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에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은 세계 패권전쟁의 전환점이 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방권과 러시아 간의 경제 전쟁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서방 국가들은 경제제재 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BRICS, 상하이협력기구(SCO), 중동, 아프리카 국가들은 서방측 경제제재 참여를 꺼리고 있다. 온 세계가 ‘패권전쟁’과 ‘경제 전쟁’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거의 모든 경제 분야로 확대했다. 경제제재의 상당 부분은 우크라이나 전쟁과는 관련이 없는 패권전쟁의 틀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 패권전쟁이 지속되는 한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도 핵심기술 분야 등 러시아에 대한 제재는 지속될 것이다. 그 대응 정책으로 러시아는 독자적 기술개발과 BRICS 등 우호국과의 협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2014년 크림반도 사태 이후 추진해온 ‘수입대체 정책’은 최근 들어 ‘기술 주권’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2020년대는 러시아의 경제 주권을 강화하는 시기가 될 것이며, 자체 인프라와 기술개발, 전문가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 패권전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격화된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상황에서 앞으로의 한-러 협력 방향을 점검해 보는 데 있다. 본 보고서의 주요 연구 대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러시아의 패권 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둘째,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셋째, 경제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러시아의 대응 정책
넷째, 러시아의 수입대체 정책과 기술정책 방향
다섯째,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러 협력 방향
2장에서는 러시아의 국가안보전략 내용 검토를 통해 경제 안보 및 전략적 대외협력 등 러시아연방의 국가이익과 전략적 국가 우선순위를 살펴본다. 또한, NATO 움직임으로부터 국가 및 경제 안보 확보를 위해 전개하는 러시아의 다극체제 이니셔티브를 검토한다.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 대해서도 비교적 상세히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제재의 목표, 내용, 문제점, 한계, 영향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서방의 경제제재가 러시아에 미치는 영향과 러시아 정부의 대응 정책을 살펴보았다. 러시아 정부가 예상하는 경제 전망, 경제제재에 대한 러시아의 시각. 보복 제재, 분야별 경제 대책 등을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경제제재 대응책으로 추진해온 러시아의 수입대체 전략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해 보았다.
6장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전개하는 러시아의 기술 육성 정책 방향과 변화된 환경 속에서 추진할 만한 한-러 협력 방향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미-중, 미-러 간 경쟁과 중-러 간 협력이라는 지정학적 패권 경쟁 속에서 국가 간 부문별 협력과 경쟁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미-러 간 경쟁과 협력은 물론 중-러 간 협력과 경쟁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우리의 이익을 위해서는 미-중, 미-러 간 지정학적 패권 경쟁을 고려하되 우리 안보와 첨단기술 및 시장 확보를 위한 융통성 있는 정책을 취해야 한다. 균형 있는 대미, 대중, 대러 협력 정책이 필수적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속에서도 중·장기적 한-러 협력을 위해서는 산업기술 분야 공동연구와 세미나 개최, 상품 및 기술 전시회 참여 등 상호 협력 기반을 꾸준히 유지하고 확대해 나가야 한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경제제재 때문에 현 단계에서 한-러 기술협력은 대단히 어렵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한-러 협력의 미래를 위해 가능한 협력 방안을 찾아야 한다. 다음과 같은 것이 그 방안이 될 수 있다.
