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정보심리전의 진화 양상과 대응 방안

오늘날 정보심리전은 여론을 주도하고, 적국의 의사결정 혼선과 저항의지를 무력화시킴으로써 전황을 유리한 국면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고도화된 디지털 정보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전시의 비무력적 군사활동인 정보·심리전이 전면전에서 효과적인 공격·방어 수단으로 작용하는 양상을 보여준 사례이다. 실제로 러시아의 공격에 맞선 우크라이나 측의 담론 프레이밍과 반격 내러티브는 초기의 전세를 유리하게 확보하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한 바 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이 사이버 공간의 정보·심리전에 본격적으로 무기화되는 양상을 극명하게 보여준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정보심리전 및 이와 연계된 다양한 개념들을 고찰하고, 향후 전망과 위협 양상을 전망하며, 한국적 상황에 제기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정보심리전과 인지전의 진화 양상은 한반도 안보환경에도 새로운 도전을 제기할 것이다. 이에 맞서 동맹 및 우호국과의 공조는 정부의 정치적 정당성과 권위, 민주주의 제도와 사회질서를 유지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진화된 정보심리전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 소통 강화, 한미 정보자원 우위를 위한 논의 확장, 민간·비정부 행위자들과의 연구기반·정보협력 확대 등 다층적 수준에서 다양한 행위주체들과의 협력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2

Ⅰ. 문제 제기 4

Ⅱ. 정보심리전의 개념과 진화 양상 6

가. 각 연관 개념의 정의와 유래 6

나. 주요 초점 및 범위 8

다. 현대전에서의 정보심리전의 진화 양상 9

Ⅲ.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나타난 정보심리전의 양상과 의미 12

가. 전시(戰時) 정보심리전의 파급력 12

나. 정보심리전 행위 주체의 다변화 14

다. 정보심리전 공격의 진화에 따른 효과적 방어의 중요성 증가 14

Ⅳ. 한국적 시사점과 대응 방안 15

가. 국내 정보심리전 운용의 쟁점 15

나. 한반도 정보심리전의 위협 전망과 취약점 16

다. 정책적 고려사항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1

[표 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후에 나타난 정보심리전 12

[그림 1] 사이버 심리전에 의한 대외정책결정 과정의 변동 메커니즘 7

[그림 2] 정보심리전 및 주요 연관 개념들의 적용 영역 및 관계도 9

해시태그

#사이버전 # 정보전 # 사이버안보 # 국가안보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정보심리전의 진화 양상과 대응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