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디지털플랫폼정부 표준화 이슈보고서

목차

표제지

목차

01. 디지털플랫폼정부 개요 4

1.1.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출현 배경 및 정의 5

1.2.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추진 내용 9

1.3.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전략별 추진과제 14

1.4. 디지털플랫폼정부의 기대효과 21

02.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사례 24

2.1. 국내 현황 25

2.1.1. 행정정보 공동이용 26

2.1.2. 데이터기반행정 30

2.1.3. 민간분야 사례 - 민ㆍ관 협력 기반 데이터플랫폼 발전전략 32

2.2. 국외 현황 36

2.2.1. 에스토니아 e-Estonia 사례 36

2.2.2. 영국 GOV.UK, 캐나다 OneGC 사례 42

2.2.3. 싱가포르 GovTech 사례 49

03.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술 및 표준화 이슈현황 56

3.1.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술 및 표준화 개요 57

3.2. 공공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62

3.3. 양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통합 데이터 관리체계 73

3.4.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위한 초거대 AI 모델 활용 90

3.5. 사용자 편의성(UI/UX) 99

3.6.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혁신 인프라 - 클라우드 네이티브 120

3.7. 애자일(Agile) 환경에서의 지능정보자원 관리 150

3.8. 신뢰하고 믿을 수 있는 디지털플랫폼정부 - 제로트러스트 162

04. 시사점 178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술 및 표준화 시사점 179

참고문헌 184

약어 189

판권기 192

표 1-1. 디지털플랫폼정부 관련 정의 7

표 1-2. 전자정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방식의 차이점 8

표 1-3. 주요 국가의 디지털정부 추진 내용 9

표 1-4.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본원칙 12

표 1-5. (전략1) '오직 국민을 위한 하나의 정부' 추진과제 14

표 1-6. (전략2) '똑똑한 나의 원팀 정부' 추진과제 16

표 1-7. (전략3) '민관이 함께하는 성장 플랫폼' 추진과제 18

표 1-8. (전략4) '신뢰하고 안심할 수 있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과제 20

표 2-1. 행정정보 공동이용 이용 기관 현황 28

표 3-1/표 3-2. 민ㆍ관 협력 기반 데이터플랫폼 발전전략 표준화 현황 58

표 3-2/표 3-3.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과제별 관련 기술 및 표준화 대상 59

표 3-3/표 3-4.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술 표준 주요 이슈 선정 61

표 3-4/표 3-5. 분야별 마이데이터 추진 동향 74

표 3-5/표 3-6. 데이터 관리체계 구성요소 75

표 3-6/표 3-7. 데이터 관리 총괄원칙 75

표 3-7/표 3-8. 마이데이터 원칙 76

표 3-8/표 3-9. 데이터 관리 업무기능 76

표 3-9/표 3-10. 데이터 관리 절차 77

표 3-10/표 3-11. 데이터 품질관리 진단 요소 79

표 3-11/표 3-12. 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 시 고려 사항 80

표 3-12/표 3-13. 업권별 주요 마이데이터 서비스(예시) 82

표 3-13/표 3-14. 블록체인 핵심기술 및 금융권 적용사례 83

표 3-14/표 3-15. 암호기술 활용 시 고려사항 84

표 3-15/표 3-16. 데이터 분석 4가지 전략적 기술 트렌드 85

표 3-16/표 3-17. 데이터 산업 기술 동향 85

표 3-17/표 3-18. 빅데이터 표준화 기구 동향 87

표 3-18/표 3-19. 국외 디지털 접근성ㆍ사용자 편의성 개선 사례 100

표 3-19/표 3-20. 국내 디지털 접근성ㆍ사용자 편의성 개선 사례 100

표 3-20/표 3-21. 해외 주요국의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방향 101

