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교통 SOC 디지털 투자 국가전략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4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3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43

2. 연구의 목적 44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4

1. 연구의 범위 44

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45

3. 주요 선행연구와 차별성 47

제2장 기술혁신과 SOC 디지털화의 개념 48

제1절 기술혁신과 모빌리티 전망 48

1. 디지털 투자와 미래 메가트렌드 전망 48

2. 미래 교통 여건 및 전망에 따른 교통 SOC 투자의 영향 49

제2절 교통 SOC 디지털화의 개념과 용도 52

1. SOC, 인프라 및 디지털의 개념 52

2. 교통 SOC 디지털화의 개념 53

3. 국내 정부 및 주요 연구기관 개념과 사례들 55

4. 해외 정부 및 주요 연구기관 개념과 사례 59

제3절 SOC 디지털화의 투자 효과와 장애요인 63

1. 디지털화에 대한 투자 효과 63

2. 장애요인 64

제4절 본 연구의 SOC 디지털화 범위 설정 66

제3장 국내외 SOC 디지털 투자 사례분석 67

제1절 신교통수단, 자율주행 및 무인화 67

1. 디지털 도로 구축 67

2. 자율주행 대중교통망 구축 69

3. 여객 드론ㆍUAM 등 73

제2절 교통체계 운영 75

1. 도로 부문 75

2. 철도 부문 77

3. 공항 부문 78

제3절 교통체계 유지관리 81

1. 도로 부문 81

2. 철도 부문 85

3. 공항 부문 87

제4절 교통체계 사고대응 89

1. 교통사고 감지 시스템(도로) 89

2. 교통사고 감지 시스템(철도) 90

3. 대중교통방역에 의한 안전대응 92

제5절 물류체계 94

1. 스마트 물류 이동 94

2. 스마트 물류창고 확충 95

3. 무인자율주행 배송시스템 97

제4장 주요 신교통서비스 구현을 위한 교통 SOC 디지털화의 심층조사분석 101

제1절 조사설계 101

제2절 서비스 사례별 조사결과 104

1. 화물운송 자율주행 104

2. 도심부 인공지능 신호등 106

3. 고속도로 디지털화 107

4. 화물군집 자율주행 110

5. 철도 디지털화 111

6. 대도시 자율주행 셔틀 113

7. 소도시 자율주행 셔틀 115

8. GTX 중심 자율주행 셔틀 117

9. 대도시 UAM 118

10. 중소도시 UAM 120

11. 화물주차정보 121

12. VTG(Vehicle To Grid) 123

제3절 시사점 125

제5장 한국의 SOC 디지털화 환경 평가 127

제1절 주요 국가 디지털 관련 거시지표를 통한 평가 128

1. 2020 WEF의 디지털준비지수(Network Readiness Index) 128

2. 2020 IMD의 세계 탤런트 순위(World Talent Ranking) & 디지털 경쟁력 순위(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 129

