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한국인의 사회적 불안 분석 종합과 정책적 함의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과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 사회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시행된 이 연구는 2019년부터 5년간 진행된 한국의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한 연구 중 5차년의 연구로,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불안 인식과 관련 요인을 조사한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사회적 불안 인식의 개념과 측정, 그리고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소개하고 분석 자료를 소개하는 도입부, 사회적 불안 인식의 양상과 사회적 불안 인식의 요인을 규명하는 본론,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정리하고 사회적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제안을 하는 결론으로 구성된다.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Abstract 16

요약 18

제1장 서론: 연구의 배경과 연구 개요 2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

1. 연구의 배경과 연구 개요 24

2. 연구 목적 27

제2절 연구의 내용 27

제3절 연구의 방법 31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와 분석 자료 34

제1절 선행연구의 검토와 시사점 35

1. 사회적 불안 인식의 의미 35

2. 사회적 불안 인식의 측정 41

3. 사회적 불안 인식의 관련 요인 46

제2절 1ㆍ2ㆍ3ㆍ4차 연도 연구 개요와 시사점 50

1. 1차 연도(2019년) 연구의 주요 내용 51

2. 2차 연도(2020년) 연구의 주요 내용 54

3. 3차 연도(2021년) 연구의 주요 내용 57

4. 4차 연도(2022년) 연구의 주요 내용 58

제3절 분석 자료의 구축과 검증 61

1. 조사 자료의 통합 61

2. 통합 자료의 검증 65

제3장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한 기초분석 결과 73

제1절 사회적 불안 인식의 수준과 내용 74

제2절 집단별 사회적 불안 인식의 비교 83

1.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불안 83

2. 경제적 특성과 사회적 불안 87

3. 차별ㆍ박탈과 사회적 불안 90

제4장 사회적 불안 인식의 구조: 코호트 간 비교 9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100

1. 분석 내용 100

2. 분석 방법 103

제2절 사회적 불안 인식의 구조 116

1. 사회적 불안 요소 간 관계 116

2. 코호트별 사회적 불안의 중심 요소 119

제3절 사회적 불안 인식 설명 요인 네트워크 분석 124

1. 체계와 생활세계 불안 수준 124

2. 체계와 생활세계 불안의 설명 요인 126

제4절 소결 131

제5장 개인의 심리 불안과 사회적 불안 인식 134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135

1. 분석 내용 135

2. 분석 방법 138

제2절 개인 불안심리 유형 특성 145

제3절 개인 불안심리의 예측요인: 사회적 인식 및 경험을 중심으로 161

제4절 소결 174

제6장 소득계층과 사회적 불안 인식: 사ㆍ공적 지원의 영향 177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178

1. 분석 내용 178

2. 분석 방법 182

제2절 소득계층별 박탈 경험과 지지체계 187

1. 분석 대상 일반 특성 187

2. 소득계층에 따른 박탈 경험 190

3. 소득계층, 박탈 경험과 지지체계 유형 194

제3절 지지체계와 사회적 불안 격차 202

1. 소득계층별 사회적 불안 수준 202

2. 지지체계 유형별 사회적 불안 수준 204

3. 소득계층, 박탈, 지지체계에 따른 사회적 불안 수준 208

4. 지지체계는 사회적 불안을 완화하는가? 213

제4절 소결 222

제7장 사회적 고립과 사회적 불안 인식 225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226

