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역동적 혁신성장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 창출 방안

□ 산업연구원은 1월 31일 「역동적 혁신성장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 창출 방안」 보고서를 발간하고, 향후 국내 산업의 역동성 회복과 지속 가능한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투자, 금융, 기업생태계, 기술 분야를 고려한 포괄적인 산업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음

□ 보고서는 과거 한국경제의 성장을 주도한 주력산업이 성숙 단계로 접어들면서 새로운 도약을 이끌 동력 창출이 지체되는 등 산업을 둘러싼 위기감 또한 고조되고 있다고 분석함. 특히 한국경제와 산업 전반의 역동성은 신규 기업의 진입과 기존 기업의 퇴출이 줄어들면서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음

□ 산업의 역동성 회복과 혁신성장을 위한 분야별 정책 제언
➢ (투자정책) 산업의 역동성 제고를 위한 투자지원 정책
ㅇ 기업의 신산업, 신비즈니스 도전에 대한 정책 지원 강화

➢ (금융정책) 신산업 창출과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산업금융 제도 개선 방안
ㅇ 국내 선도기업의 신산업 분야 및 핵심기술 보유 스타트업에 대한 적극적 벤처투자 환경 조성

➢ (기업정책) 산업의 역동성 회복을 위한 산업생태계 제고
ㅇ 한계기업의 정상화를 위한 정책 실효성 제고 및 사회 안전망 구축

➢ (기술정책) 성과지향형 기술혁신정책
ㅇ 도전적·시장지향적 산업기술 R&D 정책 추진
ㅇ 임무지향형 혁신정책으로의 전환

(출처: 산업연구원)

□ 관련 영상
▶ [KSMR-너의 연구를 들려줘!] K-산업의 미래, 바로 역동성에 있다고? - 산업혁신정책실 조재한 선임연구위원 (2024.11.21.) / 산업연구원 유튜브 채널 

목차

목차 1

역동적 혁신성장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 창출 방안 / 조재한 ; 송단비 ; 최민철 ; 김용 ; 김지현 1

요약 1

1. 한국 경제·산업의 역동성 저하 우려 확산 2

2. 국내 경제·산업의 역동성 현황 3

(1) 기업의 진입과 퇴출 역동성 3

(2) 산업 구조 변화의 역동성 5

(3) 국내 산업 역동성 결정 요인과 시사점 8

3. 역동적 혁신성장을 위한 세부 정책 과제 9

[저자소개] 11

해시태그

#한국경제 #산업정책 #산업경쟁력 #산업혁신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역동적 혁신성장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 창출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