준 161

〈표 5-6〉 응답자 아버지의 직업계층 분포 162

〈표 5-7〉 응답자의 직업계층 분포 163

〈표 5-8〉 직업계층의 전체적인 이동 현황 비교 163

〈표 5-9〉 직업계층의 이동 현황-세대별 164

〈표 5-10〉 자녀세대의 직업별 계층이동 현황 165

〈표 5-11〉 직업계층 이동의 방향에 대한 인식 166

〈표 5-12〉 성장 시 계층에 따른 현재 계층의 오즈비 168

〈표 5-13〉 성장 시 계층에 따른 현재 계층의 오즈비 - 25~40세 인구 집단 169

〈표 5-14〉 각국의 소득격차에 대한 인식 170

〈표 5-15〉 각국의 소득분배 수준-Gini 계수 170

〈표 5-16〉 세대 내 계층이동 인식과 사회신뢰 수준 174

〈표 5-17〉 세대 간 계층이동 인식과 사회신뢰 수준 175

〈표 5-18〉 사회신뢰 수준의 설명요인으로서 사회이동 인식 175

[그림 1-1] 사회이동의 개념도 30

[그림 1-2] 연구내용 및 방법 33

[그림 2-1] 코호트별 빈곤율(25세 이상 전체) 50

[그림 2-2]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52

[그림 2-3] 산업구성 변화 추이 52

[그림 2-4] 부모 학력과 본인과 배우자 학력 65

[그림 2-5] 아버지의 직업지위와 본인의 직업지위 67

[그림 2-6] 15세 무렵 계층과 현재 계층 69

[그림 4-1] 분석 모형 113

[그림 5-1] OECD(2011)의 사회통합의 세 요소 144

[그림 5-2] 소득불평등과 사회이동성 148

[그림 5-3] 위대한 캐츠비 곡선 149

[그림 5-4] 대학졸업자의 임금 프리미엄 150

[그림 5-5] 제조업과 서비스업 고용 비율의 변화 155

[그림 5-6] 직업계층 이동인식의 국가간 비교 167

[그림 5-7] 계층이동 인식의 국가 간 비교-연령집단별 167

[그림 5-8] 소득불평등 정도와 소득격차에 대한 동의 비율 간 관계 171

[그림 5-9] 한국인의 세대내 계층이동 가능성 전망 172

[그림 5-10] 한국인의 다음세대 계층이동 가능성 전망 173

〈부표 1-1〉 전국 집계구의 지역별 규모 202

〈부표 1-2〉 시도별 집계구 분포 203

〈부표 1-3〉 시도별 집계구 배분결과 204

〈부표 1-4〉 1차 추출가중치의 조정을 위한 조정 승수 208

〈부표 1-5〉 1차 추출가중치의 조정결과(집계구) 209

〈부표 1-6〉 가구가중치에 대한 조정승수 210

〈부표 1-7〉 조정된 가구가중치 분포 211

〈부표 1-8〉 래킹비 조정 가구 가중치승수 212

〈부표 1-9〉 래킹조정된 가구 가중치 분포 212

〈부표 1-10〉 래킹비 조정 개인 가중치승수 213

〈부표 1-11〉 래킹조정된 개인 가중치 분포 214

〈부표 1-12〉 절사후 래킹비 조정된 개인 가중치 분포 215

〈부표 3-1〉 본인의 직업 위세 Ⅰ: 경제적 보상 236

〈부표 3-2〉 본인의 직업 위세 Ⅱ: 전문성 237

〈부표 3-3〉 본인의 직업 위세 Ⅲ: 사회적 위상ㆍ위세 238

〈부표 3-4〉 본인의 직업 위세 Ⅳ: 일의 자율성 239

〈부표 3-5〉 본인의 직업 위세 Ⅴ: 조직통제권한 240

〈부표 3-6〉 한국의 계층 인식 241

〈부표 3-7〉 40세 즈음 본인의 계층인식 242

〈부표 3-8〉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Ⅰ: 부유한 집안 출신 243

〈부표 3-9〉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Ⅱ: 높은 교육을 받은 부모 244

〈부표 3-10〉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Ⅲ: 본인의 좋은 학벌 245

〈부표 3-11〉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Ⅳ: 야망을 갖는 것 246

〈부표 3-12〉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Ⅴ: 열심히 일하는 것 247

〈부표 3-13〉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Ⅵ: 좋은 사람을 아는 것 248

〈부표 3-14〉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Ⅶ: 지역 연고 249

