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국제질서의 변화와 경제안보 전략

(1) 연구배경 및 목적

미·중 기술패권경쟁, 코로나19 사태,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첨단기술 선점을 통해 공급망에서의 위상을 제고하고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제안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나라의 공급망 취약성을 점검하는 한편, 주요국의 경제안보 정책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2) 주요 내용

보고서에서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공급망 취약성을 2020년 기준으로 HS 6단위 무역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한편,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시계열 분석을 통해 2012~2020년까지 공급망 취약성의 연속성과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HS 품목 기준을 산업분류 기준과 연결하여 소부장 산업 등 전략적 중요성이 높은 산업의 공급망 취약성 역시 검토하였다.

한편, 주요 강대국은 경제안보 관련 입법 및 정책을 통해 반도체 등 전략 산업을 육성하고 자국 중심으로 핵심 공급망을 재편하는 한편, 경쟁국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고 있다. 보고서에서는 미국, 중국, 독일, 일본의 주요 경제안보 입법과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정책과 공급망 재편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경제안보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3) 정책 대안 및 시사점

무역 품목 중 상당수가 공급망 취약 품목으로 분류되었으며, 중국에 대한 공급망 취약성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다만, 일부 품목은 구조적으로 취약성에 노출된 반면, 일부 품목은 일시적으로 취약성에 노출되었고, 수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이를 판단할 수 있는 단서가 되므로 이를 정책 우선순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한편, 경제안보와 관련하여 정치권에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입법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산업정책을 뒷받침해야 한다. 특히, 반도체 산업은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므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육성이 필요하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분야와 관련있는 핵심 광물자원의 확보와 공급망 안정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출처 :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배경 20

제2장 우리나라의 공급망 안정성 25

제1절 분석의 개요 26

제2절 분석 결과 29

1. 품목별 공급망 취약성 29

2. 산업별 공급망 취약성 45

제3장 주요국 경제안보 정책과 시사점 58

제1절 미국의 경제안보 정책 59

1. 경쟁국에 대한 경제제재 59

2. 산업정책 63

제2절 중국의 경제안보 정책 70

1. 경제안보에 대한 중국의 인식 70

2. 중국 경제안보의 전략적 방향과 핵심과제 71

3. 소결: 대안적 공급망 강화와 자주 혁신 전략의 현재와 미래 75

제3절 독일의 경제안보 정책 76

1. 독일의 경제안보 개념 76

2. 에너지 안보와 안전한 공급망 77

3. 경제안보 관련 의회 논의 78

4. 소결: 한국적 함의 86

제4절 일본의 경제안보 정책 87

1. 경제안보 정책의 수립 87

2. 경제안보추진법안의 주요 내용 93

제5절 한국의 경제안보 정책에 대한 시사점 95

1. 산업정책의 방향성과 시사점 95

2. 공급망 재편 104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12

참고문헌 117

1. 문헌자료 118

2. 웹사이트 122

Abstract 125

[부록] 127

판권기 134

[표 2-1] 한국의 성질별 공급망 취약 품목의 수 30

[표 2-2] 한국의 성질별 공급망 취약 품목의 수(수출국 세계시장 점유율 고려) 31

[표 2-3]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 36

[표 2-4]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중간재) 37

[표 2-5]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자본재) 37

[표 2-6]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소비재) 37

[표 2-7]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중국) 38

[표 2-8]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미국) 39

[표 2-9]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일본) 39

[표 2-10]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품목과 수출국 모두 고려) 40

[표 2-11]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중간재, 품목과 수출국 모두 고려) 41

[표 2-12]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자본재, 품목과 수출국 모두 고려) 41

[표 2-13]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소비재, 품목과 수출국 모두 고려) 42

[표 2-14] 공급망 취약 품목의 취약성 개선 원인 43

[표 2-15] 공급망 취약 품목 수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기준 연도) 44

[표 2-16] 공급망 취약 품목의 취약성 개선 원인(기준 연도: 2012년) 44

[표 2-17]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공급망 취약 품목의 분포 46

[표 2-18] 신성장산업 HS 코드 48

[표 2-19] 신성장산업 공급망 취약 품목 49

[표 2-20] 신성장산업 무역수지(단위: 10억 달러) 50

[표 2-21] 소재ㆍ부품 산업 품목 수 51

[표 2-22] 장비 산업 품목 수 52

[표 2-23] 소재ㆍ부품 산업 공급망 취약 품목 53

[표 2-24] 소재ㆍ부품 산업 공급망 취약 품목 주요 수출국 55

[표 2-25] 장비 산업 공급망 취약 품목 56

[표 2-26] 장비 산업 공급망 취약 품목 주요 수출국 57

[표 3-1] 미 상무부 대(對)중 수출통제 대상 반도체 제품사양 62

[표 3-2] 미 상무부 대(對)중 수출통제 대상 반도체 생산장비 용도 62

[표 3-3] 반도체 지원법 예산 64

[표 3-4] 「기반시설 투자 및 일자리법」 주요 내용 67

[표 3-5] 독일 재생에너지법 여덟 가지 목표 81

[표 3-6] 2022년 독일 정부 「부활절패키지(Osterpaket)」 주요 개정안 요약 81

[표 3-7] 자민당 신국제질서창조전략본부의 회의 개최 내용 90

[표 3-8] 미국 산업정책의 효과성 평가(1970~2020년) 97

[표 3-9] 국방고등연구계획국 운영 관련 시사점 100

[표 3-10]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안 102

[표 3-11] 양향자 의원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안 102

[표 3-12] 김한정 의원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안 103

[표 3-13] 주요 미래 기술에 사용되는 광물과 우리나라의 수입 현황 109

[그림 2-1] 수출국별 공급망 취약 품목의 변화 32

[그림 2-2] 성질별 공급망 취약 품목의 변화 33

[그림 2-3] 수출국별 공급망 취약 품목의 변화(중간재) 34

[그림 2-4] 수출국별 공급망 취약 품목의 변화(자본재) 34

[그림 2-5] 수출국별 공급망 취약 품목의 변화(소비재) 35

[표 A-1]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중간재, 중국) 128

[표 A-2]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중간재, 미국) 128

[표 A-3]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중간재, 일본) 129

[표 A-4]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자본재, 중국) 129

[표 A-5]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자본재, 미국) 129

[표 A-6]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자본재, 일본) 130

[표 A-7]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소비재, 중국) 130

[표 A-8]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소비재, 미국) 130

[표 A-9] 공급망 취약 품목의 연속성(소비재, 일본) 131

[표 A-10] (소부장) 소재ㆍ부품 산업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131

[표 A-11] (소부장) 장비 산업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133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국제정세 #세계정세 #패권경쟁 #경제안보 #공급망재편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