① 제재 이후의 한-러 관계를 위해 한-러 정부 간 대화 및 기관 간 협력 프로젝트 유지
②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BRICS(BRICS), 기타 중동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다자간 협력 진행
③ EAEU 혹은 러시아와 FTA를 체결한 베트남 등의 국가를 활용해 기술협력 진행
④ 기존 협력플랫폼 활용과 우회 전략 마련
⑤ 학술 연구 교류 등을 통해 네트워크 유지
⑥ 비즈니스와 접목할 수 있는 한-러 공동연구 기능 확대와 인적 교류 지속
⑦ 러시아의 병행수입 제도를 고려한 수출 방안 모색
⑧ 식품산업 위주의 러시아 극동 연해주 산업단지 조성사업 추진
(출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6
Abstract 8
정책 제안 11
01. 서론 25
제1절 연구 배경 26
제2절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 29
제3절 연구 방법 31
제4절 선행연구와 연구 기대 효과 32
02. 러시아의 패권 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34
제1절 러시아 국가안보전략 35
1. 국가안보전략 시행 배경 35
2. 러시아연방의 국가이익과 전략적 국가 우선순위 37
3. 전략적 국가 우선순위의 주요 내용 38
가. 경제적 안보 38
나. 과학 및 기술개발 40
다. 환경 안전 및 천연자원의 합리적 이용 41
라. 전략적 안정과 호혜적 국제협력 42
4. 국가안보전략 관련 최근 주요 정책 동향 44
가. 경제 안보와 수입대체 44
나. 과학 및 기술개발 전략 45
다. 환경 안전과 탄소중립 47
라. 전략적 안정과 대외협력 51
제2절 러시아의 세계 다극체제 이니셔티브 54
1. 푸틴의 뮌헨 안보정책회의 연설 54
2. 중-러 공동성명과 공정한 다극체제 구축 전략 56
3. 러시아의 다극체제 이니셔티브 강화 59
4. UN을 통한 러시아의 다극체제 강화 움직임 61
제3절 우크라이나 전쟁 63
1. 전쟁 배경: 러시아의 법적 안전보장 요구 63
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작전' 목표 68
3.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70
가. 러시아의 전쟁 목표 달성까지 계속 70
나. 전쟁 장기화 전망 70
다. 서방의 전쟁 지원과 NATO와의 확전 방지 71
라. 서방의 개입에 대한 러시아 비난 73
4.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평화협상 전망 74
5. 점령지역의 러시아 편입 77
03.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제재와 한계 78
제1절 경제제재 목표와 해제 조건 79
1. 서방의 경제제재 목표 80
제2절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81
1. 미국의 경제제재 81
2. EU의 경제제재 83
가. EU의 1~3차 제재 84
나. EU의 4차 제재 84
다. EU의 5차 제재(석탄 수입 금지) 88
라. EU의 6차 제재(석유 수입 금지) 89
마. EU의 7차 제재와 일부 해제 92
바. EU의 8차 제재와 제재 논의 92
3. G7과 주요국의 대러시아 제재 94
가. G7의 제재 협의 94
나. 영국의 제재 95
다. 독일의 제재 96
라. 일본의 제재 97
마. 호주의 제재 103
제3절 경제제재 확대 방향과 논란 104
1. 원유가격 상한제 104
2. 가스가격 상한제 107
제4절 경제제재의 영향과 한계 109
1. EU의 생산 중단과 경제 침체 109
2. EU의 인플레이션 113
3. 수송 문제 116
가. 물류비용 증가 116
나. 곡물 및 비료 수송 문제 118
4. 경제제재 한계와 논란 119
