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1월 12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함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은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 하면서, 경제성·환경성·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원믹스를 구성하고 전력망 보강, 전력시장 개편 등 전력수급 기반 강화를 추진함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 주요 내용
- 수요전망 : ’36년 최대전력 수요는 118.0GW로 전망
- 공급설비 : 실현 가능하고 균형잡힌 전원설비 구성
- 발전량 전망 : ’36년 원전, 신재생 발전 비중 30% 이상으로 증가
- 온실가스 : 도전적인 목표이나, ’30년 전환부문 NDC 달성 전망
- 전력통계 : 기계획된 설비 적기 건설 및 신규 전력망 선제적 보강
- 전력시장 : 전력시장을 다원화하고 보다 경쟁적으로 개선
(출처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22~2036) / 산업통상자원부)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은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 하면서, 경제성·환경성·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원믹스를 구성하고 전력망 보강, 전력시장 개편 등 전력수급 기반 강화를 추진함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 주요 내용
- 수요전망 : ’36년 최대전력 수요는 118.0GW로 전망
- 공급설비 : 실현 가능하고 균형잡힌 전원설비 구성
- 발전량 전망 : ’36년 원전, 신재생 발전 비중 30% 이상으로 증가
- 온실가스 : 도전적인 목표이나, ’30년 전환부문 NDC 달성 전망
- 전력통계 : 기계획된 설비 적기 건설 및 신규 전력망 선제적 보강
- 전력시장 : 전력시장을 다원화하고 보다 경쟁적으로 개선
(출처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22~2036) / 산업통상자원부)
목차
표제지
목차
1. 개요 및 추진경과 2
2. 기본 방향 2
3. 전력수요 전망 3
4. 발전설비 계획 4
5. 발전원별 정책방향 6
6.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구성 7
7. 발전량 전망 8
8. 온실가스 배출목표 달성방안 8
9. 환경 개선효과 9
10. 전력계통 확충 10
11. 전력시장 개선(안) 10
12. 후속 계획 1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