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2월 8일 「한·인도 수교 50주년 :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보고서를 발표함. 한국과 인도의 경제관계는 냉전이 종식된 1991년을 기점으로 본격화되었고, 한-인도 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를 계기로 양국 간 경제협력이 활성화됨
□ 보고서에 따르면 미·중 갈등의 영향으로 인도의 지정학적·지리학적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으며, 인도의 높은 성장 가능성과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대인도 투자 분야를 다변화해야 함
□ 양국 간 '제조업'과 '공급망'이 경제협력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한-인도 CEPA 개선협상을 마무리하여 양국 경제협력의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활성화하고, 반도체를 비롯한 전기전자·자동차(전기차 포함)·배터리·항공우주·방위산업 등 전략산업에 대한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1. 수교 이후 한ㆍ인도 경제관계 개관 3
2.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성과 6
가. 무역 6
나. 투자 10
다. 경제 파트너십 13
3. 한ㆍ인도 생산 네트워크 16
가. 생산 16
나. 수출 19
다. 평가와 과제 21
4.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미래 21
[부록] 27
표 1. 한ㆍ인도 무역ㆍ투자 관계 개괄 5
표 2. 한국의 대인도 10대 수출 품목 8
표 3. 한국의 대인도 10대 수입 품목 8
표 4. 주요 분야별 세계의 對인도 FDI 비중 12
표 5. 부처별 대인도 지원사업 목록 14
표 6. 인도 내 생산의 해외 기여 추이(2010, 2022) 17
표 7. 한국 내 생산의 해외 기여 추이(2010, 2022) 17
표 8. 인도ㆍ한국 산업별 생산 기여도 추이(2010, 2022) 18
표 9. 인도 수출의 해외 기여 추이(2010, 2022) 19
표 10. 한국 수출의 해외 기여 추이(2010, 2022) 19
표 11. 인도ㆍ한국 산업별 수출 기여 추이(2010, 2022) 20
그림 1. 무역을 중심으로 본 한ㆍ인도 경제관계 발전 과정 4
그림 2. 한국의 대인도 FDI와 양국간 무역 5
그림 3. 한국의 대인도 상품 무역(1992~2022) 6
그림 4. 한국의 대인도 서비스 무역(2005~21) 6
그림 5. 한국의 국가별 상품 수출 비교(1991~2022) 7
그림 6. 한국의 국가별 상품 수입 비교(1991~2022) 7
그림 7. 가공단계별 대인도 수출 비중(1991~2022) 9
그림 8. 가공단계별 대인도 수입 비중(1991~2022) 9
그림 9. 한국의 對인도 해외직접투자 10
그림 10. 한국의 對아시아 주요 국가 해외직접투자 10
그림 11. 주요국의 대인도 FDI 투자 추이 11
그림 12. 세계의 對인도 해외투자 유입 11
그림 13. 주요 분야별 한국의 對인도 FDI 추이 12
그림 14. 한ㆍ인도 ODA 지원액(2012~21) 13
그림 15. 분야별 대인도 ODA 비중(2012~21) 13
그림 16. 한ㆍ인도 생산 기여 추이(2010~22) 18
그림 17. 한ㆍ인도 생산 기여 비중 추이(2010~22) 18
그림 18. 한ㆍ인도 수출 기여 추이(2010~22) 20
그림 19. 한ㆍ인도 수출 기여 비중 추이(2010~22) 20
그림 20. 한ㆍ인도 전략적 협력이 필요한 영역(인도 측 응답) 22
그림 21. 한ㆍ인도 전략적 협력이 필요한 영역(한국 측 응답) 22
그림 22. 인도의 성장을 위해 대외경제협력이 가장 필요한 분야(인도 측 응답) 23
그림 23. 한국의 대인도 유망 경제협력 분야(한국 측 응답) 23
그림 24. 대인도 ODA 유망 분야(인도 측 응답) 25
그림 25. 대인도 ODA 유망 분야(한국 측 응답) 25
그림 26. 한국기업의 대인도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해 지원이 필요한 분야(한국 측 응답) 26
부록 표 1. 한국의 대인도 서비스 수출입(2010, 2021) 27
부록 표 2. 인도의 대한국 상위 5개 산업 생산 기여도 추이(2010, 2022) 28
부록 표 3. 한국의 대인도 상위 5개 산업 생산 기여도 추이(2010, 2022) 28
부록 표 4. 인도의 대한국 상위 5개 산업 수출 기여도 추이(2010, 2022) 29
부록 표 5. 한국 대인도 상위 5개 산업 수출 기여도 추이(2010~22) 29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