가. 러시아의 경제력에 의한 제재의 한계 120
나. 러시아 에너지 대체의 어려움과 조달 노력 120
다. 유럽내 위기와 의견 조정상의 혼란 122
라. 경제제재 가능성의 소진 124
마. 러시아와의 타협과 굴복 126
바. 사회 정치적 혼란과 정권 교체 우려 128
제5절 경제제재에 대한 부정적 평가 130
제6절 경제제재 해제 조건과 일부 해제 134
1. 경제제재 해제 조건 134
2. 경제제재 해제 전망과 사례 135
가. 경제제재 해제 전망 135
나. 제재 해제 사례 137
제7절 러시아 경제제재 관련 주요국 대응 141
1. 독일 141
2. 중국, 인도, 브라질 144
가. 중국 144
나. 인도 145
다. 브라질 146
3. 중동 148
가. 튀르키예(터키) 148
나. 사우디아라비아와 기타 150
4. 아프리카 151
5. 아세안 및 중남미 152
04. 경제제재의 영향과 러시아의 대응 154
제1절 러시아의 경제제재 대응 정책 155
1. 푸틴, 경제제재 대응 방향 155
2. 러시아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 157
가. 경제제재 속에서의 긴급 대응책 157
나. 2024년까지의 국가목표 지속 수행 159
3. 금융시장 안정과 통화 대책 161
가. 긴급 금융시장 대책 161
나. 금융시장 안정화 대책 162
다. 2025년까지의 통화정책 방향 166
4. 경제 안정화 조치 168
가. 국민 안정 대책 168
나. IT 인력 이탈과 지원 정책 169
다. 중소기업 지원 171
5. 시장 보호와 병행수입 172
가. 시장 보호를 위한 병행수입 허용 172
나. 병행수입 시행 173
다. 병행수입 정책의 향후 전망 175
6. 대외협력 지속적 확대 강조 175
제2절 러시아 경제제재의 영향과 전망 178
1. 제재 불구 러시아 경제 건재 178
2. 러시아 경제 전망 182
가. 중앙은행 경제 전망 182
나. 경제개발부 경제 전망 상향 조정 184
다. 낙관적인 경제 전망 185
라. 비관적 경제 전망 187
마. 세계은행과 IMF의 러시아 경제 전망 189
바. 중앙은행의 시나리오별 경제 정책과 전망 189
3. 주요 분야 영향 192
가. 수출입 192
나. 주요 상품에 대한 영향 192
제3절 경제제재에 대한 인식과 보복 제재 195
1. 경제제재에 대한 러시아 시각과 평가 195
2. 러시아의 보복적 경제 대응책 199
가. 항공 운항 금지 199
나. 외국 채권 루블 변제 200
다. 비우호국 목록 발표 201
라. 외국 상품의 일시적 수출 금지 202
마. 목재와 비료 수출 금지 203
바. 가스 및 전략적 원자재의 루블화 지불 204
사. 자국 통화 결제와 달러 대체 촉구 205
아. 비우호적 기관에 대한 보복적 조치 206
자. 금융, 에너지 분야 보복 조치 207
차. 반도체 원소, 토지 구매 제한 208
제4절 경제제재 관련 주요 이슈 209
1. 에너지 209
가. 제재 불구 러시아의 에너지 공급 증가 209
나. 유럽 에너지 부족 211
다. 표준 가격제 213
2. 식량 위기와 곡물 공급 214
3. 외국기업의 러시아 철수 216
가. 외국기업 철수 동향 216
나. 일본 기업의 러시아 철수 사례와 국익 보호 218
4. 우호국과의 협력 강화 220
05. 기술 패권전쟁 시대의 러시아의 수입대체 전략 221
제1절 러시아의 대응 전략의 기조 및 상황 인식 222
제2절 러시아의 대응 전략의 전개 과정 226
1. GVC 참여 성격에 대한 반성과 산업별 주요 정책 방향 226
2. 러시아의 GVC 참여의 성격적 특징 233
3. GVC 참여 성격 변화의 시도(방산과 에너지 중심의 성격 변화) 237
제3절 재산업화 정책의 도입과 수입대체 정책의 입안 240
1. 새로운 산업 정책 및 R&D 지원책의 개발 240
2. ICT 분야 수입대체 정책과 영향 243
3. 수입 대체 정책의 본격화와 독자적 기술개발의 시작 248
제4절 수입대체 정책 방안과 시행 251
1. 수입대체 정책 지원과 초기 목표 251
