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1) 지구대기감시 보고서

목차

표제지

목차

지구대기감시요소 6

요약 9

제1장 머리말 24

제2장 한반도 지구대기감시업무 현황 29

2.1. 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 프로그램 30

2.2. 한반도 지구대기감시소 현황 33

2.3. 세계기상기구 육불화황(SF6) 세계표준센터 36

2.4. WMO IG³IS 프로젝트 37

제3장 기상특성 40

3.1. 기후변화감시소 기상 특성 41

3.1.1.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42

3.1.2. 고산 기후변화감시소 45

3.1.3. 울릉도 기후변화감시소 48

제4장 온실가스 52

4.1. 온실가스 감시 목적 54

4.2. 이산화탄소(CO₂) 55

4.2.1. 한반도 기후변화감시소: 지표관측 55

4.2.2. 남극세종과학기지 58

4.2.3. 산림생태계 이산화탄소(CO₂) 플럭스 63

4.3. 메탄(CH₄) 69

4.4. 아산화질소(N₂O) 72

4.5. 육불화황(SF6) 74

4.6. 염화불화탄소(CFCs) 76

4.7. 한반도 기후변화감시소: 원격관측 78

4.8. 2021년 온실가스 특성 82

제5장 반응가스 85

5.1. 반응가스 감시 목적 86

5.2. 지표오존(O₃) 88

5.3. 일산화탄소(CO) 90

5.4. 질소화합물(NOx) 92

5.5. 이산화황(SO₂) 94

5.6. 2021년 반응가스 특성 96

제6장 에어로졸 99

6.1. 에어로졸 감시 목적 100

6.2. 에어로졸 물리 특성 104

6.2.1. PM10 질량농도 104

6.2.2. 에어로졸 총수농도 106

6.2.3. 에어로졸 크기 분포 107

6.3. 에어로졸 광학 특성 109

6.3.1. 에어로졸 광산란계수 109

6.3.2. 에어로졸 광흡수계수 111

6.3.3. 에어로졸 광학깊이(AOD) 113

6.3.4. 에어로졸 연직분포 121

6.4. 에어로졸 화학 특성 123

6.4.1. 수용성 이온성분 123

6.4.2. PM10, PM2.5 원소 성분 특성 134

6.5. 2021년 에어로졸 특성 136

6.5.1. 고농도 에어로졸 136

6.5.2. 화학성분의 발생기원 분석 142

제7장 대기복사 144

7.1. 대기복사 감시 목적 145

7.2. 직달일사, 산란일사 146

7.3. 태양상향복사, 태양하향복사(전천일사) 148

7.4. 지구상향복사, 지구하향복사 150

7.5. 순복사 152

7.6. 2021년 대기복사 특성 153

제8장 성층권오존 157

8.1. 성층권오존 감시 목적 158

8.2. 오존전량 160

8.2.1. 안면도, 고산 160

8.2.2. 서울(연세대학교) 위탁관측소 164

8.3. 오존연직분포 169

8.3.1. 포항 169

8.3.2. 서울(숙명여자대학교) 위탁관측소 171

8.3.3. 서울(연세대학교) 위탁관측소 174

8.4. 남극오존홀 178

8.5. 2021년 성층권오존 특성 182

제9장 자외선 186

9.1. 자외선 감시 목적 187

9.2. 자외선A 188

9.3. 자외선B(홍반자외선) 189

9.4. 서울 자외선 복사량(연세대학교 위탁관측소) 190

9.5. 2021년 자외선 특성 192

제10장 총대기침적 196

10.1. 총대기침적 감시 목적 197

10.1.1. 총대기침적 감시의 목적 197

10.1.2. 채취 및 분석 방법 198

10.2. 강수채취율 199

10.3. pH(산성도) 202

10.4. 전기전도도 205

10.5. 강수이온성분 207

10.5.1. 강수성분의 일별 농도 207

10.5.2. 강수성분의 연도별 농도 211

