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사이버안보 : 한눈에 보기

□ 국회도서관은 팩트북 제108호 「사이버안보」를 발간함. ‘사이버안보’란 사이버공간에서 해킹 등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사이버공간을 안정적으로 유지·방어하고, 국가와 국민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함

□ 이번 팩트북 「사이버안보」는 ▲ 사이버안보의 개념, ▲ 사이버안보를 둘러싼 국제관계, ▲ 국내 및 주요국의 사이버안보 현황과 정책, ▲ 사이버위협 대응 강화 방안에 대한 전문가 견해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함

□ 국제사회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사이버위협에 대응하는 국제규범을 규정하기 위해 2004년 ‘유엔(UN) 정부전문가그룹’, 2018년 ‘유엔(UN) 개방형워킹그룹’을 설치해 사이버안보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2023년 6월, 정부의 외교안보전략을 소개하는 ‘국가안보전략’을 발간하면서 국가사이버안보 역량 강화를 위한 ‘사이버안보법’ 제정과 국제사회와의 사이버안보 공조를 위한 ‘사이버범죄협약’ 가입을 추진하고 있음. 또한, 2023년 4월, 한미정상회담에서 ‘전략적 사이버안보 협력 프레임워크’를 채택하여 한미동맹 영역을 사이버공간으로까지 확장함

□ 한편, 미국, EU 등 서방 진영과 중국, 러시아 등 비서방 국가들은 기존의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새로운 인터넷 거버넌스를 만들 것인지 등 ‘인터넷 주권’에 관한 이슈를 두고 진영을 나누어 경쟁하고 있음. 사이버안보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통상마찰의 쟁점이 되는 등 새로운 외교안보 이슈로 자리잡고 있음


 


[출처] 국회도서관, 「사이버안보」 팩트북 발간 (2024.01.08.) / 국회도서관 보도자료
 

 

목차

[표지] 1

책을 펴내며 / 이명우 3

사이버안보 : 한눈에 보기 4

목차 12

I. 사이버안보의 이해 19

요약 20

1. 사이버안보 개념 21

2. 사이버공간 23

가. 사이버공간 개념 23

나. 사이버공간의 확장 24

3. 사이버위협 25

가. 사이버위협 유형 25

나. 사이버위협 행위자 27

II. 전 세계 사이버안보 대립과 협력 31

요약 32

1. 전 세계 사이버위협 현황 33

2. 사이버공간의 경쟁과 진영화 36

가. 인터넷 거버넌스(Internet Governance) 36

나. 인터넷의 미래를 위한 선언(Declaration for future of the Internet) 39

다. 인터넷주권과 미중경쟁 41

3. 사이버안보를 위한 국제규범 정립 활동 43

가. 부다페스트 사이버범죄 협약(Budapest Convention on Cybercrime, COC) 43

나. 사이버스페이스총회(Global Conference on Cyberspace, GCCS) 45

다. 탈린매뉴얼(Tallinn Manual) 46

라. 랜섬웨어 대응 이니셔티브(Counter Ransomware Initiative, CRI) 47

마. UN 정부전문가그룹(Group of Governmental Experts on Advancing Responsible State Behaviour in Cyberspace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Security, UN GGE) 49

바. UN 개방형워킹그룹(Open-Ended Working Group on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Security, UN OEWG) 52

사. 상하이협력기구(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와 국제정보안보행동강령(International Code of Conduct for Information Security) 54