표 3-21/표 3-22. 대표적 디자인시스템 사례 101

표 3-22/표 3-23. HCI 개념 정의 103

표 3-23/표 3-24. HCI 연구범위 및 개념 103

표 3-24/표 3-25. UI 디자인 구성 요소 106

표 3-25/표 3-26. 정보통신접근성(웹과 모바일) 가이드라인 및 지침 107

표 3-26/표 3-27. 웹 사이트 및 모바일 앱의 설계지침(1/2) : 웹 사이트 부문 108

표 3-27/표 3-28. 웹 사이트 및 모바일 앱의 설계지침(2/2) : 모바일 앱 부문 109

표 3-28/표 3-29. 정보통신접근성(웹과 모바일) 가이드라인 및 지침 110

표 3-29/표 3-30. 전자정부 웹사이트 UI/UX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 111

표 3-30/표 3-31. 전자정부 웹사이트 품질관리 관리 내용 113

표 3-31/표 3-32. 접근성 분야 국내 표준 리스트 113

표 3-32/표 3-33. WCAG 2.1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 115

표 3-33/표 3-34. JTC 1/ SC 35의 PC 및 모바일 기기의 디자인 규격 정의 국제표준 시리즈 현황 117

표 3-34/표 3-35. JTC 1/ SC 35의 NUI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국제표준 시리즈 현황 117

표 3-35/표 3-36. ISO-9241 시리즈 표준영역 현황 118

표 3-36/표 3-37. 사용자 경험 설계 UX 6가지 디자인 설계 원칙 118

표 3-37/표 3-38. 가상화 제품군 보안 적합성 검증 도입 요건 및 방법 122

표 3-38/표 3-39. 클라우드 전환 유형 133

표 3-39/표 3-40. 클라우드 전환 달성 방법(5R) 134

표 3-40/표 3-41. 국제 표준화 기구 현황 146

표 3-41/표 3-42. 디지털정부 플랫폼 비교 및 시사점 152

표 3-42/표 3-43. NIST 800-207 제로 트러스트 원칙 170

표 3-43/표 3-44. NCSC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원칙 172

표 3-44/표 3-45. 디지털신원, 식별자(ID), 분산원장기술 관련 국내표준 174

표 3-45/표 3-46. 정보보안 관련 국제표준 175

그림 1-1. 전자정부 서비스 주요 불만족 이유 5

그림 1-2. 디지털플랫폼정부 비전과 전략 체계 13

그림 1-3.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주요 일정 21

그림 1-4.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성과와 가치 22

그림 1-5. 디지털플랫폼정부로 달라지는 새로운 대한민국 22

그림 2-1.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념 29

그림 2-2. 데이터기반행정법 확산사례 30

그림 2-3. 공공부문 민간데이터 활용체계 32

그림 2-4. 민ㆍ관 협력 기반 데이터플랫폼 발전전략의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 34

그림 2-5. 데이터플랫폼과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연계 35

그림 2-6. 공공ㆍ민간연계 표준사전 선순환 표준화 체계 36

그림 2-7. 에스토니아 전자정부 주요 마일스톤 36

그림 2-8. 에스토니아 e-Estonia 추진현황 37

그림 2-9. 에스토니아 디지털 아젠다 2030 비전 체계 39

그림 2-10. 에스토니아 2035 성과체계 40

그림 2-11. X-Road 아키텍처 41

그림 2-12. 영국 및 캐나다 전자정부 주요 마일스톤 42

그림 2-13. Government PaaS 개념 44

그림 2-14. 캐나다 Digital Charter 실행계획 45

그림 2-15. 에스토니아 e-Estonia와 캐나다 Digital Canada 비교 (CDXP 역할) 46

그림 2-16. 서비스 및 디지털 타겟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47

그림 2-17. 캐나다 Digital Charter 전략목표 48

그림 2-18. 싱가포르 전자정부 주요 마일스톤 49

그림 2-19. 싱가포르 디지털정부 블루프린트 비전 50

그림 2-20. GovTech 문화 및 가치 51

그림 2-21. CODEX(Core Operations Devlopment Environment and eXchange) 52

그림 2-22. 싱가포르 디지털정부 블루프린트 'Digital to The Core' 53

그림 2-23. 디지털정부 블루프린트 목표(~2023년) 54

그림 3-1. 디지털정부 기술 플랫폼(DGTP, Digital Government Technology Platform)의 요소 57

그림 3-2.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단계 63

그림 3-3.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준비도 64

그림 3-4.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준비도 64

그림 3-5.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기술별 필요도 65

그림 3-6.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기술별 경쟁력: 세계 선도기업 대비 66

