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재난안전연구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지원과 전략

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Abstract 7

제1부 연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부지원 및 운영총괄 24

01. 총괄 서론 25

제1절 연구 배경 26

제2절 연구 필요성 27

제3절 연구 목적 및 내용 30

제4절 연구 추진 방법 및 연구 체계 32

02.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찾아가는 토크 콘서트를 중심으로 35

제1절 개요 36

제2절 1차 찾아가는 토크 콘서트 38

1. 행사 개요 38

2. 주요 이슈 분석 38

제3절 2차 찾아가는 토크 콘서트 44

1. 행사 개요 44

2. 주요 이슈 분석 44

제4절 3차 찾아가는 토크 콘서트 52

1. 행사 개요 52

2. 주요 이슈 분석 52

제5절 4차 찾아가는 토크 콘서트 58

1. 행사 개요 58

2. 주요 이슈 분석 58

제6절 소결 66

03. 재난안전 전문가의 위험 인식 및 연구 수요 조사 69

제1절 조사 70

제2절 재난안전 유형별 전문가 위험 인식 조사 73

1.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위험 인식 73

2.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위험에 대한 대응 수준 82

3. 향후 5년 뒤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예방ㆍ대응을 위한 정부 기능 수요 85

제3절 거버넌스 운영 및 연구수요 조사 88

1. 재난안전연구 거버넌스 운영 관련 의견조사 88

2. 융합연구주제 조사 99

제4절 소결 103

04. 정부 지원 및 포럼 개최 105

제1절 개요 106

제2절 재난안전연구 거버넌스 운영규정(안) 108

제3절 재난안전 연구포럼 111

1. 재난안전 연구포럼 개최 계획 111

2. 재난안전 연구포럼 결과 보고 113

제4절 소결 130

제2부 세부 분야별 연구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전략 연구: 기후위기분야 131