III. 국내 사이버안보 현황 및 정책 55

요약 56

1. 사이버위협 현황 57

가. 국내 사이버위협 현황 57

나. 북한의 사이버위협 60

2. 사이버안보 대응체계 62

가.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63

나. 국가정보원 63

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4

라. 한국인터넷진흥원 65

마. 국방부 65

3. 사이버안보 정책 66

가. 사이버안보 정책 추진 경과 66

나. 문재인 정부 68

다. 윤석열 정부 72

4. 사이버안보에 관한 국제협력 75

가. 우리나라의 국제협력 현황 75

나. 한미 '전략적 사이버안보 협력 프레임워크(SCCF)' 채택 76

IV. 주요국 사이버안보 현황 및 정책 79

요약 80

1. 미국 81

2. 유럽연합(EU) 95

3. 중국 104

4. 러시아 111

V. 제21대 국회 사이버안보 관련 법안 121

요약 122

1. 사이버안보 관련 법안 124

2. 국가정보원법 일부개정법률안 124

3. 정보통신망법 일부개정법률안 125

4. 국방정보화법 일부개정법률안 126

5.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126

6. 기타 법안 127

VI. 전문가 견해 129

요약 130

1. 사이버위협 대응체계 강화 131

2. 사이버안보 관련 법적 기반 마련 132

3. 사이버위협 대응과 개인정보 보호 132

4. 사이버안보 전문가 양성 133

5. 북한의 사이버위협 대응 강화 134

6. 사이버공간의 진영화 135

참고문헌 137

국회도서관 발간 팩트북 시리즈 143

판권기 147

[뒷표지] 148

[표 1] 주요국 및 국제기구의 사이버공간 정의 23

[표 2] 사이버위협 유형별 소개 27

[표 3] 사이버위협 주요 행위자 및 동기 28

[표 4] 전 세계 사이버공격 주요 사례(2022년) 33

[표 5] 인터넷 거버넌스 논의 경과(1969년~) 38

[표 6] 사이버스페이스총회(GCCS) 회의 주제 45

[표 7] 랜섬웨어 대응 이니셔티브(CRI) 주요 내용 48

[표 8] UN 정부전문가그룹(UN GGE) 주요 내용 49

[표 9] 제6차 UN GGE 보고서의 11가지 자발적 규범 51

[표 10]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 건수 59

[표 11] 북한 주요 해킹조직 60

[표 12] 북한의 사이버공격 주요 사례 61

[표 13] 국가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NCTI) 가입 현황(2021년 12월 기준) 70

[표 14]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의 지정 현황(2016~2022년) 72

[표 15] 국가사이버안보 역량 강화 방안 72

[표 16] 전략적 사이버안보 협력 프레임워크 주요 내용 77

[표 17] 미국의 사이버안보 침해 주요 사례 82

[표 18] 미국 「국방수권법(2022, 2023)」의 사이버안보 관련 정책 87

[표 19] 미국 연방 정부의 사이버안보 관련 주요 법 88

[표 20] 미국 사이버안보 관련 국가안보각서 90

[표 21] 미국 국가 사이버안보 전략의 주요 5대 원칙 및 전략목표 92

[표 22] EU의 사이버안보 침해 주요 사례 96

[표 23] EU 사이버안보 관련 주요 법안 101

[표 24] EU 사이버안보 전략의 주요 내용 102

[표 25] 중국 「네트워크안전법」 주요 내용 107

[표 26] 중국 「데이터안전법」 주요 내용 108

[표 27] 중국 「개인정보보호법」 주요 내용 109

[표 28] 중국 국가네트워크공간안전전략의 목표 110

[표 29] 러시아의 사이버공격 주요 사례 111

[표 30] 러시아의 정보안보원칙 주요 내용 118

[그림 1] 사이버, 안보, 국가의 개념 조합 22

[그림 2]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 추이(1992~2022년) 24

[그림 3] 사이버위협 주요 유형 26

[그림 4] 전 세계 산업계별 기업당 주간 평균 사이버공격 현황(2022년) 35

[그림 5] 전 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한 멀웨어 유형별 사이버공격 비율(2022년) 36

[그림 6] '인터넷의 미래를 위한 선언' 5가지 원칙 40

[그림 7] UN GGE(제6차)와 UN OEWG(제1차) 비교 52

[그림 8] 국내 사이버위협 주요 동향(2009~2023년) 57

[그림 9] 국내 정보통신망 침해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2018~2021년) 58

[그림 10] 국내 공공기관 사이버위협의 주요 유형(2019~2021년) 59

[그림 11] 국내 사이버안보 대응체계 63

[그림 12]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 주요 기능 64

[그림 13] 국가사이버안보전략 과제 69

[그림 14] C-TAS 2.0 기반 민간분야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강화 71

[그림 15] '사이버안보법' 개요 74

[그림 16] 국가사이버위기관리단 주요 기능 75

[그림 17] 국가사이버위기관리단 참여기관 75

[그림 18] 미국의 사이버안보 주요 관할기관 84

[그림 19] EU 사이버안보 주요 관할기관 97

[그림 20] 중국 사이버범죄 증가율(2017~2021년) 104

[그림 21] 중국 사이버범죄 현황(2017~2021년) 105

[그림 22] 중국 사이버안보 대응체계 조직도 106

[그림 23] 러시아의 사이버안보 관련 주요 조직 113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사이버안보 # 사이버위협 # 사이버범죄 # 사이버공격 # 사이버보안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