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사이버 보안관제 자동화 체계 구축 방안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온라인 활동, 원격근무 등 비대면 환경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이를 악용하는 사이버공격이 급증하고 있으며, 날로 진화하는 사이버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보안관제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 기존 보안관제체계는 사이버공격 탐지 및 보안로그 분석 등 인력에 의한 수작업에만 의존해 왔었기 때문에, 대규모로 발생하는 사이버공격을 신속·정확하게 대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며, 더 많은 분석 노하우가 요구되는 신·변종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어렵다.

□ 따라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사이버위협 및 신·변종 해킹공격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보안관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최근 사이버보안 분야에서는 보안관제 정확도·신속도 제고를 위해 AI 기반 보안관제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이에 본 고에서는 지능형 보안관제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 요소기술과 기술 동향을 소개하고 KISTI 과학기술보안연구 센터에서 수행 중인 AI/XAI 기반 보안관제 자동화 원천기술 연구개발 현황과 연구전략을 제시한다.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1. 보안관제 자동화 기술 개요 2

보안관제 개요 2

국내 보안관제 현황 3

현 보안관제 체계의 한계점 3

2. 인공지능 기반 보안관제 자동화 기술 4

지능형 보안관제 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 요소기술 4

국내ㆍ외 인공지능 기반 보안관제 자동화 기술 연구개발 현황 6

3. KISTI 지능형 보안관제 자동화 기술 연구개발 현황 7

AI/XAI 기반 보안관제 자동화 기술 정확도 및 신속도 향상 연구 7

AI/XAI 기반 보안관제 자동화를 위한 고품질 학습ㆍ검증 데이터셋 구축 8

4. 지능형 보안 관제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연구전략 제언 9

지능형 보안관제 자동화 연구개발 추진 로드맵 9

지능형 보안관제 자동화를 위한 장기 추진계획 및 성과 활용방안 10

참고문헌 11

판권기 12

〈그림 1〉 보안관제 자동화 필요성 및 추진 방안 3

〈그림 2〉 인공지능 기반 보안관제 기술 개념도 4

〈그림 3〉 보안관제 패러다임의 세대별 변화 5

〈그림 4〉 AI/XAI 기반 보안관제 자동화 기술 정확도 및 신속도 향상 전략 8

〈그림 5〉 XAI 기반 의사결정지원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학습/검증 데이터셋 구축 전략 9

〈그림 6〉 인공지능 공동활용 보안체계 구축 사업 추진 로드맵 9

〈그림 7〉 지능형 보안관제 체계 구축ㆍ운영 장기 로드맵 10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사이버공격 # 사이버위협 # 사이버안보 # 사이버보안 # 보안관제 # 해킹공격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