3. 2020 KPMG의 자율주행차준비지수(Autonomous Vehicles Readiness Index) 131

4. 교통 SOC 관련 국제 경쟁력 132

제2절 해외 주요 국가의 교통 SOC 디지털화 국가전략 133

1. 싱가포르 133

2. 독일 디지털교통부 134

3. 핀란드 디지털교통부 136

4. 미국과 중국, 유럽연합의 디지털 전환 준비 사례 137

제3절 주요 법정계획에서의 교통 SOC 디지털화 평가 139

1. 주요 법정계획에서의 디지털화 내용 139

2.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에서의 디지털화 143

3. 한국판 뉴딜에서의 디지털화 144

4. 시사점 145

제4절 전문가 조사를 통한 평가 146

1. 거시적 환경 측면에서의 진단 146

2. 교통 SOC 디지털 환경 측면의 진단 148

제5절 시사점 150

제6장 교통 SOC 디지털화 국가전략 제안 152

제1절 국가전략 도출과정 152

1. 도출과정 152

2. 선결사항 155

제2절 4대 목표와 10대 추진과제 157

1. 정부의 디지털 기반 교통 SOC 사업 추진체계 강화 157

2. 교통 SOC 디지털화를 위한 교통투자평가제도 운영 163

3. 안정적 교통 SOC 디지털 투자재원 확보 168

4. 교통 SOC 디지털 산업 생태계 마련 170

제3절 시기별 추진 방안 177

제7장 결론 179

제1절 결론 179

제2절 향후 연구내용 180

참고문헌 181

[부록 1] 전문가 조사표 191

[부록 2] 독일 A9 프로젝트 207

[부록 3] 교통 시뮬레이션 기반 교통체계의 디지털화와 교통체계 영향분석 215

Abstract 242

판권기 245

〈표 2-1〉 해외 도로의 자율주행과 디지털화 관련 정부 기관 전문가 조사 내역 60

〈표 4-1〉 전문가 심층 조사 명단 102

〈표 5-1〉 KPMG 평가부문별 지표 변화 동향 131

〈표 5-2〉 싱가포르 디지털 트윈 기능 예시 134

〈표 5-3〉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에서의 디지털화 144

〈표 6-1〉 기존 도로와 디지털 도로의 정의와 달라지는 다양한 서비스 예시 156

〈표 6-2〉 주요 ICM 사례의 비용편익 예 165

〈표 6-3〉 ICM 전략에 필요한 모형의 조합 165

〈표 6-4〉 시기별 추진과제 배분 178

〈그림 1-1〉 본 연구 전체의 수행절차 46

〈그림 1-2〉 본 연구의 사례 연구 수행절차 46

〈그림 2-1〉 SOC 디지털, 디지털 인프라와 물리적 인프라의 구성 54

〈그림 2-2〉 스마트 인프라의 예시 56

〈그림 2-3〉 스마트 운영기술 도입 56

〈그림 3-1〉 C-ITS 체계도 67

〈그림 3-2〉 HERE 제공 디지털 맵 68

〈그림 3-3〉 Buffalo University AV Shuttle 70

〈그림 3-4〉 일본 SB 드라이브의 자율주행셔틀 실증차량 71

〈그림 3-5〉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열차 간 분기제어를 시험 중인 축소시험 차량 72

