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무역협회는 11월 30일 「2023년 수출입 평가 및 2024년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2023년 우리 수출은 전년 대비 7.8% 감소한 6,300억 달러, 수입은 11.8% 감소한 6,450억 달러, 무역수지는 150억 달러 적자로 추정된다고 밝혔음

□ 2024년 세계 경제는 ▲중국 부동산 위기, ▲유로존 경기 하강, ▲주요국 통화긴축 지속 등으로 2% 후반의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임. 원/달러 환율은 미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하반기에는 1,200원 중반 수준까지 떨어질 전망이며, 국제유가(브렌트유)는 산유국 감산, 중동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으로 90달러 내외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2024년 수출은 전년 대비 7.9% 증가한 6,800억 달러, 수입은 3.3% 증가한 6,660억 달러, 무역수지 140억 달러 흑자가 예상됨. 반도체 등 IT 제품이 전체 수출 성장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13대 주력 품목 수출이 모두 증가할 전망임. 수입은 에너지 수입단가 상승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수출 성장세를 하회하며 무역수지는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국제무역협회)

□ 2024년 세계 경제는 ▲중국 부동산 위기, ▲유로존 경기 하강, ▲주요국 통화긴축 지속 등으로 2% 후반의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임. 원/달러 환율은 미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하반기에는 1,200원 중반 수준까지 떨어질 전망이며, 국제유가(브렌트유)는 산유국 감산, 중동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으로 90달러 내외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2024년 수출은 전년 대비 7.9% 증가한 6,800억 달러, 수입은 3.3% 증가한 6,660억 달러, 무역수지 140억 달러 흑자가 예상됨. 반도체 등 IT 제품이 전체 수출 성장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13대 주력 품목 수출이 모두 증가할 전망임. 수입은 에너지 수입단가 상승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수출 성장세를 하회하며 무역수지는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국제무역협회)
목차
Ⅰ. 2023년 수출입 동향 및 평가
Ⅱ. 2024년 무역·통상환경 전망
Ⅲ. 2024년 수출입 전망
Ⅳ. 품목별 수출 동향 및 전망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3년 수출입 평가 및 2024년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