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신흥 선도국의 문화교류 전략 : 문화전략팀 : NRC 2021 세계전략연구회

목차

표제지

목차

Ⅰ. 서론 6

1. 연구배경 및 목적 7

2. 연구범위 및 내용 8

Ⅱ. 21세기 국제정치와 소프트파워 9

1. 국제정치와 소프트파워의 중요성 10

가. 국제정치에서 소프트파워 개념 정의 10

나. 스마트파워(Smart Power)와 샤프 파워(Sharp Power) 12

2. 소프트파워와 공공외교, 그리고 국가 이미지 13

3. 문화가 소프트파워에 미치는 영향 15

가. 국제정치와 문화 15

나. 문화교류와 문화교역 15

다. 국제정치와 문화 확산의 담론 17

라.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본 신한류-착한 한류 18

4. 한국의 소프트파워 평가 19

5. 포스트코로나 시대 소프트파워와 공공외교 관련 국내외 논의와 시사점 22

가. 디지털 강국의 문화 전략 22

나. 포용적ㆍ집단적 소프트파워 23

Ⅲ. 문화교류의 원칙과 방향 25

1. 문화교류의 대상과 범위 26

2. 교류로서의 문화, 교역으로서 문화 27

가. 교류 대상으로서 문화 27

나. 교역 대상으로서 문화 28

3. 문화교류의 유형과 원칙 28

가. 문화교류 원칙 28

나. 문화통상 원칙 30

4. 신흥 선도국의 문화교류 원칙과 방향 31

가. 인정과 존중의 원칙 31

나. 개방과 균형의 원칙 31

다. 연대와 협력의 원칙 32

Ⅳ. 문화예술 분야 교류 전략과 과제 33

1. 문화예술 교류 현황과 정책 분석 34

가. 문화예술 교류 생태계 및 활동 현황 34

나. 문화교류 분야별 전략 현황 39

다. 한국 문화예술 교류 전략의 특징 및 한계 50

2. 문화예술 교류 변화 전망 53

가. 창작 측면 53

나. 예술시장/유통 측면 58

다. 예술향유/소비 측면 61

라. 시사점 63

3. 문화예술 교류 전략과 과제 65

가. 뒤따르는(follower) 교류에서 선도적인(퍼스트 무버, first mover) 교류로 66

나. 평면적이고 단편적인 문화예술 교류에서 입체적인 문화예술 교류로 69

다. 중복과 역할 조정의 실패가 아닌 효과적 거버넌스로 71

라. 불안정한 생태계에서 선순환적인 건강한 국제문화교류 생태계로 73

Ⅴ. 문화산업 분야 교류 전략과 과제 : 한류를 중심으로 76

1. 미래 소프트파워 전략 모색에서 한류의 중심성 77

2. 한류의 개념 정의와 역사적 발전단계 : 한류 25년의 역사와 현재 79

가. 한류란 무엇인가? 79

나. 한류의 발전 단계 구분 81

3. 한류의 문화적 영향력 확산 요인 및 메커니즘 85

가. 한류 확산의 핵심 요인 85

나. 한류 확산의 메커니즘 91

4. 한류의 파급효과 및 전망 94

가. 한류의 파급효과 94

나. 한류의 한계 및 부정적 영향 97

다. 한류 미래 전망 100

5. 한류의 미래 도약을 위한 전략 및 과제 106

가. 역대 정부의 한류 정책: 흐름 및 주요 성과 106

나. 새로운 전략 및 과제의 모색 109

Ⅵ. 지식 분야 교류 전략과 과제 113

1. 지식교류 현황과 정책분석 114

가. 지식 교류 현황 114

나. 지식교류 정책 분석 131

2. 지식교류 변화 전망 155

가. 세계적 시민권을 획득하는 문화 분야 연구 155

나. 세계 지역학의 육성 156

다. 혐한류에 대한 대응 157

3. 지식교류 전략과 과제 158

가. 한국학 발전을 위한 전략 158

나. 국제 지역학 발전을 위한 투자 159

다. 혐한류에 대한 체계적 대응의 필요 159

Ⅶ. 신흥 선도국의 문화교류 비전과 전략 160

1. 문화교류 비전 161

가. 비전 : 문화선도국가 161

나. 원칙 162

2. 문화교류 전략 163

가. 선도형 전략 : 추격형 교류에서 선도형 교류로 163

나. 쌍방향 협력 전략 : 발신형 교류에서 협력형 교류로 165

다. 연계 전략 : 문화산업에서 한국문화 및 문화연관 분야로 166

라. 융합 전략 : 오프라인에서 디지털 융합 플랫폼으로 168

마. 유연성 전략 : 분절적 거버넌스에서 유연한 거버넌스로 170

참고문헌 172

판권기 179

〈표 Ⅱ-1〉 국가이미지 구성 요인 14

〈표 Ⅲ-1〉 문화 분류 26

〈표 Ⅲ-2〉 문화교류의 범위 27

〈표 Ⅲ-3〉 교환으로서 문화교류 29

〈표 Ⅳ-1〉 국제문화예술교류 주요 정책전략/연구 내용 비교 41

〈표 Ⅳ-2〉 국제문화교류 수행체계 현황 42

〈표 Ⅳ-3〉 기후변화 관련 예술 프로젝트 예시 54

〈표 Ⅳ-4〉 기후변화 관련 예술 과학 융합 창작 사례 56

〈표 Ⅳ-5〉 VR 작품과 실물작품의 융합 작품 사례 58