〈그림 3-6〉 초기 K-UAM 교통체계의 구조 74

〈그림 3-7〉 AI 기반 자율주행 신호제어 시스템 개념 75

〈그림 3-8〉 ICM을 위한 여러 수준의 분석 도구 76

〈그림 3-9〉 다차로 하이패스 77

〈그림 3-10〉 LTE-R 기반 열차제어시스템 78

〈그림 3-11〉 SBAS 위성을 이용한 국가정밀위치서비스 제공 79

〈그림 3-12〉 인천공항이 운영 중인 여객흐름 및 혼잡상황 파악용 대시보드 80

〈그림 3-13〉 한국도로교통공사 교통센터 83

〈그림 3-14〉 버추얼 싱가포르 일부 85

〈그림 3-15〉 IoT 기반 스마트 철도 전기 시스템 개념도 86

〈그림 3-16〉 드론 디바(DIVA)의 특징 88

〈그림 3-17〉 비탈면 관리시스템 90

〈그림 3-18〉 통합관제로 전송되는 정보 사례 91

〈그림 3-19〉 Cello Loading Optimizer 예시 96

〈그림 3-20〉 아마존 물류로봇 KIVA 97

〈그림 3-21〉 이마트 자율주행 배송 일라이고 98

〈그림 3-22〉 벤츠 비전, 밴 물류 시스템의 자동화와 드론 배송 99

〈그림 3-23〉 텔레매틱스 기술 혁신과 물류 관련 서비스 영역 100

〈그림 4-1〉 사례 조사를 통한 대표 사례 선정 프로세스 103

〈그림 4-2〉 화물운송 자율주행 부문 심층조사결과 105

〈그림 4-3〉 도심부 인공지능 신호등 부문 심층조사결과 106

〈그림 4-4〉 고속도로 디지털화 부문 심층조사결과 108

〈그림 4-5〉 화물군집 자율주행 부문 심층조사결과 110

〈그림 4-6〉 철도 디지털화 부문 심층조사결과 112

〈그림 4-7〉 대도시 자율주행셔틀 부문 심층조사결과 114

〈그림 4-8〉 소도시 자율주행 셔틀 부문 심층조사결과 116

〈그림 4-9〉 GTX 중심 자율주행 셔틀 부문 심층조사결과 117

〈그림 4-10〉 대도시 UAM 부문 심층조사결과 119

〈그림 4-11〉 중소도시 UAM 부문 심층조사결과 120

〈그림 4-12〉 화물주차정보 부문 심층조사결과 122

〈그림 4-13〉 VTG(Vehicle To Grid) 부문 심층조사결과 123

〈그림 5-1〉 WEF의 디지털준비지수 평가 항목 128

〈그림 5-2〉 IMD의 세계 탤런트 순위 세부 평가 표 129

〈그림 5-3〉 IMD의 세계 디지털경쟁력 순위 세부 평가 표 130

〈그림 5-4〉 싱가포르 서부 자율주행 시범지역 확대 지도 133

〈그림 5-5〉 독일 디지털교통부 조직도 135

〈그림 5-6〉 교통과 디지털이 합쳐지고 있다 136

〈그림 5-7〉 SOC 디지털 중요성의 거시적 진단 146

〈그림 5-8〉 비전과 전략 등 심층조사결과 149

〈그림 5-9〉 SOC 디지털화 준비 진단 검토를 통한 국가 전략에 적용 151

〈그림 6-1〉 국가 전략 도출 프로세스 153

〈그림 6-2〉 교통 SOC 디지털화 4대 목표와 10대 과제 154

〈그림 6-3〉 국가기간교통망계획 등 법정계획 관계도 159

〈그림 6-4〉 교통운영 중심에서 수요관리와 도시계획으로의 피드백 구조화 161

〈그림 6-5〉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반의 협력적 거버넌스 준비 163

〈그림 6-6〉 ICM에서 적용한 수요분석체계 166

〈그림 6-7〉 편익산정방식에 따른 비용편익 차이(미국 MPO예) 167

〈그림 6-8〉 디지털 투자 재정 확대를 위한 배분구조의 개편 170

〈그림 6-9〉 자율주행사회를 위한 준비 172

〈그림 6-10〉 도로 중심에서 분야의 다양화 추진 173

〈그림 6-11〉 협력적 준비를 통한 상용화 대비 174

〈그림 6-12〉 디지털 정보의 적응력 강화 176

〈부표 2-1〉 독일 베를린-뮌헨 간 아우토반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차 시범프로젝트(A9 프로젝트) 207

〈부표 3-1〉 공유형자율주행택시의 비용편익사례 216

〈부표 3-2〉 노드 데이터 구조 223

〈부표 3-3〉 링크 데이터 구조 224

〈부표 3-4〉 EMME와 MATSim 트랜짓 데이터 비교 226

〈부표 3-5〉 DRT와 버스의 p-km 비교 236

〈부표 3-6〉 DRT와 버스의 p-hr 비교 237

〈부표 3-7〉 차종 및 운영 대수별 시나리오 설정 237

〈부표 3-8〉 시나리오별 인-km 비교 238

〈부표 3-9〉 시나리오별 p-hr 비교 240

부도목차

〈부도 3-1〉 Agent 통행 발생지역 223

〈부도 3-2〉 KTDB Network 변환 결과 225

〈부도 3-3〉 세종시 트랜짓 라인 구축결과 229

〈부도 3-4〉 zone system 234

〈부도 3-5〉 차종별 운영 대수와 수송 인원 239

〈부도 3-6〉 차종별 운영 대수와 차량 이동 거리 239

〈부도 3-7〉 차종별 운영대수와 평균 대기시간 241

〈부도 3-8〉 차종별 운영 대수와 p-hr 변화 241

해시태그

#한국판뉴딜 # 교통SOC디지털화 # SOC디지털화국가전략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