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통일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9
Abstract 11
Ⅰ. 서론 / 민태은 13
1. 연구 주제와 의의 14
Ⅱ. 민주주의 확산정책 / 민태은 20
1. 통일과 평화공존에 대한 인식 23
2. 민주주의 확산정책 이론 33
3. 냉전 이전 미국의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태동과 변화 40
가. 윌슨 정부(1913~1921) 41
나. 트루먼 정부(1945~1953) 43
다. 아이젠하워 정부(1953~1961) 45
라. 케네디 정부(1961~1963) 46
마. 카터 정부(1977~1981) 49
바. 레이건 정부(1981~1989) 50
사. 제41대 부시 정부(1989~1993) 53
4. 미국의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현황 56
가. 민주주의 확산정책 주요 기관 56
나. 민주주의 확산정책 수단 59
5. 소결 61
Ⅲ. 냉전 이후 미국의 민주주의 확산정책 / 민태은;박동준 65
1. 클린턴 정부(1993~2001) 71
가.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배경: 탈냉전 시대의 새로운 비전의 필요성 72
나.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특징: 질적ㆍ양적 팽창과 자유시장 강조 74
다. 동북아에서 민주주의 확산정책 78
2. 제43대 부시 정부(2001~2009) 80
가.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배경: 9ㆍ11 테러와 대(對)테러 전쟁 81
나.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특징: 군사작전과 성과주의 83
다. 동북아에서 민주주의 확산정책 86
3. 오바마 정부(2009~2017) 88
가.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배경: 미국 이미지 쇄신과 글로벌 금융 위기 89
나.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특징: 인간 및 경제개발과 민주 제도 확립 91
다. 동북아에서 민주주의 확산정책 95
4. 트럼프 정부(2017~2021) 96
5. 소결 100
Ⅳ. 바이든 정부의 민주주의 확산정책(2021~) / 민태은 102
1. 바이든 정부의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배경: 대중 견제와 민주주의 위기 의식 105
2. 바이든 정부의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특징: 다자주의와 기술 협력 114
3. 동북아에서 민주주의 확산정책 120
4. 소결 125
V. 결론: 연구 요약 및 정책제언 / 민태은 128
1. 연구 요약 129
2. 정책제언: 민주주의 확산정책의 딜레마와 한국의 외교전략 133
가. 바이든 정부의 민주주의 확산정책과 한국 외교의 딜레마 133
나. 정책제언 140
참고문헌 153
[부록] 161
1. 동북아시아 국가별 민주주의 확산 프로그램 규모(1993~2021) 162
2. 동아시아 국가별 민주주의 확산 프로그램 주제 163
최근 발간자료 안내 164
판권기 3
표 Ⅱ-1. 냉전 시기 미 주요 정부의 민주주의 확산정책 55
표 Ⅳ-1. 냉전 이후 미 정부의 민주주의 확산정책 125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미국의 민주주의 확산정책 : 동북아 지역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