〈표 Ⅳ-6〉 국제 미술시장 매출액 58

〈표 Ⅳ-7〉 국제 온라인 미술시장 매출액 59

〈표 Ⅴ-1〉 '한류'에 관한 기존 정의들의 주요 범주 및 내용 80

〈표 Ⅴ-2〉 한류의 발전 단계: 3단계 구분 82

〈표 Ⅴ-3〉 한류의 발전 단계: 4단계 구분(1) 83

〈표 Ⅴ-4〉 한류의 발전 단계: 4단계 구분(2) 84

〈표 Ⅴ-5〉 한류의 발전 단계: 5단계 구분 84

〈표 Ⅴ-6〉 한류의 성공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 분석 86

〈표 Ⅴ-7〉 한류의 배경이 된 신개발주의 문화산업 정책 프레임워크 88

〈표 Ⅴ-8〉 한류 문화접변의 세 단계 93

〈표 Ⅴ-9〉 한류의 파급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94

〈표 Ⅴ-10〉 한류 수출액의 변천(2000~2018) 96

〈표 Ⅴ-11〉 콘텐츠산업 지역별 수출액 현황(2018년 기준) 99

〈표 Ⅴ-12〉 역대 정부의 한류 관련 정책 106

〈표 Ⅵ-1〉 세계 주요 대학 한국학 담당 교수진의 다양한 전공 분야 분포 121

〈표 Ⅵ-2〉 주요 국가별 국외 고등교육기관 한국인 유학생 현황(2018-2020) 132

〈표 Ⅵ-3〉 한국국제교류재단(KF) 주요 활동 133

〈표 Ⅵ-4〉 해외 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사업 목록 135

〈표 Ⅵ-5〉 해외 한국학 씨앗형 사업 목록 142

〈표 Ⅵ-6〉 BK21 사업 개요와 연혁 146

〈표 Ⅵ-7〉 HK(Humanities Korea)인문한국 지원사업 개요와 연혁 147

〈표 Ⅵ-8〉 SSK(한국사회과학연구) 개요와 연혁 147

〈표 Ⅵ-9〉 주요 국가별 외국인 유학생 현황(2017-2020) 148

〈표 Ⅵ-10〉 한국 내 지역학 프로그램 보유 대학 예시 153

[그림 Ⅱ-1] Soft Power와 Hard Power의 구성 요소 11

[그림 Ⅱ-2] 문화가 국제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 18

[그림 Ⅱ-3] Best Countries 2021 20

[그림 Ⅱ-4] 2020 권역별 한국 연상 이미지 워드 클라우드 세계지도 21

[그림 Ⅱ-5] 2015 권역별 한국 연상 이미지 워드 클라우드 세계지도 21

[그림 Ⅲ-1] 문화의 3대 가치 32

[그림 Ⅳ-1] 국제문화교류 생태계 35

[그림 Ⅳ-2] 국제문화교류 환경 평가 38

[그림 Ⅳ-3] 주요 국가별 국외 문화교류 기관의 수: 2013년과 2018년의 비교 42

[그림 Ⅳ-4] 공공외교 업무 체계도 45

[그림 Ⅳ-5] 국제문화교류 정책지원 관련 방식ㆍ제도에 대한 의견 51

[그림 Ⅳ-6] NFT 미술시장 점유율 61

[그림 Ⅳ-7]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낙찰총액 및 낙찰률 62

[그림 Ⅳ-8] 문화교류전략의 단계 66

[그림 Ⅴ-1]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 78

[그림 Ⅴ-2] 한류 성공의 핵심 요인 87

[그림 Ⅴ-3] 국내 디지털 음악산업의 구조 89

[그림 Ⅴ-4] 한류 형성기의 정책-산업-콘텐츠 선순환 메커니즘 91

[그림 Ⅴ-5] 한류의 파급효과에 대한 유형 구분 95

[그림 Ⅴ-6] 코로나 사태로 인한 신화의 붕괴 102

[그림 Ⅴ-7] 동아시아에서 한류의 독특한 정책적 위상 및 경쟁력 104

[그림 Ⅵ-1] 전 세계 한국학 강좌 운영 해외대학 총 107개국 1408처 120

[그림 Ⅵ-2] 전 세계 한국학 지역별 현황 120

[그림 Ⅵ-3] 한국학 강의 제공 상위 30개국 121

[그림 Ⅵ-4] 연도별 국외 한국인 유학생 수(1991-2019) 132

[그림 Ⅵ-5] 연도별 한국 내 유학생 수 추이(2003-2020) 148

[그림 Ⅵ-6] THE 대학별 국제화지수 2020 149

[그림 Ⅵ-7] 서울대,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방안 150

[그림 Ⅵ-8] DBPIA 인문학 분야 검색 이용 순위 151

[그림 Ⅵ-9] DBPIA 역사학 분야 검색 이용 순위 152

[그림 Ⅶ-1] 신흥 선도국의 문화교류 비전과 전략 162

해시태그

#소프트파워 # 문화교류 # 지식교류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신흥 선도국의 문화교류 전략 : 문화전략팀 : NRC 2021 세계전략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