〈부표 3-15〉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Ⅷ: 뇌물을 주는 것 250

〈부표 3-16〉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Ⅸ: 종교 251

〈부표 3-17〉 성공의 결정요인 인식Ⅹ: 성별 252

〈부표 3-18〉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Ⅰ: 교육 기회 253

〈부표 3-19〉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Ⅱ: 취업 기회 254

〈부표 3-20〉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Ⅲ: 승진ㆍ승급 기회 255

〈부표 3-21〉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Ⅳ: 법의 집행 256

〈부표 3-22〉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Ⅴ: 여성에 대한 대우 257

〈부표 3-23〉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Ⅵ: 소득과 재산 258

〈부표 3-24〉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Ⅶ: 지역간 259

〈부표 3-25〉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Ⅷ: 다문화가족에 대한 대우 260

〈부표 3-26〉 영역별 평등 및 불평등 인식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대우 261

〈부표 3-27〉 우리 사회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한 인식 262

〈부표 3-28〉 우리 사회에서 부모 세대에 비해 자식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달라질 가능성에 대한 인식 263

〈부표 3-29〉 대인 신뢰 264

〈부표 3-30〉 타인이 이용할 가능성 265

〈부표 3-31〉 사회 신뢰 266

〈부표 3-32〉 사회인식Ⅰ: 소득격차 267

〈부표 3-33〉 사회인식Ⅱ: 소득격차 감소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책임 268

〈부표 3-34〉 사회인식Ⅲ: 실업자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 269

〈부표 3-35〉 사회인식Ⅳ: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정부의 소극적 역할 270

〈부표 3-36〉 삶의 만족도 271

〈부표 3-37〉 어제 행복 272

〈부표 3-38〉 지난 10년 동안 생활수준 변화 273

〈부표 3-39〉 앞으로 10년 동안 생활수준 변화 예상 274

〈부표 3-40〉 생애사건별 빈곤 가능성Ⅰ: 나이가 들어 은퇴하는 것 275

〈부표 3-41〉 생애사건별 빈곤 가능성Ⅱ: 본인의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한 건강의 악화 276

〈부표 3-42〉 생애사건별 빈곤 가능성Ⅲ: 실직이나 사업부진 277

〈부표 3-43〉 생애사건별 빈곤 가능성Ⅳ: 배우자와의 사별이나 이혼 278

〈부표 3-44〉 생애사건별 빈곤 가능성Ⅴ: 경제위기와 같은 갑작스런 경기 침체 279

〈부표 3-45〉 생애사건별 빈곤 가능성Ⅵ: 가족의 질병 치료에 따른 의료비 부담 280

〈부표 3-46〉 생애사건별 빈곤 가능성Ⅶ: 자녀 또는 본인의 교육비 부담 281

〈부표 3-47〉 생애사건별 빈곤 가능성Ⅷ: 주택마련(전셋값) 등의 부채 상환 282

〈부표 3-48〉 한국 국민으로서의 자긍심 283

〈부표 3-49〉 자원봉사활동 참여 수준 284

〈부표 3-50〉 사회단체나 기관 기부 참여 수준 285

〈부표 3-51〉 2014년 지방선거(2014. 06. 04.) 투표 여부 286

〈부표 3-5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 의사 287

〈부표 3-53〉 도움을 요청할 사람 Ⅰ: 감기가 심하게 걸려 식사준비나 장보기와 같은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 288

