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전략 광물 생산 특정 국가에 집중, 수출 통제 강화 움직임
ㅇ 한국무역협회 보고서 「글로벌 전략 광물의 생산 편중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세계 전략 광물 76개 중 30개가 특정 국가에 생산이 집중됨
ㅇ 전략 광물은 한 국가의 안보, 산업, 첨단 기술에 주요하게 활용되는 광물로 각국에서 정책적으로 집중적으로 관리함
ㅇ 76개 전략 광물 중 한 국가의 생산량이 세계 전체 생산량의 50% 이상인 '생산 편중 광물'은 총 30개로 나타났으며, 대표적으로 중국은 30개 생산 편중 광물 중 22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갈륨 생산의 98.7%를 차지함. 그 뒤를 이어 미국은 2개를, 콩고민주공화국,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칠레, 러시아는 1개씩을 보유함
ㅇ 브라질은 배터리 및 항공우주에 사용되는 니오븀 생산의 90.9%를 차지하는 등 특정 국가의 집중도가 높음
ㅇ 콩고민주공화국,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미국, 중국 등 6개 국가가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하고 있음
ㅇ 중국은 지난 4월 희토류 7종에 이어 5월에는 텅스텐, 비스무스 등 5개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를 결정함
ㅇ 칠레는 생산 편중 광물인 요오드 수출은 아직 통제하지 않고 있지만, 이차전지 제조에 필수인 리튬 생산을 통제하는 등 첨단 광물에 대한 국유화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특정 국가의 수출 통제 사례로 전 세계 코발트 생산의 약 75%를 차지하는 콩고민주공화국이 지난 2월 코발트 수출 중단 조치 후 수산화 코발트 가격이 84% 급등했으며, 이후 4월에는 전기차용 자석에 첨가되는 디스프로슘 등 희토류 7종에 대한 중국의 수출 통제 후 디스프로슘 가격이 3배 상승함
□ 한국의 전략 광물 수입 의존도 높아, 공급망 안정화 노력 필요
ㅇ 한국은 생산 편중 광물 30개 중 비스무트, 인듐, 갈륨 등 15개는 이미 생산 중이거나 앞으로 생산할 가능성이 큼
ㅇ 국내 생산이 어려운 나머지 15개 중 수입 금지 품목 3개를 제외한 12개는 수입에 의존하며, 특히 니오븀, 마그네슘, 흑연, 희토류는 수입 의존도가 80%에 달함
ㅇ 보고서는 생산국의 수출 통제 강화에 대비해 비축 물량을 확대하고, 과거 수익성 문제로 생산 중단된 광물 재생산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함
ㅇ 미국은 자국 기업의 희토류 생산 확대를 위해 최소가격 보장 등 국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음
ㅇ 한국 또한 첨단산업 안보와 직결된 핵심 광물의 대외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출처] '세계 전략광물 30개 특정국에 편중…공급 불안정 대비해야' (2025.08.15.) / 연합뉴스
ㅇ 한국무역협회 보고서 「글로벌 전략 광물의 생산 편중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세계 전략 광물 76개 중 30개가 특정 국가에 생산이 집중됨
ㅇ 전략 광물은 한 국가의 안보, 산업, 첨단 기술에 주요하게 활용되는 광물로 각국에서 정책적으로 집중적으로 관리함
ㅇ 76개 전략 광물 중 한 국가의 생산량이 세계 전체 생산량의 50% 이상인 '생산 편중 광물'은 총 30개로 나타났으며, 대표적으로 중국은 30개 생산 편중 광물 중 22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갈륨 생산의 98.7%를 차지함. 그 뒤를 이어 미국은 2개를, 콩고민주공화국,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칠레, 러시아는 1개씩을 보유함
ㅇ 브라질은 배터리 및 항공우주에 사용되는 니오븀 생산의 90.9%를 차지하는 등 특정 국가의 집중도가 높음
ㅇ 콩고민주공화국,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미국, 중국 등 6개 국가가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하고 있음
ㅇ 중국은 지난 4월 희토류 7종에 이어 5월에는 텅스텐, 비스무스 등 5개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를 결정함
ㅇ 칠레는 생산 편중 광물인 요오드 수출은 아직 통제하지 않고 있지만, 이차전지 제조에 필수인 리튬 생산을 통제하는 등 첨단 광물에 대한 국유화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특정 국가의 수출 통제 사례로 전 세계 코발트 생산의 약 75%를 차지하는 콩고민주공화국이 지난 2월 코발트 수출 중단 조치 후 수산화 코발트 가격이 84% 급등했으며, 이후 4월에는 전기차용 자석에 첨가되는 디스프로슘 등 희토류 7종에 대한 중국의 수출 통제 후 디스프로슘 가격이 3배 상승함
□ 한국의 전략 광물 수입 의존도 높아, 공급망 안정화 노력 필요
ㅇ 한국은 생산 편중 광물 30개 중 비스무트, 인듐, 갈륨 등 15개는 이미 생산 중이거나 앞으로 생산할 가능성이 큼
ㅇ 국내 생산이 어려운 나머지 15개 중 수입 금지 품목 3개를 제외한 12개는 수입에 의존하며, 특히 니오븀, 마그네슘, 흑연, 희토류는 수입 의존도가 80%에 달함
ㅇ 보고서는 생산국의 수출 통제 강화에 대비해 비축 물량을 확대하고, 과거 수익성 문제로 생산 중단된 광물 재생산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함
ㅇ 미국은 자국 기업의 희토류 생산 확대를 위해 최소가격 보장 등 국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음
ㅇ 한국 또한 첨단산업 안보와 직결된 핵심 광물의 대외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출처] '세계 전략광물 30개 특정국에 편중…공급 불안정 대비해야' (2025.08.15.) / 연합뉴스
목차
목차 1
1. 배경 1
2. 생산편중도 상위 광물 2
3. 수출 통제 현황 3
4. 국내 생산 현황 5
5. 결론 및 시사점 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글로벌 전략 광물의 생산 편중 현황 및 시사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