10.5.3. 강수성분의 계절별 농도 213

10.6. 총대기침적량 218

10.7. 2021년 강수성분 특성 223

제11장 기타 226

11.1. 수증기 농도 연직분포 및 특성(숙명여자대학교 위탁관측소) 227

11.2. 라돈 농도 및 특성(제주대학교 위탁관측소) 231

11.2.1. 라돈 모니터링 233

11.2.2. 라돈 배경농도 모니터링 결과 234

11.2.3. 라돈 장거리 이동 수송경로 244

[부록 1] 관측자료품질보증체계 248

[부록 2] 지구대기감시 관측자료 276

[부록 3] 기후변화감시 기술노트 목록 317

[부록 4] 지구대기감시 매뉴얼 318

[부록 5] 기후변화감시 관측자료 활용 학술논문 319

[부록 6] 기후변화감시기술 특허 보유 현황 330

[부록 7] 지구대기감시 보고서 작성자 332

참고문헌 333

판권기 346

표 2.1.1. 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 세계자료센터 현황 32

표 2.2.1.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정보 34

표 2.2.2. 위탁관측소 운영 현황 35

표 3.1.1. 기후변화감시소별 기상요소의 2021년 연평균과 최근 10년 연평균 41

표 4.2.1. 2021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독도(DOK)의 CO₂ 배경농도 56

표 4.2.2. 2021년 남극세종과학기지 CO₂ 농도 자료 필터링 기준 59

표 4.2.3. 2021년 남극세종과학기지 CO₂ 농도 자료 필터링 추가 기준 59

표 4.3.1. 2021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의 CH₄ 배경농도 70

표 4.4.1. 2021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의 N₂O 배경농도 72

표 4.5.1. 2021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와 전지구의 SF6 배경농도 75

표 4.6.1. 2021년 안면도(AMY)와 전지구(Global)의 CFCs 배경농도 76

표 4.7.1. FTS 온실가스 흡수밴드의 중심 파장과 파장 폭, 그리고 간섭 가스 종 79

표 4.7.2. 2014~2021년 FTS 온실가스 전량농도의 연도별 및 총기간의 평균과 표준편차 값 80

표 4.7.3. 2021년 FTS 온실가스 전량농도 연평균 및 절대 증가값 80

표 5.6.1. 반응가스의 2020년과 최근 평균 비교 96

표 8.2.1. 안면도(AMY), 고산(JGS)지역의 오존전량 일일차 변화율 월 평균값 163

표 8.2.2. 서울 상공의 장기 오존전량 및 참조값(1984~2020년)과 2021년 값과의 비교, 장기기후 평균값(1984~2021년) 및 극값(최대와 최소) 165

표 8.2.3. 서울 지역의 오존전량 일 일차변화율에 대한 월평균, 연평균(1984~2021년) 167

표 8.3.1. 서울 상공의 오존 월별 최대 농도 172

표 8.3.2. 서울 오존 고도별 연평균 관측값 175

표 8.3.3. 서울 오존전량 월평균 관측값 176

표 10.3.1. 2021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강수의 부피가중평균 pH(산성도) 203

표 10.4.1. 2021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강수의 부피가중평균 전기전도도 205

표 10.5.1.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강수의 부피가중평균 이온농도 211