1. 분석 내용 226

2. 분석 방법 236

제2절 사회적 고립의 유형과 사회적 불안 243

제3절 사회적 고립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영향 245

1. 기초분석 결과 245

2. 사회적 고립의 영향 분석 결과 247

제4절 소결 249

제8장 대처성향과 사회적 불안 인식: 사회참여ㆍ활동을 초점으로 251

제1절 분석 내용과 방법 252

1. 분석의 내용 252

2. 분석 방법 254

제2절 사회적 불안 대처성향 257

1. 대처성향 257

2. 삶의 만족도와 대처성향 263

3. 코로나19 경험과 대처성향 267

제3절 사회참여 특성과 불안 268

1. 사회참여 유형별 불안 비교 268

2. 사회관계 유형별 불안 비교 272

제4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영향 분석 274

1. 대처성향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274

2. 사회참여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278

3. 사회관계망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286

제5절 소결 289

제9장 결론 294

제1절 주요 분석 결과의 요약 295

제2절 정책과제 302

제3절 기대효과와 한계 314

참고문헌 316

[부록] 329

판권기 2

〈요약 표 1〉 사회적 불안 인식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와 정책전략 22

〈표 1-1〉 연구의 본론 구성 30

〈표 2-1〉 사회적 불안 인식의 측정 관련 연구와 측정 방식 41

〈표 2-2〉 사회불안 지수(social unrest index) 구성(2013년) 44

〈표 2-3〉 사회적 불안 인식 요인분석 결과 55

〈표 2-4〉 청ㆍ중년의 사회적 불안의 수준 56

〈표 2-5〉 본론 각 장의 분석 주제와 분석 내용 소개 59

〈표 2-6〉 2020~2022년 설문조사의 조사 개요 62

〈표 2-7〉 [우울척도] 1점 초과 변화가 있는 비율 67

〈표 2-8〉 [전반적 생활 만족도] 1점 초과 변화가 있는 비율 67

〈표 2-9〉 [전반적 생활 만족도] 1점 초과 변화가 있는 비율 68

〈표 2-10〉 [5년 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전망] 1점 초과 변화가 있는 비율 68

〈표 2-11〉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만 20~59세) 69

〈표 2-12〉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만 19~75세) 69

〈표 2-13〉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만 20~59세) 70

〈표 2-14〉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만 19~75세) 70

〈표 2-15〉 소득격차에 대한 인식 71

〈표 2-16〉 행복한 정도(만 20~59세) 71

〈표 2-17〉 행복한 정도(만 19~75세) 72

〈표 3-1〉 신뢰도 분석 결과 75

〈표 3-2〉 요인분석 결과 76

〈표 3-3〉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 78

〈표 3-4〉 문항별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 79

〈표 3-5〉 사회 불안 문항 간 상관관계 81

〈표 3-6〉 주요 불안 인식 간 상관관계 82

〈표 3-7〉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 84

〈표 3-8〉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불안이 높은 비율 86

〈표 3-9〉 경제수준별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 88

〈표 3-10〉 경제수준별 불안이 높은 비율 89

〈표 3-11〉 박탈 경험 여부별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 91

〈표 3-12〉 박탈 경험 여부별 불안이 높은 비율 92

〈표 3-13〉 차별 경험 여부별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 93

〈표 3-14〉 차별 경험 여부별 불안이 높은 비율 94

〈표 3-15〉 차별/불평등 인식별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 96

〈표 3-16〉 차별/불평등 인식별 불안이 높은 비율 98

〈표 4-1〉 출생 코호트 구분 및 특징적인 사회적 경험 107

〈표 4-2〉 코호트별 생산 및 재생산 영역에서의 사회변화 108

〈표 4-3〉 체계 불안 주성분분석 결과 111

〈표 4-4〉 생활세계 불안 주성분분석 결과 112

〈표 4-5〉 코호트별 기술통계 115

〈표 4-6〉 노드 간 연결이 강한 상위 10개 엣지값 118

〈표 4-7〉 코호트별 강도중심성 지수 순위 120

〈표 4-8〉 코호트 간 네트워크 구조와 중심성 순위 유사도 124

〈표 4-9〉 코호트별 4개 하위 영역의 사회적 불안 수준 125

〈표 4-10〉 전반적 사회 불안 인지 문항과 사회적 불안 하위 차원 간 상관관계 126

〈표 5-1〉 분석 틀 설명 138

〈표 5-2〉 Latent and Observed variables 139

〈표 5-3〉 사회적 불안, 개인 불안심리 변수 설명 141

〈표 5-4〉 개인 불안심리 변수 142

〈표 5-5〉 사회적 불안 척도 변수 143

〈표 5-6〉 개인 심리ㆍ불안의 설명 요인 변수 144

〈표 5-7〉 잠재계층의 개수에 따른 모형 적합도 147

〈표 5-8〉 연령별 개인 불안심리에 대한 잠재계층 특성 149

〈표 5-9〉 개인 불안심리(통합)에 대한 잠재계층 특성 150

〈표 5-10〉 개인 불안심리 유형별 개인 특성 152

〈표 5-11〉 청중년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 점수 153

〈표 5-12〉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별 차별 및 박탈 인식과 경험 157

〈표 5-13〉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에 따른 차별 인식 항목별 특성 158

〈표 5-14〉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에 따른 불평등 인식 항목별 특성 158

〈표 5-15〉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에 따른 차별 경험 항목별 비율 159

〈표 5-16〉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에 따른 박탈 경험 항목별 비율 160