〈부표 3-54〉 도움을 요청할 사람 Ⅱ: 큰 돈을 갑자기 빌릴 일이 생길 경우 289

〈부표 3-55〉 도움을 요청할 사람 Ⅲ: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아서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을 경우 290

〈부표 3-56〉 사회적 자본 Ⅰ: 대학교수(전임강사 이상) 291

〈부표 3-57〉 사회적 자본 Ⅱ: 국장급 이상 공무원 292

〈부표 3-58〉 사회적 자본 Ⅲ: 의사 293

〈부표 3-59〉 사회적 자본 Ⅳ: 중앙일간지, 공중파 방송의 기자급 이상 294

〈부표 3-60〉 사회적 자본 Ⅴ: 장성급 이상 군인 295

〈부표 3-61〉 사회적 자본 Ⅵ: 국회의원 296

〈부표 3-62〉 사회적 자본 Ⅶ: 대기업 및 공기업의 임원급 이상 297

〈부표 3-63〉 사회적 자본 Ⅷ: 판사, 검사, 변호사 298

〈부표 3-64〉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의 성장 지역 299

〈부표 3-65〉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거주하였던 주택의 점유형태 300

〈부표 3-66〉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주관적 소득계층 301

〈부표 3-67〉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학업 성적 302

〈부표 3-68〉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아버지의 직업 303

〈부표 3-69〉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아버지의 직업 위세 Ⅰ: 경제적 보상 304

〈부표 3-70〉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아버지의 직업 위세 Ⅱ: 전문성 305

〈부표 3-71〉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아버지의 직업 위세 Ⅲ: 사회적 위상ㆍ위세 306

〈부표 3-72〉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아버지의 직업 위세 Ⅳ: 일의 자율성 307

〈부표 3-73〉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아버지의 직업 위세 Ⅴ: 조직통제권한 308

〈부표 3-74〉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어머니의 직업 309

〈부표 3-75〉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어머니의 직업 위세 Ⅰ: 경제적 보상 310

〈부표 3-76〉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어머니의 직업 위세 Ⅱ: 전문성 311

〈부표 3-77〉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어머니의 직업 위세 Ⅲ: 사회적 위상 ㆍ위세 312

〈부표 3-78〉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어머니의 직업 위세 Ⅳ: 일의 자율성 313

〈부표 3-79〉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어머니의 직업 위세 Ⅴ: 조직통제권한 314

〈부표 3-80〉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가정 분위기 Ⅰ 315

〈부표 3-81〉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가정 분위기 Ⅱ 316

〈부표 3-82〉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가정 분위기 Ⅲ 317

〈부표 3-83〉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가정 분위기 Ⅳ 318

〈부표 3-84〉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가정 분위기 Ⅴ 319

〈부표 3-85〉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가정 분위기 Ⅵ 320

〈부표 3-86〉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가정 분위기 Ⅶ 321

〈부표 3-87〉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여가생활 Ⅰ: 오페라, 뮤지컬 등 공연 관람 322

〈부표 3-88〉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여가생활 Ⅱ: 미술관, 박물관 관람 323

〈부표 3-89〉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여가생활 Ⅲ: 연극 및 영화 관람 324

〈부표 3-90〉 15세 무렵(중학교 3학년), 여가생활 Ⅳ: 가족 여행 325

〈부표 3-91〉 첫째 자녀의 직업 326

〈부표 3-92〉 첫째 자녀의 직업 위세 Ⅰ: 경제적 보상 327

〈부표 3-93〉 첫째 자녀의 직업 위세 Ⅱ: 전문성 328

〈부표 3-94〉 첫째 자녀의 직업 위세 Ⅲ: 사회적 위상ㆍ위세 329

〈부표 3-95〉 첫째 자녀의 직업 위세 Ⅳ: 일의 자율성 330

〈부표 3-96〉 첫째 자녀의 직업 위세 Ⅴ: 조직통제권한 331

〈부표 3-97〉 첫째 자녀의 소득계층에 대한 기대 332

해시태그

#사회통합 #사회갈등 #사회복지 #사회정책 #사회이동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