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경제 성장률*은 전세계적인 긴축적 통화정책 등의 영향으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둔화됐고, 2025년에는 소폭 회복할 것으로 전망됨. 물가 안정에 따라 통화정책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지정학적 긴장, 무역규제 강화, 중국의 경기둔화 등 경기 하방 요인도 아직 지배적인 상황임
* 세계경제 성장률(%) : (’21)6.2 (‘22)3.0 (’23)2.6 (‘24)2.4 (’25)2.7
□ 세계은행의 지역별 경제 전망 주요 내용
➢ 선진국: 미국의 경기둔화로 인해 전체 성장률 하락 (’23년 1.5%→’24년 1.2%)
(미국) 초과저축 축소, 고금리, 고용둔화 등으로 소비·투자 약화되며 성장률 하락
(유로존) 긴축적 통화정책 지속으로 약한 성장세
➢ 신흥국·개발도상국: 중국의 경기둔화로 인해 전체 성장률 하락 (’23년 4.0%→’24년 3.9%)
(중국) 불확실성 증대, 심리 악화로 인한 소비 감소, 자산 부문 취약성 지속 등으로 성장률 하락
(중국 외 동아태 지역) 견조한 민간소비로 지역 성장률은 개선될 전망
(유럽·중앙아시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외 지역 성장률은 상승
(중남미) 물가 안정에 따른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 국제관광 회복세 등으로 성장률 상승
(중동·북아프리카) 중동분쟁이 더 이상 격화되지 않는다면, 석유 생산 증대로 성장률 상승
(남아시아) 견고한 국내 수요와 인도의 높은 성장세 등으로 가장 높은 지역성장률 유지
(사하라 이남) 금융여건 개선 등으로 성장률 상승
(출처: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목차
Acknowledgments xiii
Foreword xv
Executive Summary xvii
Abbreviations xix
Chapter 1 Global Outlook 1
Box 1.1 Regional perspectives: Outlook and risks 16
Box 1.2 Recent developments and outlook for low-income countries 24
Chapter 2 Regional Outlooks 51
East Asia and Pacific 53
Europe and Central Asia 59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67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73
South Asia 81
Sub-Saharan Africa 87
Chapter 3 The Magic of Investment Accelerations 97
Box 3.1 Sparking investment accelerations: Lessons from country case studies 119
Chapter 4 Fiscal Policy in Commodity Exporters: An Enduring Challenge 149
Box 4.1 How does procyclical fiscal policy affect output growth? 159
Box 4.2 Do fiscal rules and sovereign wealth funds make a difference?
Lessons from country case studies 171
Statistical Appendix 193
Selected Topics 200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Global Economic Prospects, January 2024
(세계 경제 전망, 2024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