〈표 5-17〉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별 사회적 사건 경험 특성 161

〈표 5-18〉 개인 불안과 예측변인의 관련성-사회적 불안 인식 차별ㆍ박탈 인식, 그리고 경험(서열로짓분석) 163

〈표 5-19〉 개인 불안과 예측변인의 관련성-사회적 불안 인식 영역별(서열로짓분석) 164

〈표 5-20〉 개인 심리ㆍ불안 잠재계층과 예측변인의 관련성-사회적 불안 인식과 차별ㆍ박탈 인식(다항로짓분석) 168

〈표 5-21〉 개인 심리ㆍ불안 잠재계층과 예측변인의 관련성-사회적 불안 인식과 사회적 경험(다항로짓분석) 169

〈표 5-22〉 개인 심리ㆍ불안 잠재계층과 예측변인의 관련성-사회적 불안 인식 영역별(다항로짓분석) 172

〈표 6-1〉 지지체계의 유형화 183

〈표 6-2〉 박탈 경험에 따른 조건부 사회적 지지체계의 유형화 184

〈표 6-3〉 지지체계와 사회적 불안 분석 방법 187

〈표 6-4〉 분석 대상의 일반적 특성 189

〈표 6-5〉 소득계층에 따른 박탈 경험률 191

〈표 6-6〉 19~44세 청년 및 초기중년의 부모 재산 수준에 따른 박탈 경험률 192

〈표 6-7〉 45~64세 중년 현재 소득계층과 20세 이전 소득계층에 따른 박탈 경험률 193

〈표 6-8〉 소득계층과 박탈 경험의 관계(Linear probability model) 194

〈표 6-9〉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지지체계 유형 195

〈표 6-10〉 소득계층, 박탈 경험에 따른 지지체계 유형 198

〈표 6-11〉 박탈 경험이 있는 집단의 계층별 지지체계 유형 200

〈표 6-12〉 소득계층, 박탈 경험과 지지체계 유형의 관계(Multinomial logistic model) 201

〈표 6-13〉 소득계층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03

〈표 6-14〉 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04

〈표 6-1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지지체계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 206

〈표 6-16〉 청년층과 노년층의 공적 지원 특성별 사회적 불안 경험자 비율 208

〈표 6-17〉 소득계층, 박탈 경험, 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09

〈표 6-18〉 박탈 경험이 있는 집단의 소득계층과 지지체계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 212

〈표 6-19〉 소득계층-박탈 경험-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차이 213

〈표 6-20〉 소득계층-박탈 경험-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차이: 청년층 216

〈표 6-21〉 소득계층-박탈 경험-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차이: 노년층 216

〈표 6-22〉 소득계층, 지지체계와 사회적 불안(Linear probability model) 219

〈표 6-23〉 소득계층, 지지체계와 사회적 불안(Linear probability model) 221

〈표 7-1〉 사회적 고립 개념의 측정 방법 229

〈표 7-2〉 연령집단별 사회적 고립 233

〈표 7-3〉 고립의 유형과 측정 240

〈표 7-4〉 투입 변수와 처리 242

〈표 7-5〉 고립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 비교 244

〈표 7-6〉 사회적 고립 유형별 기초분석 결과 246

〈표 7-7〉 사회적 고립의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한 영향 분석 결과 248

〈표 8-1〉 주요 활용 변수 255

〈표 8-2〉 전체, 청년 및 중년의 대처성향 257

〈표 8-3〉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불안 대처성향 258

〈표 8-4〉 불안 대처성향에 따른 사회적 불안 259

〈표 8-5〉 청년의 불안 대처성향에 따른 사회적 불안 260

〈표 8-6〉 중년의 불안 대처성향에 따른 사회적 불안 261

〈표 8-7〉 노년의 불안 대처성향에 따른 사회적 불안 262

〈표 8-8〉 해결 주체별 사회적 불안 수준 263

〈표 8-9〉 대처성향 별 삶의 만족도 264

〈표 8-10〉 삶의 만족도별 사회적 불안 수준 264

〈표 8-11〉 삶의 만족도 '상' 집단의 불안 대처성향별 사회적 불안 수준 265

〈표 8-12〉 삶의 만족도 '중' 집단의 불안 대처성향별 사회적 불안 수준 266

〈표 8-13〉 삶의 만족도 '하' 집단의 불안 대처성향별 사회적 불안 수준 266

〈표 8-14〉 코로나19 경험 여부별 사회적 불안 수준 267

〈표 8-15〉 코로나19 부정적 경험자의 대처성향별 사회적 불안 수준 268

〈표 8-16〉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단체ㆍ모임활동 270

〈표 8-17〉 단체ㆍ모임활동에 참여한 사회적 불안 수준 271

〈표 8-18〉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사회관계망 273

〈표 8-19〉 사회관계망 유무별 불안 수준 274

〈표 8-20〉 대처성향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275

〈표 8-21〉 대처성향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계속) 277

〈표 8-22〉 사회참여(정치ㆍ사회모임, 종교모임, 친목모임)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279