표 11.1.1. 서울 상공 중층대기 내 수증기 월별 최대 농도 228

그림 2.1.1. 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 프로그램의 관측소 현황 30

그림 2.1.2. WMO/GAW 프로그램 구성 요소 31

그림 2.2.1.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의 구성 34

그림 2.3.1. 제10차 아시아태평양 기후변화감시 워크숍 36

그림 2.4.1. 온실가스 기원추적 시스템 개발 사업 개념도 37

그림 2.4.2. WMO IG³IS (세계기상기구 통합 전지구 온실가스 과학정보시스템)프로젝트 승인 38

그림 3.1.1. 2008~2021년 안면도(AMY)에서 측정한 풍향 (a) 조성비율과 (b) 풍속 연변화 43

그림 3.1.2. 2021년 안면도(AMY)에서 측정한 (a) 풍향ㆍ풍속과 (b) 최근 13년(2008~2020년) 평균 풍향ㆍ풍속 43

그림 3.1.3. 2008~2021년 안면도(AMY)에서 측정한 기온의 연변화 44

그림 3.1.4. 안면도(AMY)의 2021년 월평균 기온과 최근 13년(2008~2020년) 월평균 기온 비교 44

그림 3.1.5. 2008~2021년 안면도(AMY)에서 측정한 상대습도의 연변화 44

그림 3.1.6. 2008~2021년 고산(JGS)에서 측정한 (a) 풍향 조성비율과 (b) 풍속 연변화 46

그림 3.1.7. 2021년 고산(JGS)에서 측정한 (a) 풍향ㆍ풍속과 (b) 최근 13년(2008~2020년) 평균 풍향ㆍ풍속 46

그림 3.1.8. 2008~2021년 고산(JGS)에서 측정한 기온의 연변화 47

그림 3.1.9. 고산(JGS)의 2021년 월평균 기온과 최근 13년(2008~2020년) 월평균 기온 비교 47

그림 3.1.10. 2008~2021년 고산(JGS)에서 측정한 상대습도의 연변화 47

그림 3.1.11. 2008~2021년 울릉도(ULD)에서 측정한 (a) 풍향 조성비율과 (b) 풍속 연변화 49

그림 3.1.12. 2021년 울릉도(ULD)에서 측정한 (a) 풍향ㆍ풍속과 (b) 최근 13년(2008~2020년) 평균 풍향ㆍ풍속 49

그림 3.1.13. 2008~2021년 울릉도(ULD)에서 측정한 기온의 연변화 50

그림 3.1.14. 울릉도(ULD)의 2021년 월평균 기온과 최근 13년(2008~2020년) 월평균 기온 비교 50

그림 3.1.15. 2008~2021년 울릉도(ULD)에서 측정한 상대습도의 연변화 50

그림 4.2.1. (a)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독도(DOK)와 전지구(Global)의 CO₂ 배경농도. (b) 매 10년간 증가값(ΔCO₂)의 평균 56

그림 4.2.2. 10년간(2012~2021년)의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독도(DOK)의 (a) 대기중 CO₂ 농도변화와 (b) 그 증가율. 증가율의 회색기간은 안면도... 57

그림 4.2.3. (a) 표 4.2.2의 기준을 적용하여 필터링한 2020년 세종기지 10분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파란색)와 표 4.2.2 및 4.2.3의 기준을 적용하여 필터링한 이산화탄소... 60

그림 4.2.4. 남극세종과학기지, Palmer 기지, 그리고 전지구 월평균 CO₂ 농도의 변동 62

그림 4.2.5. (a) 광릉 활엽수림 타워의 모습과 (b) 관측장비 모식도 64

그림 4.2.6. 광릉 활엽수림의 월별 CO₂ 플럭스의 평균 일 변동. 오차막대는 각 시간대의 가용한 자료들의 표준편차를 나타냄 65

그림 4.2.7. 광릉 활엽수림의 월별 CO₂ 농도의 평균 일 변동. 오차막대는 각 시간대의 가용한 자료들의 표준편차를 나타냄 66

그림 4.2.8. 광릉 활엽수림의 일적산 CO₂ 플럭스(야간 플럭스 자료 보정 및 결측 메우기 후 자료) 66

그림 4.2.9. 광릉 활엽수림의 일평균 CO₂ 농도 67

그림 4.2.10. 광릉 활엽수림 타워에서 촬영한 타워 주변 경관(사진 좌측상단에 촬영 날짜 표기) 67

그림 4.2.11. 광릉 활엽수림에서 관측된 2006~2021년 일적산 CO₂ 플럭스 68

그림 4.3.1. 안면도(AMY)의 고산(JGS), 울릉도(ULD) CH₄ 배경농도와 전지구(Global) 배경농도. 전지구는 미국해양대기청의 자료(http://gml.noaa.gov/hats/data... 71

그림 4.3.2. 최근 10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의 CH₄ (a) 배경농도와 (b) 증가율 71

그림 4.4.1. 안면도(AMY)의 고산(JGS), 울릉도(ULD) N₂O의 배경농도와 전지구(Global) 배경농도 73

그림 4.4.2. 최근 10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의 N₂O의 (a) 배경농도와 (b) 증가율 73

그림 4.5.1.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전지구(Global)의 SF6 배경농도 75

그림 4.6.1. 안면도(AMY)의 (a) CFC-11, (b) CFC-12, (c) CFC-113의 배경농도와 전지구(Global) 배경농도 77

그림 4.7.1. 안면도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 (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의 관측 파수영역 및 주요 온실가스 (CO₂, CH₄, N₂O, CO, HF)흡수 밴드임... 78

그림 4.7.2. 연평균 CO₂ 지상관측 배경농도와 FTS 전량농도 차의 시계열 81

그림 4.8.1. 안면도(AMY)에서 측정한 대기 중 CH₄와 δ¹³CH₄의 월평균 농도 82

그림 5.1.1. 반응가스를 포함한 단수명기후강제요인(Short-lived Climate Forces)과 기후시스템과의 상호작용 87

그림 5.2.1. 2021년 (a) 안면도(AMY)와 (b) 고산(JGS)의 지표 O₃ 월변화. 2021년 월별분포(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89