05. 서론 132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33

1. 연구 배경 133

2. 연구 필요성 134

제2절 연구 목적 및 방법 136

1. 연구 목적 136

2. 연구 방법 137

06. 기후위기와 재난안전 138

제1절 기후위기 시대의 한반도 139

1. 기후위기와 재난 139

2. 기후변화와 기후변동, 그리고 극한기후 141

3. 한반도 기후변화 및 재난 전망 143

제2절 기후위기 시대 재난의 특징 145

1. 태풍, 홍수, 폭염 등 전통적 기후재난과 연계 재난 145

2. 기후재난으로 인한 복합재난 146

3. 시사점 147

제3절 기후위기 시대 재난관리 -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중요성 148

1. 우리나라 재난관리 거버넌스 148

2. 기후위기 시대 네트워크 재난 거버넌스의 필요성 151

3. 기후위기 시대 재난 대응을 위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형태 152

4. 기후위기 재난안전 연구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 154

07. 국내외 연구동향 155

제1절 기후위기와 재난안전 관련 국내연구 동향 156

1. 국내연구 현황 156

2. 국내연구 동향 159

제2절 기후위기와 재난안전 관련 국외연구 동향 162

1. 국외연구 현황 162

2. 주요국 정책 및 연구 동향 170

제3절 소결 173

08. 국내외 연구기관 및 연구자 현황 조사 176

제1절 조사 개요 177

1. 조사 방법 177

2. 조사 결과 178

제2절 연구기관 현황 179

1. 정부(출연)연구기관[별도 파일 제출] 179

2. 지자체(출연)연구기관[별도 파일 제출] 180

3. 대학 연구기관[별도 파일 제출] 181

4. 민간/공기업 연구기관[별도 파일 제출] 182

5. 국제/NGO 연구기관[별도 파일 제출] 182

제3절 연구자 현황 183

1. 재해 분야[별도 파일 제출] 183

2. 적응 분야[별도 파일 제출] 184

3. 회복력 분야[별도 파일 제출] 185

4. 재난안전 분야[별도 파일 제출] 186

제4절 소결 187

09. 연구주제 지도 188

제1절 전체 연구주제 지도 189

1. 세부 연구분야 분류 189

2. 연구주제 지도 종합 189

제2절 분야별 연구주제 지도 191

1. 재해 분야[별도 파일 제출] 191

2. 적응 분야[별도 파일 제출] 192

3. 회복력 분야[별도 파일 제출] 193

제3절 소결 194

10. 연구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전략 195

제1절 연구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사례 196

1. 연구배경 및 개요 196

2.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지자체 연구원 협업 사례 198

3. 도시재생 연구단 사례 207

4. 기후위기 재난안전 연구기관별 사례[별도 파일 제출] 216

제2절 연구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방안 218

1. 연구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해 필요한 사항 218

2. 연구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전략 225

제3절 소결 227

11. 총괄 결론 229

제1절 결론 230

1. 연구 요약 230

2. 논의 및 시사점 231

3. 정책 제언 234

참고문헌 237

[부록] 243

판권기 244

〈표 2-1〉 재난안전연구거버넌스 참여기관 37

〈표 2-2〉 찾아가는 토크쇼 종합 일정 정리표 66

〈표 3-1〉 조사 설계 71

〈표 3-2〉 주요 조사 내용 71

〈표 3-3〉 주요 조사 내용응답자 특성 72

〈표 3-4〉 시기에 따른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위험 인식 75

〈표 3-5〉 재난 및 사고 유형별 발생 가능성(Likelihood) 78

〈표 3-6〉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영향 정도(Impact) 81

〈표 3-7〉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위험에 대한 정부의 대응 수준 84

〈표 3-8〉 향후 5년 뒤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예방ㆍ대응을 위한 정부 기능 수요 87

