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 에너지 가격의 초강세 진정에도 불구하고 미국 등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의 예상보다 느리게 둔화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인플레이션 추이를 살펴보고, 인플레이션 둔화가 느리게 진행되는 원인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파악해 보고자 한다.
[Executive Summary]
○ 최근 국제 에너지 가격의 초강세 진정에도 불구하고 미국 등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의 예상보다 더디게 둔화되고 있음
○ 이에 이 보고서는 주요 국가들의 요인별 인플레이션 추이를 살펴보고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금융시장의 기대보다 더딘 이유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초기에는 에너지, 식료품 가격 등 대외 요인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였으나, 최근에는 서비스 등 내수 부문이 물가 상승을 견인
○ 주요국 인플레이션과 요인별 영향 시차를 분석한 결과 ’21~’22년 빠른 경기 회복세가 올해 인플레이션 향방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
○ 경기 변동과 물가 변동의 시차 등을 고려할 때 ’23년 中 글로벌 물가 수준은 장기 평균(또는 정책 목표) 대비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출처 : 포스코경영연구원)
[Executive Summary]
○ 최근 국제 에너지 가격의 초강세 진정에도 불구하고 미국 등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의 예상보다 더디게 둔화되고 있음
○ 이에 이 보고서는 주요 국가들의 요인별 인플레이션 추이를 살펴보고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금융시장의 기대보다 더딘 이유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초기에는 에너지, 식료품 가격 등 대외 요인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였으나, 최근에는 서비스 등 내수 부문이 물가 상승을 견인
○ 주요국 인플레이션과 요인별 영향 시차를 분석한 결과 ’21~’22년 빠른 경기 회복세가 올해 인플레이션 향방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
○ 경기 변동과 물가 변동의 시차 등을 고려할 때 ’23년 中 글로벌 물가 수준은 장기 평균(또는 정책 목표) 대비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출처 : 포스코경영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Summary 1
1. (현황) 최근 에너지 가격 초강세 진정 불구,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의 예상보다 느리게 둔화 2
2. (요인) 인플레이션 초기 대외 요인이 물가 상승을 주도. 최근에는 서비스 등 내수 부문이 물가 상승을 견인 3
3. (분석) 물가와 요인별 관계를 분석한 결과 '21~'22년의 빠른 경기 회복세가 향후 인플레 향방을 결정할 가능성 5
4. (향방) 경기 변동과 물가 변동의 시차 등 고려 時 '23년 中 물가 수준은 장기 평균 대비 높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 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