그림 5.2.2. 안면도(AMY, 1998~2021년)와 고산(JGS, 2012~2021년)에서 관측한 지표 O₃의 연변화 경향(선은 월평균, 음영은 월 최댓값과 월 최솟값의 차이를 나타냄) 89

그림 5.3.1. 2021년 (a) 안면도(AMY), (b) 고산(JGS), (c) 울릉도(ULD)의 CO 월변화. 2021년 월별 분포(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91

그림 5.3.2. 안면도(AMY, 1998~2021년), 고산(JGS, 2012~2021년), 울릉도(ULD, 2015~2021년)에서 관측한 CO의 연변화 경향(선은 월평균, 음영은 월 최댓값과... 91

그림 5.4.1. 2021년 (a) 안면도(AMY)와 (b) 고산(JGS)의 NOx 월변화. 2021년 월별 분포(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93

그림 5.4.2. 안면도(AMY, 1998~2021년), 고산(JGS, 2012~2021년), 울릉도(ULD, 2015~2021년)에서 관측한 CO의 연변화 경향(선은 월평균, 음영은 월 최댓값과... 93

그림 5.5.1. 2021년 (a) 안면도(AMY)와 (b) 고산(JGS)의 SO₂ 월변화. 2021년 월별 분포(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95

그림 5.5.2. 안면도(AMY, 1998~2021년)와 고산(JGS, 2012~2021년)에서 관측한 SO₂의 연변화 경향(선은 월평균, 음영은 월 최댓값과 월 최솟값의 차이를 나타냄) 95

그림 5.6.1. 안면도 (a) O₃, (b) CO, (c) NOx, (d) SO₂의 2021년 월별 고농도 확률분포 97

그림 6.1.1. 1750~2019년까지 대기조성물질의 복사강제력 102

그림 6.1.2. (a) 에어로졸 광산란계수, (b) 에어로졸 광흡수계수의 장기 변동 경향. 지역에 따라 유의미한 변동 경향이 없거나(검정),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초록)... 103

그림 6.2.1. (a) 안면도(AMY), (b) 고산(JGS), (c) 울릉도(ULD)의 PM10 질량농도 월변화. 2021년 월별 분포(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105

그림 6.2.2. 안면도(AMY)와 고산(JGS), 울릉도(ULD) PM10 질량농도의 연변화 105

그림 6.2.3. (a) 안면도(AMY), (b) 고산(JGS)의 총수농도 월변화. 2021년 월별분포(상자의 세로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106

그림 6.2.4. 안면도(AMY)와 고산(JGS) 총수농도의 연변화 107

그림 6.2.5. (a) 안면도(AMY), (b) 고산(JGS), (c) 울릉도(ULD)의 2021년 크기별 부피 농도 108

그림 6.2.6. 2021년 안면도(AMY) 미세입자 크기별 수농도 분포 108

그림 6.3.1. 2021년 안면도(AMY)의 550 nm 광산란계수의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빨간색... 109

그림 6.3.2. 안면도(AMY) 에어로졸 광산란계수(550 nm)의 연변화 110

그림 6.3.3. 안면도(AMY) 에어로졸 산란옹스트롬 지수(450~700 nm)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110

그림 6.3.4. 안면도(AMY) 에어로졸 산란옹스트롬 지수(450~700 nm)의 연변화 111

그림 6.3.5. 안면도(AMY) 에어로졸 광흡수계수(550 nm, Mm-1)의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112

그림 6.3.6. 안면도(AMY) 에어로졸 광흡수계수(550 nm, Mm-1)의 연변화 112

그림 6.3.7. 2021년 안면도(AMY) AOD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빨간색 삼각형은 평균)와... 114

그림 6.3.8. 2021년 안면도(AMY)의 에어로졸 옹스트롬 지수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빨간색... 114

그림 6.3.9. 2021년 고산(JGS)의 AOD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빨간색 삼각형은 평균)와... 115

그림 6.3.10. 2021년 고산(JGS)의 에어로졸 옹스트롬 지수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삼각형은... 115

그림 6.3.11. 2021년 울릉도(ULD)의 AOD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빨간색 삼각형은 평균)... 116