2.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제재 강화와 러시아의 대응 진화 255
가. 러시아 수입대체 정책의 변화 256
나. 수입대체 정책과 국영 기술기업 확대 260
다. 러시아의 기술 주권 전통과 포위된 요쇄 261
라. 수입 대체 정책의 성과와 목표 변화 266
제5절 독자 기술개발의 성과와 한계 (방위산업 사례) 271
제6절 지정학적 연계 전략(에너지 분야 사례) 280
제7절 수입대체를 통한 기술개발 성공 사례와 동향 286
1. 에너지 분야 286
가. 에너지 가공품 생산 286
나. 에너지 장비 생산과 중-러 협력 288
2. 하이테크 및 정보통신 분야 사례 293
06.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기술 육성 정책과 한 - 러 협력 방향 299
제1절 러시아의 산업기술 독자 개발 정책 300
1. 러시아의 수입대체 정책 평가 300
2. 기술 주권 정책 강화 302
가. 기술 주권 정책 302
나. 기술 주권 강화와 국제협력 303
3. 기술 주권 이행 방향 304
가. 기술개발 감독 담당 304
나. 기술 개발 지원정책과 자금 조달 305
제2절 한-러 협력 방향 308
1. 제재 하의 한-러 협력의 기본 방향 308
2. 제재 하의 한-러 협력 실행방안 311
제3절 제재 하에서의 과학ㆍ기술 분야 한-러 협력 314
1. 한-러 산업ㆍ기술 협력 가능 분야 314
2. 한-러 산업ㆍ기술 협력 모델 316
가. 주변국 혁신 인프라 진출 모델 316
나. 국제 과학기술 센터 활용 모델 317
다. 국제 과학, 산업기술 다이얼로그 318
3. 잠재력 있는 단기 프로젝트와 정책 제안 319
참고문헌 321
[부록 1] 산업기술 분야별 러시아 동향과 한-러 협력 방향 362
1. 인공지능(AI) 362
2. 반도체 374
3. 전자산업 391
4. 통신 분야 402
5. 항공산업 414
6. 에너지산업 429
7. 소재산업 439
8. 북극 개발과 북방항로 451
[부록 2] 러시아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국제관계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 관한 공동성명 463
[부록 3] 패권전쟁 시대 중-러 핵심 산업 기술 분야 협력 474
1. 중ㆍ러 과학ㆍ기술 협력의 배경 477
2. 중ㆍ러 분야별 과학ㆍ기술 협력 동향 481
3. 시사점: 올바른 글로벌 인식 필요 509
판권기 511
〈표 2-1〉 러시아연방 국가안보전략의 전략적 국가 우선순위 37
〈표 2-2〉 러시아연방 경제안보를 위한 주요 과제 39
〈표 2-3〉 러시아 과학 및 기술 발전을 위한 과제 40
〈표 2-4〉 러시아 환경 및 천연자원 이용 관련 과제 41
〈표 2-5〉 러시아연방 대외정책의 과제 43
〈표 2-6〉 푸틴의 뮌헨연설(다극체제와 NATO 비확장 및 경제안보 관련) 54
〈표 2-7〉 새로운 국제관계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 관한 중-러 공동성명 56
〈표 2-8〉 미국과 나토의 법적 보안 보장에 관한 러시아 조약 초안 63
〈표 2-9〉 안전보장에 대한 미국측 대응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 67
〈표 3-1〉 EU의 국가별 연간 인플레이션 113
〈표 4-1〉 러시아의 주요 위기 대응 및 지원 정책 156
〈표 4-2〉 러시아 경제 상황 및 선진 경제 추진 방향 158
〈표 4-3〉 2024년까지의 9개 러시아 국가발전목표(국정과제) 160
〈표 4-4〉 2024년까지 러시아의 전략과제 12개의 주요 목표 160
〈표 4-5〉 러시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 167
〈표 4-6〉 러시아 산업별 타격 전망 188
〈표 4-7〉 러시아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 190
〈표 5-1〉 글로벌 밸류체인에 대한 각국의 참여율(2011년) 226