〈표 3-9〉 현재 재난안전 연구 거버넌스 참여소속 및 인원 상황 88

〈표 3-10〉 의사소통 방식 또는 채널 운영 관련 91

〈표 3-11〉 특별분과위원회 운영 관련 93

〈표 3-12〉 정례 포럼 운영 관련 95

〈표 3-13〉 현안 연구 수행 관련 97

〈표 4-1〉 포럼 프로그램(안) 112

〈표 4-2〉 찾아가는 토크 콘서트 요약표 114

〈표 6-1〉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재난관리주관기관 149

〈표 6-2〉 계층제 조직과 네트워크 조직의 특징 비교 152

〈표 7-1〉 신 EU 기후적응 전략 172

〈표 8-1〉 정부(출연) 연구기관 현황 179

〈표 8-2〉 지자체(출연) 연구기관 현황 180

〈표 8-3〉 대학 연구기관 현황 181

〈표 8-4〉 민간/공기업 연구기관 현황 182

〈표 8-5〉 국제/NGO 연구기관 현황 182

〈표 8-6〉 재해 분야 연구자 현황 183

〈표 8-7〉 적응 분야 연구자 현황 184

〈표 8-8〉 회복력 분야 연구자 현황 185

〈표 8-9〉 재난안전 분야 연구자 현황 186

〈표 9-1〉 연구주제지도 종합 190

〈표 10-1〉 지역안전지수 중 화재, 생활안전 분야 지표(2022년 기준) 199

〈표 10-2〉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시도연구원 협업 과정 200

〈표 10-3〉 충남연구원에서 통계를 이해하고 지자체를 지원했던 내용 201

〈표 10-4〉 집수리사업 - 현장 실증연구 주요 내용 216

〈표 10-5〉 전문가 제언 요약 227

〈표 11-1〉 재난안전연구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234

[그림 1-1] 재난안전 정책연구 거버넌스 구성 28

[그림 1-2] 연구 목적 30

[그림 1-3] 연구 흐름도 31

[그림 1-4] 설문 구성 및 틀 32

[그림 1-5] Track 1: 1부 연구진 및 체계도 33

[그림 1-6] Track 2: 2부 연구진 및 체계도 34

[그림 2-1] 한국행정연구원의 재난안전연구거버넌스 구축 지원 현황 36

[그림 2-2] 찾아가는 토크 콘서트 종합 의견 67

[그림 3-1] 설문조사 주요 내용 70

[그림 3-2] 시기에 따른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위험 인식 74

[그림 3-3] 재난 및 사고 유형별 발생 가능성(Likelihood) 77

[그림 3-4]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영향 정도(Impact) 80

[그림 3-5]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위험에 대한 정부의 대응 수준 83

[그림 3-6] 향후 5년 뒤 재난 및 사고 유형별 예방ㆍ대응을 위한 정부 기능 수요 86

[그림 3-7] 융합연구주제: 자연재난(40건) 99

[그림 3-8] 융합연구주제: 사회재난(15건) 100

[그림 3-9] 융합연구주제: 기타(재난관리단계에 따른 분류, 46건) 101

[그림 3-10] 재난 및 사고유형별 위험수준 종합 103

[그림 4-1] 재난안전연구 거버넌스의 정부 지원 역할 106

[그림 4-2] 국내 기후위기와 재난안전 연구동향 120

[그림 4-3] 기후문제 및 재난안전 관련 연구 추이 121

[그림 4-4]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협업 사례(예시) 122

[그림 5-1] 글로벌 리스크 영향 133

[그림 5-2] 향후 10년간 전지구적 스케일에서의 리스크 순위 133

[그림 5-3]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방안 134

[그림 5-4]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에 따른 기후리스크 감소 개념도 135

[그림 5-5] 연구 목차 136

[그림 5-6] 연구 수행체계 137

[그림 6-1] 재난 피해: 1980-1999 vs. 2000-2019 140

[그림 6-2] 재난의 종류: 1980-1999 vs. 2000-2019 140

[그림 6-3] 최근 10년 자연재난 피해 추이(인명피해, 재산피해) 141

[그림 6-4] 기후변화와 기후변동의 영향 142

[그림 6-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극한 기온현상 예측 143

[그림 6-6]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극한 강우현상 예측 144

[그림 6-7] 2021 미국 텍사스 대정전 사태(전력 수요와 공급) 146

[그림 6-8] 우리나라 국가 재난안전관리체계 148

[그림 6-9]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3가지 유형 153

[그림 6-10] 미래 재난 대응을 위한 계서제와 네트워크 조직 특징의 연계 필요 154

[그림 7-1] 연도별 카테고리 변화 추이 159

[그림 7-2] 기후문제 관련 연구 추이 160

[그림 7-3] 재난안전 관련 연구 추이 160

[그림 7-4] 핵심단어 시각화 결과 161

[그림 7-5] 건조지수를 기반으로 한 기후 체제의 공간분포 164

[그림 7-6] 1971~2000년과 비교하여 RCP8.5에 따라 2070~2099년에 K 지구 온난화당 1/30년 극한 강수 강도의 변화 165

[그림 7-7] 빅데이터 기반의 탄소배출 및 환경관리에 관한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67

[그림 7-8] 기후변화 적응 모니터링평가 프레임워크 169

[그림 8-1] Snowball sampling 개념도 177

[그림 8-2] 기후위기 재난안전 연구 분류 177

[그림 9-1] 재해 분야 연구주제지도 예시 191

[그림 9-2] 적응 분야 연구주제지도 예시 192

[그림 9-3] 회복력 분야 연구주제지도 예시 193

[그림 10-1] 재난안전사고 사망자(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 증감 추세 196

[그림 10-2] 지역 안전지수 개요 및 등급 공표 형태 198

[그림 10-3] 시도연구원과 협업과 컨설팅 제도 변화 201

[그림 10-4] 지역 안전지수 협업 모델 202

[그림 10-5] 원인분석 매트릭스 203

[그림 10-6] 건강검진과 안전지수 비교 204

[그림 10-7] 지역 안전지수 운영절차 205

[그림 10-8] 시도연구원의 역할 및 또 협업의 시작 206

[그림 10-9] 1단계 도시재생 R&D 연구 거버넌스 - 전반기 208

[그림 10-10] 1단계 도시재생 R&D 연구 거버넌스 - 후반기 209

[그림 10-11] 1단계 도시재생 R&D 연구 성과 211

[그림 10-12] 2단계 도시재생 R&D 연구 목표 212

[그림 10-13] 2단계 도시재생 R&D 연구개발 단계 212

[그림 10-14] 2단계 도시재생 R&D 추진체계 213

[그림 10-15] 도시재생 관련 조직 거버넌스 214

[그림 10-16] 도시재생 지자체 거버넌스 215

[그림 10-17] 기후위기 재난안전 연구기관별 사례 - 엑셀정리 예시 216

[그림 10-18] UN Good Governance의 8가지 원칙 219

[그림 11-1]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재난 발생 메커니즘 233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재난안전연구거버넌스 # 기후위기 # 미래재난 # 위기관리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