그림 6.3.12. 2021년 울릉도(ULD)의 에어로졸 옹스트롬 지수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은 5%, 95% 값, 상자 양끝은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116

그림 6.3.13.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AOD의 연변화 117

그림 6.3.14.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AOD의 연변화 117

그림 6.3.15. 2007~2021년 광주의 AOD(500 nm) 118

그림 6.3.16. 2007~2021년 광주의 연평균 AOD(500 nm)와 연평균 PM10, PM2.5 질량농도 119

그림 6.3.17. 2007~2021년 광주의 AOD(500 nm) 월변화(상자 양끝은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삼각형은 평균) 120

그림 6.3.18. 2007~2021년 광주의 옹스트롬 지수(440~870 nm) 월변화(상자 양끝은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삼각형은 평균) 120

그림 6.3.19. 2021년 안면도(AMY) 에어로졸 라이다 후방산란강도((a) 상반기, (b) 하반기) 121

그림 6.3.20. 2021년 안면도(AMY) 에어로졸 라이다 편광소멸도((a) 상반기, (b) 하반기) 122

그림 6.4.1. 안면도(AMY) 2021년 PM10 수용성 이온성분의 (a) 농도, (b) 조성비 124

그림 6.4.2. 안면도(AMY) 2021년 PM2.5 수용성 이온성분의 (a) 농도, (b) 조성비 125

그림 6.4.3. 2008~2021년도 안면도(AMY) PM10 수용성 이온성분의 연평균 (a) 농도, (b) 조성비 128

그림 6.4.4. 2008~2021년도 안면도(AMY) PM2.5 수용성 이온성분의 연평균 (a) 농도, (b) 조성비 129

그림 6.4.5. 안면도(AMY) 최근 10년(2011~2020년)과 2021년 PM10 수용성 이온성분의 계절별 평균 (a) 농도, (b) 조성비 132

그림 6.4.6. 안면도(AMY) 최근 10년(2011~2020년)과 2021년 PM2.5 수용성 이온성분의 계절별 평균 (a) 농도, (b) 조성비 133

그림 6.4.7/그림 6.4.8. 2018~2021년 안면도(AMY)에서 측정한 PM10, PM2.5 원소 성분 (a) 농도, (b) 조성비 134

그림 6.4.8/그림 6.4.9. 안면도(AMY) 2021년 PM10, PM2.5 원소 성분의 계절별 평균 (a) 농도, (b) 조성비 135

그림 6.5.1. 3월 28일~4월 1일 사이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에서 관측된 (a) 크기별 에어로졸 부피농도, (b) PM10 질량농도, 안면도에서 관측된... 138

그림 6.5.2. 5월 6일~10일 사이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에서 관측된 (a) 크기별 에어로졸 부피농도, (b) PM10 질량농도, 안면도에서 관측된 (d)... 139

그림 6.5.3. 안면도(AMY) 고농도 에어로졸(황사) 사례의 PM10 이온성분의 (a) 농도와 (b) 조성비 140

그림 6.5.4. 안면도(AMY) 농도 에어로졸(황사) 사례의 PM10 원소성분의 (a) 농도와 (b) 조성비 141

그림 6.5.5. 안면도 PM10 에어로졸의 (a) 최근 10년(2011~2020년), (b) 2021년 발생원 분석 142

그림 7.2.1. 2021년 안면도(AMY)의 (a) 직달일사, (b) 산란일사와 고산(JGS)의 (c) 직달일사, (d) 산란일사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147

그림 7.3.1. 2021년 안면도(AMY)의 (a) 태양상향복사, (b) 태양하향복사와 고산(JGS)의 (c) 태양하향복사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149

그림 7.4.1. 2021년 안면도(AMY)의 (a) 지구상향복사, (b) 지구하향복사의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151

그림 7.5.1. 2021년 안면도(AMY) 순복사의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빨간색 삼각형은 평균)... 152

그림 7.6.1. 2021년 (a) 서산, (b) 고산(JGS)의 월 강수량과 월별 일평균 일조시간. 회색 막대와 검은색 실선은 각각 강수량과 일조시간의 최근 10년 평균값 153

그림 7.6.2. 대기복사 관측기간 동안의 (a, b) 안면도(AMY)와 (c) 고산(JGS) 복사량 변화(SDT: 직달일사, SDF: 산란일사, SUP: 태양상향복사, SDN: 태양하향복사... 155