〈표 5-2〉 러시아 주요 산업별 수입품 의존 비율 231
〈표 5-3〉 러시아가 추구하는 산업별 GVC 전후방 참여 성격 변화 238
〈표 5-4〉 러시아 수입대체 정책을 뒷받침한 조달 관련 주요 법적 조치 252
〈표 5-5〉 조달 관련 법령 시행의 영향과 평가 252
〈표 5-6〉 러시아 제조업 발전 전략의 주요 지표 254
〈표 5-7〉 2035년까지의 러시아 제조업 발전 전략의 연도별 개발 목표 254
〈표 5-8〉 러시아연방 예산 대비 국방 분야 연구개발비 비중 259
〈표 5-9〉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의존했던 주요 방산 물품 274
〈표 6-1〉 부총리별 첨단기술 개발 감독 대상 305
〈표 6-2〉 단계별 산업기술 분야 협력 대상과 범위 315
〈표 6-3〉 경제제재 하에서 한-러 양국 간 진행할 수 있는 주요 프로젝트 315
[그림 4-1] 러시아 인플레이션 및 기준금리 동향(2018~2022) 167
[그림 4-2] 달러당 루블 환율 동향(2021. 10~2022. 9) 178
[그림 4-3] 러시아 GDP 성장(2020~2022년 2분기) 179
[그림 4-4] 러시아 원유 수출 추이(2022년 1~7월) 180
[그림 4-5] 러시아의 제조업 및 서비스 부문 구매관리자 지수 추이 181
[그림 4-6] 시나리오별 러시아 경제 전망 187
[그림 4-7] 러시아의 석유 수출 10대 대상국(2021년) 210
[그림 4-8] 러시아의 천연가스 10대 수출 대상국(2021년) 210
[그림 5-1] 주요국과 비교한 러시아의 GVC 참여 특징(전방/후방 참여의 비중) 227
[그림 5-2] 러시아의 GVC 참여 비율 추이(1995년과 2009년) 228
[그림 5-3] 러시아 주요 산업의 GVC 참여 정도(전방/후방 참여 비율) 229
[그림 5-4] 러시아에 대한 외국인 투자 추이(유통, 자원 채굴, 제조, 금융 부분을 중심으로) 229
[그림 5-5] 러시아 CNC 금속 절삭 공작기계 생산량 변화 추이(1985~2016) 230
[그림 5-6] 소련 및 러시아의 승용차 생산 추이(1985-2016) 230
[그림 5-7] 러시아와 주요국의 경제 복잡성 지수(Economic Complexity Index) 순위 변화 추이 (1995~2018) 232
[그림 5-8] 부문별 최종재에서 차지하는 러시아의 부가가치 비중(2014년) 237
[그림 5-9] 러시아의 국내 투자 증가율 추이(2010~2015) 241
[그림 5-10] 러시아 정부의 R&D 분야에 대한 세제 지원 규모(2010~2019) 242
[그림 5-11] 산업 부문별 수입대체 및 주권적 독자 기술개발 계획 243
[그림 5-12] 세계 기술개발 단계별 전망 261
[그림 5-13] 러시아 UAZ 자동차에 들어가는 외국산 부품(2015년) 265
[그림 5-14] 휴대폰 생산에 필요한 외국산 부품의 종류 265
[그림 5-15]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러시아 UN 규탄 결의 표결(2022. 3. 2) 281
[그림 5-16]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대러시아 경제제재 참여국(48개국) 282
[그림 5-17]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유럽의 의존도(2014년) 285
[그림 5-18] 러시아의 에너지 분야 외국 의존 기술 분야 비중 288
[그림 5-19] 야말 LNG 공장 건설의 모듈 작업에 참여한 중국 및 외국기업 291
〈부표 1-1〉 러시아 AI 분야별 수익 비중(2021) 362
〈부표 1-2〉 러시아 분야별 AI 솔루션 개발업체 수 363
〈부표 1-3〉 러시아 과학자들이 발표한 기초분야 AI 논문 수(2010~2018) 363
〈부표 1-4〉 러시아 20대 AI 연구기관(2010~2018) 364
〈부표 1-5〉 러시아 IT 분야 주요 기업(2022년) 365
