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정밀의료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과제 : 주요국 정책 사례와의 비교 고찰 및 시사점

치료 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정밀의료’가 구현되려면 각 의료기관별로 산발적으로 수집·축적되어 폐쇄적·독점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유전체·임상 데이터베이스 등이 연계·통합되고 개방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정밀의료 중장기 계획과 임상 현장에서의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및 의약품 처방 관련 제한점을 살펴보고, 미국·핀란드의 정밀의료 정책 및 입법 사례를 참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출처: 국회입법조사처)

해시태그

#정밀의료 # 치료의학 # 보건의료데이터 # 의약품처방 # 이슈와논점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정밀의료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과제 : 주요국 정책 사례와의 비교 고찰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