〈표 8-23〉 사회참여(정치ㆍ사회모임, 종교모임, 친목모임)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계속) 280

〈표 8-24〉 사회참여(주민참여나 활동)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282

〈표 8-25〉 사회참여(주민참여나 활동)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계속) 283

〈표 8-26〉 사회참여(공공여가문화시설)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284

〈표 8-27〉 사회참여(공공여가문화시설)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계속) 285

〈표 8-28〉 사회관계망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286

〈표 8-29〉 사회관계망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계속) 288

〈표 8-30〉 연구 결과 종합 291

〈표 9-1〉 사회적 불안 인식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와 정책전략 305

〈표 9-2〉 사회적 불안 인식 완화를 위한 정책제언: 불평등 대응 정책강화 308

〈표 9-3〉 사회적 불안 인식 완화를 위한 정책제언: 정책 신뢰 제고 309

〈표 9-4〉 사회적 불안 인식 완화를 위한 정책제언: 국민의 정신건강 강화 311

〈표 9-5〉 사회적 불안 인식 완화를 위한 정책제언: 인식지표의 관리와 사회정책 합리화 312

[그림 1-1] 연구의 구성 28

[그림 2-1] 주관적 불안에 대한 기존 연구 40

[그림 2-2] 사회적 불안 설명 변수 구성 틀 49

[그림 2-3] 1차 연도 연구 방법의 개요 52

[그림 2-4] 연령집단의 구분과 조사 대상의 구분 61

[그림 4-1] 사회적 불안 분석틀 113

[그림 4-2] 사회적 불안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 전체 응답자 117

[그림 4-3] 코호트별 중심성 지수 순위 비교 122

[그림 4-4] 전체 응답자의 사회적 불안 설명 요인 네트워크 128

[그림 4-5] 코호트별 사회적 불안 설명 요인 네트워크 130

[그림 5-1] 연구 모형 137

[그림 5-2] 개인 심리ㆍ불안 잠재계층 수 증가에 따른 AIC, BIC 변화 148

[그림 5-3] 개인 불안심리에 대해 분류된 잠재계층의 특성 151

[그림 5-4] 청중년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 영역 점수 154

[그림 5-5] 후기중년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 영역 점수 155

[그림 5-6] 노년 개인 심리ㆍ불안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 영역 점수 155

[그림 6-1] 소득계층, 지지체계, 사회적 불안의 구조 183

[그림 6-2] 연령 집단별 주요 변수의 특성 190

[그림 6-3] 19~44세 청년 및 초기중년의 부모 재산 수준에 따른 박탈 경험률 192

[그림 6-4] 45~64세 중년 현재 소득계층과 20세 이전 소득계층에 따른 박탈 경험률 193

[그림 6-5]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지지체계 유형 분포 196

[그림 6-6] 소득계층, 박탈 경험에 따른 지지체계 유형 199

[그림 6-7] 박탈 경험이 있는 집단의 소득계층별 지지체계 유형 분포 200

[그림 6-8] 소득계층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03

[그림 6-9] 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05

[그림 6-10]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07

[그림 6-11] 소득계층과 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10

[그림 6-12] 박탈 경험과 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10

[그림 6-13] 박탈 경험이 있는 집단의 소득계층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212

[그림 6-14] 소득계층-박탈 경험-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차이 214

[그림 6-15] 소득계층-박탈 경험-지지체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불안 인식 차이 217

[그림 7-1] OECD 주요국의 사회적 고립도 231

[그림 7-2] 사회적 지지 중심 사회적 고립의 변화 232

[그림 7-3] 사회단체 참여율 234

[그림 7-4] 주요 연령집단별 1인 가구 비율 235

[그림 8-1] 단체ㆍ모임활동 참여 유무별 사회적 불안 수준 271

[그림 9-1] 필요할 때 공적 지원을 쉽게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 비율 310

〈부표 1〉 사회적 불안 요소 간 부분 상관관계 329

〈부표 2〉 사회적 불안 영역과 설명변수 간의 부분 상관관계: 전체 샘플 대상 330

〈부표 3〉 코호트별 사회적 불안 영역과 설명 변수 간의 부분 상관관계 331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사회불안요소 # 사회적문제 # 사회적불안 # 사회보장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