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 한국은행은 1월 8일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함.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을 늦게 하는 '만혼화',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화' 추세가 심화되고 있고, 노동시장 내 비혼 비중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음. 지난 10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핵심연령층에서 미혼인구 비중 증가 현상이 총 노동공급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했고, 미혼 증가는 결국 저출생 문제를 심화시켜 미래 노동 공급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됨

□ 비혼인구 증가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상반된 모습을 보임. 남성의 경우 미혼 인구가 늘면 고용률이 감소하고 실업률이 상승했으며, 평균 근로시간이 줄어 노동공급 총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반면, 여성의 경우 미혼 인구가 늘면 경제활동 참가와 평균 근로시간을 늘려 노동공급 총량이 증가함. 성별에 따라 미혼 비중 확대의 영향이 다르지만, 지난 10년간은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 효과가 더 컸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함

□ 한국은행의 노동공급 장기 추세 추정 결과, 30년 후 미혼 비중이 남성 60%, 여성 50% 수준에 이를 경우 우리나라 경제활동 참가율은 2031년 정점을 찍고 이후 떨어질 것으로 예상됨. 한국은행은 노동공급 감소를 줄이기 위해 인구 미혼화 완화 및 미혼자를 고려한 노동환경 조성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밝혔음

[출처]
미혼인구 비중 증가세, 노동공급 감소요인으로 작용한다 (2024.01.08.) / 경향신문
韓銀 '미혼 늘면 노동공급 감소…경제활동참가율 2031년부터 꺾일 수도 있다' (2024.01.08.) / 조선일보

목차

표제지

목차

Ⅰ. 검토배경 2

Ⅱ. 미혼인구 추이 2

Ⅲ. 결혼여부별 남성과 여성의 노동공급 비교 4

Ⅳ. 인구의 미혼화 추세를 감안한 장기 노동공급 전망 8

Ⅴ. 종합평가 및 정책적 시사점 10

[참고 1] 기혼 남성의 노동공급이 미혼에 비해 높은 이유 12

[참고 2] 여성 노동공급의 변화 13

[참고 3] 우리나라 저출산 현황과 여성 노동공급 간 관계 14

참고문헌 16

〈표 1〉 미혼인구 비중 증가에 따른 노동공급 증감 기여도 분해 8

〈그림 1〉 인구 dynamics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2

〈그림 2〉 인구미혼화와 인구고령화 추이 2

〈그림 3〉 초혼 연령 추이 3

〈그림 4〉 생애 미혼율 3

〈그림 5〉 성별 미혼율 변화 3

〈그림 6〉 연령대별 미혼율 변화 3

〈그림 7〉 미혼율 변화 기여도: 연령대별 3

〈그림 8〉 학력수준별 미혼 비중 4

〈그림 9〉 학력수준별ㆍ연령대별 미혼 비중 4

〈그림 10〉 노동공급 내 미혼 비중 4

〈그림 11〉 인구, 비경활인구, 실업자 중 미혼 비중 4

〈그림 12〉 남성의 노동공급 5

〈그림 13〉 여성의 노동공급 5

〈그림 14〉 결혼여부별 경제활동참가율 6

〈그림 15〉 결혼여부별 주요국 경제활동참가율 격차 6

〈그림 16〉 미혼 남녀의 경제활동참가율 비교 6

〈그림 17〉 주요국 미혼 경제활동참가율 비교 6

〈그림 18〉 특성별 남성 노동공급 확률 격차 7

〈그림 19〉 특성별 여성 노동공급 확률 격차 7

〈그림 20〉 고용률 counterfactual 분석 8

〈그림 21〉 근로시간 counterfactual 분석 8

〈그림 22〉 기혼여성 출산율과 경제활동참가율 9

〈그림 23〉 여성 미혼율과 경제활동참가율 9

〈그림 24〉 경제활동참가율 장기추세 전망(2020-2040) 9

〈그림 25〉 Baseline 대비 경활인구 감소율(2020-2040) 9

[그림 2-1] 국가 경제수준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간 관계 13

[그림 3-1] 출산율 변동 요인분해 14

[그림 3-2] 출생아 중 첫째아 비중: 출산 모(母) 연령별 14

[그림 3-3] 기혼여성의 연령코호트별 합계 출산율 14

[그림 3-4] 결혼, 육아에 따른 여성 고용률 감소폭: 시기별 15

[그림 3-5] 결혼, 육아에 따른 여성 고용률 감소폭: 코호트별 15

[그림 3-6] 기혼여성 중 일하였음 비중 15

[그림 3-7] 유자녀 기혼여성의 평균 출생자녀 수 15

해시태그

#노동시장 #경제활동참가율 #미혼인구 #비혼인구 #노동공급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