〈부표 1-6〉 러시아 AI 관련 주요 정책 개요 367
〈부표 1-7〉 '2030년까지 인공지능 발전전략'의 주요 내용 368
〈부표 1-8〉 2022년 러시아 정부의 IT 분야 주요 지원 조치 370
〈부표 1-9〉 기간별 협력 방향 373
〈부표 1-10〉 러시아 전자산업 발전 전략(2020~2021) 396
〈부표 1-11〉 러시아 5G 발전 동향 404
〈부표 1-12〉 "5G 모바일 이동통신망" 로드맵에 설정된 5G관련 주요 목표 지표 407
〈부표 1-13〉 러시아 5G 발전과 관련된 전략 및 프로그램 408
〈부표 1-14〉 한국 및 러시아의 5G 발전전략 412
〈부표 1-15〉 '2013~25년 항공산업 육성 국가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2021년) 419
〈부표 1-16〉 '2030년까지의 항공산업 육성전략'의 주요 내용(2017년) 420
〈부표 1-17〉 '2025년까지의 항공산업의 민간제품 수출발전전략'의 주요 내용(2017년) 421
〈부표 1-18〉 미국의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항공산업 관련 기관 422
〈부표 1-19〉 '2030년까지 러시아 항공운송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2022년) 423
〈부표 1-20〉 '2030년까지 러시아 항공운송 발전 통합프로그램'의 주요 내용(2022년) 423
〈부표 1-21〉 에어버스와 러시아 기업과의 협력 424
〈부표 1-22〉 보잉과 러시아 기업과의 협력 424
〈부표 1-23〉 CR929 프로젝트 개발 관련 주요 일정 425
〈부표 1-24〉 기간별 협력 방향 정리 내용 428
〈부표 1-25〉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산 및 수출 전망 431
〈부표 1-26〉 러시아 출원 건 수 기준 상위 10대 산업 분야 441
〈부표 1-27〉 소재ㆍ부품 전담 R&D 국가연구센터 442
〈부표 1-28〉 소재ㆍ부품 전담 R&D 국가연구센터 443
〈부표 1-29〉 러시아 나노 발전 방향 및 적용 분야 444
〈부표 1-30〉 대러시아 소재산업 수출ㆍ입 동향 447
부도목차
[부도 1-1] 러시아 AI 시장 규모 362
[부도 1-2] 러시아 AI 지원 규모(2018~2021년) 366
[부도 1-3] 러시아 전자산업 기업군 및 제품군 비중(2019년) 392
[부도 1-4] 러시아 통신시장 규모 402
[부도 1-5] 러시아 통신망 현황 및 전망(2017~2025) 403
[부도 1-6] 러시아 민간항공기 생산량 추이(1969~2019) 415
[부도 1-7] 로스테크 항공산업 자회사 구조 416
[부도 1-8] 러시아 부문별 수입의존도 416
[부도 1-9] 러시아 항공산업 현황(2016~2020) 417
[부도 1-10] 러시아 부문별 수입처 비중(2019년) 418
[부도 1-11]/[부도 1-10] 유럽 천연가스 가격 추이 429
[부도 1-12]/[부도 1-11] 러시아 동부지역의 석유 및 가스 주요 파이프라인 망 432
[부도 1-13]/[부도 1-12] 국제 유가 동향(2021. 8~2022. 8) 433
[부도 1-14]/[부도 1-12] 국제 천연가스 가격 동향(2021. 8~2022. 8) 434
[부도 1-15]/[부도 1-13] 러시아 북극권(RAZ, Russia's Arctic zone) 453
[부도 1-16]/[부도 1-14] 북방항로의 다양한 노선 456
[부도 1-17]/[부도 1-15] 북동항로, 북서항로와 현행 항로 45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기술 패권전쟁 시대의 러시아의 대응 전략과 한러 협력 :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핵심 산업기술 분야 협력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