그림 8.2.1. 2021년 (a) 안면도(AMY), (b) 고산(JGS) 오존전량의 월별분포(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161

그림 8.2.2. 안면도(AMY)의 (a) 오존전량, (b)일 일차변화율과 고산(JGS)의 (c) 오존전량, (d) 일일차변화율 시계열 162

그림 8.2.3. 서울 상공 오존전량의 (a) 2021년 중 월별 오존전량 특성 변화 (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25%, 75% 값, 상자 가운데 실선은 중간값... 165

그림 8.2.4. (a) 1984년부터 2021년까지 일 오존전량의 장기 시계열 및 (b )1985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값의 경년 변화 166

그림 8.2.5. 서울 지역 오존 전량의 일 일차변화율의 (a) 시계열 및 (b) 증가 경향의 일 일차변화율에 대한 관측 횟수 167

그림 8.3.1. 2021년 포항지역의 오존농도 연직분포 170

그림 8.3.2. (좌측)마이크로파 수신기로 관측한 여러 관측각도에 따른 오존 스펙트럼. (우측)대류권 보정 후의 오존전파스펙트럼(검정) 및 대기전파모델로 계산한 오존전... 171

그림 8.3.3. 2021년 서울 상공의 오존 월별 평균 연직분포. 월 평균 최대 농도를 엑스(x)로 표시함 172

그림 8.3.4. 2013~2021년 서울 상공 성층권 오존의 연직분포 변동 172

그림 8.3.5. 마이크로파 수신기 및 위성으로 관측된 (a) 20~24 km 고도 및 (b) 25~29 km 내 오존 평균 농도 변동 비교(파랑-마이크로파 수신기 / 연두-AURA 위성의... 173

그림 8.3.6. 2021년 서울 오존 연직분포의 계절 평균 177

그림 8.4.1. 2021년 장보고기지에서 관측된 연직 (a) 오존농도와 (b) 기온의 연변동 179

그림 8.4.2. 2021년 7~12월 남극 성층권 오존홀의 면적, 최저 오존 전량 및 성층권 최저 기온 변동 180

그림 8.4.3. 장보고기지에서 오존존데로 관측된 2021년 오존 전량의 연변동 180

그림 8.4.4. 장보고기지에서의 2015~2021년 8~11월의 오존 전량 변화(검은색 점선은 오존 전량이 220 DU를 가리킴) 181

그림 8.5.1. 포항(오존분광광도계와 오존존데), 안면도, 고산 지점과 위성(2004년 이전: TOMS/EP-TOMS, 2004~2011년: OMI/Aura, 2012년 이후: OMPS/Suomi-... 182

그림 8.5.2. 최근 10년 (2011~2020년)과 2021년 포항지역 연직 오존농도의 (a) 연평균과 (b) 월별 편차 183

그림 8.5.3. 포항 지점에서 관측된 연직오존 시계열 184

그림 9.2.1. 2021년 (a) 안면도(AMY), (b) 고산(JGS), (c) 울릉도(ULD), (d) 포항(POH) 자외선A 일 누적 복사량의 월 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188

그림 9.3.1. 2021년 (a) 안면도(AMY), (b) 고산(JGS), (c) 울릉도(ULD), (d) 포항(POH) 자외선B(홍반자외선) 복사량의 일 최댓값 월변화(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189

그림 9.4.1. 서울 상공 일 적산된 홍반 자외선의 시계열(2004.10~2021.12) 191

그림 9.4.2. 서울 상공 일 적산된 홍반 자외선의 2021년 중 월별 복사량 변화(회색 박스 플롯 2021년의 홍반 자외선(상자의 세로 실선 양끝 5%, 95% 값, 상자 양끝... 191

그림 9.5.1.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포항(POH) 네 지점의 최근 평균(2011~2020년) 대비 2021년 (a) 일조시간 및 (b) 강수량의 월별 변화량 193

그림 9.5.2. 지점별 (a) 자외선A와 (b) 자외선B(홍반자외선) 월별/연별 관측값의 변화(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포항(POH)) 194

그림 10.2.1. 2011~2021년까지 연도별 총 강수량(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200

그림 10.2.2. 감시소별 최근 10년(2011~2020년) 평균 강수량과 2021년 총 강수량 비교(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201