그림 3-7. 데이터 품질진단 및 개선 활동 정의 80

그림 3-8. 데이터관리시스템 목표모델(개념도) 81

그림 3-9. 초거대 AI 모델 구축 현황 90

그림 3-10. 국가 초거대 AI 플랫폼 구성안 91

그림 3-11. Traditional Machine Learning vs Transfer Learning 92

그림 3-12. 언어모델 발전 과정 93

그림 3-13. ChatGPT에서 최신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예 (23년 7월 4일 질의) 94

그림 3-14. 구글 Bard에서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제공하는 예 (23년 7월 4일 질의) 94

그림 3-15. 7개 분야별 ChatGPT 활용성 예측 95

그림 3-16. HCI 개념의 발전 102

그림 3-17. HCI 연구범위 103

그림 3-18. UI/UX 개념도 104

그림 3-19.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 UX 방법론 105

그림 3-20. UI/UX 가이드라인 적용 프로세스 111

그림 3-21. 본 가이드 적용 대상 및 방법 112

그림 3-22. 제3차 클라우드 컴퓨팅 기본계획 121

그림 3-23. 케이(K)-인터넷기반자원공유 사업 개념 122

그림 3-24.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CSAP) 123

그림 3-25. Hype Cycle for Cloud Computing(1) - 2022 124

그림 3-26. Hype Cycle for Cloud Computing(2) - 2022 124

그림 3-27. SDDC의 구성도 126

그림 3-28. AI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관리 기술 개념도 126

그림 3-29. DCIM 개념도 127

그림 3-30. DCIM 성숙도 모형 (Maturity Model) 127

그림 3-31. 멀티 클라우드 주요 기술 128

그림 3-32.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연동 기술 개념도 128

그림 3-33.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통합 운용 관리 기술 개념도 130

그림 3-34.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통합 운용 관리 기술 개념도 131

그림 3-35. 멀티 클라우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술 개념도 133

그림 3-36.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IaaS, PaaS, SaaS)에 매핑된 5R 및 관련 솔루션 135

그림 3-37. 클라우드 전환 프로세스 136

그림 3-38. 클라우드 네이티브 핵심기술 136

그림 3-39. Monolithic Architecture vs MSA 137

그림 3-40. 하이퍼바이저 기반 가상화와 컨테이너 가상화 비교 138

그림 3-41. DevOps 개념 139

그림 3-42. CI/CD 개요 140

그림 3-43. 클라우드 기반 HPC 워크로드 실행 기술 141

그림 3-44. 클라우드 기반 역가상화(Inverse Virtualization) 기술 개요 142

그림 3-45. SECaaS 서비스 개요 144

그림 3-46. CASB 서비스 개요 145

그림 3-47. 디지털 기술의 활용 현황 151

그림 3-48. 데브옵스를 이용한 애자일 개발 방법론 154

그림 3-49. 지능정보자원관리 모델 155

그림 3-50. 기존 경계 기반 보안 모델과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 비교 162

그림 3-51. 기존 공급망 체인과 소프트웨어 공급망 체인 비교 163

그림 3-52. 제로 트러스트 타임라인 164

그림 3-53. 바이든 행정부 행정명령 제14028호 제로 트러스트 적용계획 165

그림 3-54. 구글 BeyondCorp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167

그림 3-55. 구글 BeyondCorp 적용모델 168

그림 3-56. NIST 800-207 제로 트러스트 프레임워크 169

그림 3-57. NCSC Network Architectures (VPN and Clould) 171

그림 4-1.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술 분야별 시사점 179

해시태그

#디지털플랫폼 # 디지털플랫폼정부 # 디지털전환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