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요국 국가전략
  • 전체

이재명 정부의 대중, 대러 외교 : 도전 요인 및 고려사항

□ 이재명 정부는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천명하며 다변화된 외교전략을 모색하고 있음
- 선거공약에서 나타난 대외정책 방향은 ‘국익과 실용 기반 하에 주변 4국과의 외교관계 발전’, 즉 한미동맹을 기본 축으로 하되 실용적 접근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와도 국익 중심의 관계복원 및 관리, 전략적 자율성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음

□ 이재명 정부의 대중외교는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 기조 아래,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안보는 미국과의 공조를 강화면서도 경제적으로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전략이 엿보임
- 중국과의 외교․국방 차관급 ‘2+2’ 대화 등 전략적 소통 채널을 적극적으로 가동하고, 정상급 교류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양국 관계 복원을 기대하게 함
- 중국의 서해 잠정조치수역(PMZ) 내 구조물 설치 및 불법 중국어선 문제 등 한국 주권과 관련된 사안에는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공약으로 보아, 중국과의 대화와 소통 속에서 국익 중심으로 실용외교라는 전략적 명확성이 있음을 보여줌

□ 이재명 정부의 러시아와의 외교도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 기조 아래, 러우 전쟁 이후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참하되 한국의 경제안보와 자율성을 고려해 유연하게 접근하는 외교 전략을 추구할 것으로 보임
- 대러외교는 고립이나 대결 중심이 아닌, 그리고 전면적 단절보다는 위기관리형 교류를 유지하고 외교적 공간을 확보하려는 방향으로 전개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임

□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는 주변 4개국과의 관계에서 전략적 자율성을 확보하려는 시도이지만, 현실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음
- 중국과 교류를 확대하려 할 경우 한미동맹에 대한 미국의 신뢰 저하라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며, 중국과도 사안별로 외교적 갈등이 재발할 우려도 상존함
- 대러 교류 확대 시도는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거나 국제적 위상과 도덕성이 훼손될 수 있고, 러북협력을 정당화하거나 오용될 소지도 큼 
- 이재명 정부의 대중, 대러 실용외교는 국내적으로도 이념적 반발과 여론의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음
- 이재명 정부가 강조하는 실익 중심의 경제협력을 추진해도 미중 기술패권경쟁으로 인해 실질적 협력이 제약될 수 있음

□ 이재명 정부가 향후 외교적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국익’과 ‘실용’에 대한 어떤 일관성과 전략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다층적 도전 요인을 피해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가 대중, 대러 외교정책의 성패를 가를 핵심변수임

□ 주요 도전 요인을 극복하고 이재명 정부의 대중, 대러 외교 방향성과 정책 설계를 위해 고려할 사항
- 첫째, 미중 전략경쟁이 심화하는 환경에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자율적 외교(한중․한러)를 추구하면서 사안별 접근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함
- 둘째, 다자협력 기재의 적극 활용
- 셋째, 한중․한러 간 발생할 수 있는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는 감정적 대응을 지양하고, 실무적․전략적 접근을 통해 갈등을 최소화하는 디리스킹(di-risking) 전략을 취해야 함
- 넷째, 북핵 문제 등 한반도 평화이슈에서 대중, 대러 관계 개선과 함께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을 현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여, 남북․미북 대화 재개를 위한 외교적 공간을 넓혀야 함
- 다섯째, 대중․대러 외교에 대한 국내의 정당성 확보

□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하되, 중국․러시아와의 전략적 소통과 실용적 협력, 다자외교 강화, 민감한 현안의 갈등 최소화, 러북 군사협력 억제 등 유연하고 균형적인 실용외교를 지향하여 한국의 외교적 자율성과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음

목차

목차 1

대중 외교: 실용외교에 기반한 교류 협력 강화 1

대러 외교: 관계 복원과 위기관리 2

대중ㆍ대러 외교의 주요 도전 요인 3

대중, 대러 외교의 고려사항 4

해시태그

#이재명정부 # 대중외교 # 대러외교 # 실용외교 # 외교정책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이재명 정부의 대중, 대러 외교 : 도전 요인 및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