그림 10.2.3. 계절별 최근 10년(2011~2020년) 강수량과 당해 연도 단순 평균강수량(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201

그림 10.3.1. (a) 연도별, (b) 계절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의 부피가중평균의 pH(산성도)변화 203

그림 10.3.2. 감시소별 강수의 pH(산성도) 발생 빈도 (a) 안면도(AMY), (b) 고산(JGS), (c) 울릉도(ULD) 204

그림 10.4.1. 감시소별 전기전도도의 (a) 부피가중평균변화, (b) 연도별 부피가중평균 계절별 부피가중평균(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 206

그림 10.5.1. 2021년 안면도(AMY)의 강수성분 (a) 농도, (b) 조성비 208

그림 10.5.2. 2021년 고산(JGS)의 강수성분 (a) 농도, (b) 조성비 209

그림 10.5.3. 2021년 울릉도(ULD)의 강수성분 (a) 농도, (b) 조성비 210

그림 10.5.4. 2011~2021년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의 강수성분 연도별 부피가중평균(a) 농도, (b) 조성비 212

그림 10.5.5. 최근 10년(2011~2020년)과 2021년 안면도(AMY) 강수성분 계절별 부피가중평균 (a) 농도, (b) 조성비 215

그림 10.5.6. 최근 10년(2011~2020년)과 2021년 고산(JGS) 강수성분 계절별 부피가중평균 (a) 농도, (b) 조성비 216

그림 10.5.7. 최근 10년(2011~2020년)과 2021년 울릉도(ULD) 강수성분 계절별 부피가중평균 (a) 농도, (b) 조성비 217

그림 10.6.1. 안면도(AMY)의 연도별 건성 및 습성 침적량의 (a) 농도와 (b) 비율 219

그림 10.6.2. 2003~2021년 안면도(AMY)의 월별 건성 및 습성 침적량의 (a) 농도와 (b) 비율 220

그림 10.6.3/표 10.6.3. 계절별 NO₃- 의 건성ㆍ습성 (a) 침적량과 (b) 침적량비율 221

그림 10.6.4. 계절별 SO42-의 건성ㆍ습성 (a) 침적량과 (b) 침적량비율 221

그림 10.6.5. 계절별 NH4+의 건성ㆍ습성 (a) 침적량과 (b) 침적량비율 222

그림 10.6.6. 계절별 Ca2+의 건성ㆍ습성 (a) 침적량과 (b) 침적량비율 222

그림 10.7.1. 안면도(AMY), 고산(JGS), 울릉도(ULD)의 (a) 최근10년(2011~2020)기간 (b) 2021년의 강수성분의 발생원 분석 결과 224

그림 11.1.1. 2006년 10월 이후 22 GHz 마이크로파 수신기로 관측한 서울 상공 대류권 광학깊이 변동 228

그림 11.1.2. 2021년 월별 평균 수증기 연직분포 228

그림 11.1.3. 2006년 10월 이후 서울 상공의 중층대기 수증기 연직분포 변동 229

그림 11.1.4. 중층대기 16~75 km의 고도별 수증기 농도 변동 230

그림 11.2.1. (a) 제주 고산(JGS) (b) 라돈검출기(ANSTO, Model D1500) 234

그림 11.2.2. 2021년 고산(JGS) 라돈 농도 시계열 변화 236

그림 11.2.3. 2001~2021년 고산(JGS) 라돈 농도 시계열 변화 236

그림 11.2.4. 2021년 고산(JGS) 계절별 라돈 농도 비교 238

그림 11.2.5. 고산(JGS) 계절별 라돈농도 비교(2001~2021년) 238

그림 11.2.6. 2021년 고산(JGS) 월별 라돈 농도 비교 240

그림 11.2.7. 고산(JGS) 월별 라돈농도 비교(2001~2021년) 240

그림 11.2.8. 2021년 고산(JGS)의 시간별 라돈 농도 비교 242

그림 11.2.9. 고산(JGS)의 시간별 라돈 농도 비교(2001~2021년) 242

그림 11.2.10. 2021년 고산(JGS)의 계절별 시간 라돈 농도 비교 243

그림 11.2.11. 고산(JGS)의 계절별 시간 라돈 농도 비교(2001~2021년) 243

그림 11.2.12. 2021년 기류 유입경로 및 라돈 농도 245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온실가스 # 기후변화 # 대기복사 # 기상관측 # 지구대기감시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