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원 「테러정보통합센터」(TIIC)는 4월 30일, 지난해 국내외 테러정세를 평가하고 올해 테러 위협 요인을 진단한 ‘2023년 테러정세와 2024년 전망’ 책자(327쪽)를 발간함. 이번 책자는 ▲2023년 주요 테러 사건 및 통계 ▲우리나라 정세와 대테러 활동 ▲지역별ㆍ주요 국가별 테러정세 등으로 구성됨
□ 국정원은 2023년 테러정세 주요 특징으로 1) 코로나19 종식 이후 테러단체 활동 증가 2) ‘하마스 사태’에서 보여준 테러 패러다임 변화 3) 드론의 본격 테러수단化 등을 꼽음
1) 코로나19 종식 이후 국경통제 완화 등으로 테러단체 활동도 용이해짐에 따라, 全세계적으로 테러 사건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 전년 대비 13.5% 증가함
* 2022년 1,041건 → 2023년 1,182건(+13.5%)
2) ‘ISIS(이슬람국가)’ 등 테러단체들은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을 계기로 세력 확장과 조직 재건을 시도했음. 하마스는 고도의 심리전ㆍ동시다발적 공격, 신구(新舊) 무기 혼용 등 새로운 테러 수법도 사용함
3) 또 테러단체들이 공격ㆍ정찰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을 위협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특징적임
□ 국정원은 2024년에는 ‘하마스 사태’ 여파로 극단주의 세력ㆍ테러단체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함. 특히, 대중 운집 행사인 ‘7월 파리올림픽’이 주요 테러단체의 목표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11월 美 대선 등 여러 국가에서 선거를 앞두고 테러 세력들이 사회분열과 혼란을 야기하려는 시도에 대해 우려함
□ 우리나라는 아직 테러단체가 개입한 테러 사건은 없었지만, 국내 거주 외국인의 테러단체 지원 사례가 지속 적발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 또한 국정원은 우리 사회 내 특정인 또는 불특정 다수 대상 공격이나, 사제폭발물 등 고도화된 공격 수단 등장을 우려했으며, 북한이 무인기ㆍ동력 패러글라이더 등을 이용한 후방테러를 감행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음
[출처] 국정원, ‘2023년 테러정세와 2024년 전망’ 발표 (2024.04.30.) / 국가정보원 보도자료
□ 국정원은 2023년 테러정세 주요 특징으로 1) 코로나19 종식 이후 테러단체 활동 증가 2) ‘하마스 사태’에서 보여준 테러 패러다임 변화 3) 드론의 본격 테러수단化 등을 꼽음
1) 코로나19 종식 이후 국경통제 완화 등으로 테러단체 활동도 용이해짐에 따라, 全세계적으로 테러 사건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 전년 대비 13.5% 증가함
* 2022년 1,041건 → 2023년 1,182건(+13.5%)
2) ‘ISIS(이슬람국가)’ 등 테러단체들은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을 계기로 세력 확장과 조직 재건을 시도했음. 하마스는 고도의 심리전ㆍ동시다발적 공격, 신구(新舊) 무기 혼용 등 새로운 테러 수법도 사용함
3) 또 테러단체들이 공격ㆍ정찰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을 위협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특징적임
□ 국정원은 2024년에는 ‘하마스 사태’ 여파로 극단주의 세력ㆍ테러단체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함. 특히, 대중 운집 행사인 ‘7월 파리올림픽’이 주요 테러단체의 목표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11월 美 대선 등 여러 국가에서 선거를 앞두고 테러 세력들이 사회분열과 혼란을 야기하려는 시도에 대해 우려함
□ 우리나라는 아직 테러단체가 개입한 테러 사건은 없었지만, 국내 거주 외국인의 테러단체 지원 사례가 지속 적발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 또한 국정원은 우리 사회 내 특정인 또는 불특정 다수 대상 공격이나, 사제폭발물 등 고도화된 공격 수단 등장을 우려했으며, 북한이 무인기ㆍ동력 패러글라이더 등을 이용한 후방테러를 감행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음
[출처] 국정원, ‘2023년 테러정세와 2024년 전망’ 발표 (2024.04.30.) / 국가정보원 보도자료
목차
표제지
목차
개관 2
우리나라 테러위협 7
아시아 11
아프가니스탄 12
파키스탄 15
인도 18
방글라데시 21
인도네시아 23
필리핀 25
태국 27
말레이시아 29
중국 31
일본 32
호주 34
우즈벡, 카자흐, 타지키스탄 36
유럽 39
프랑스 40
독일 42
영국 45
스페인 48
튀르키예 50
러시아 52
스웨덴, 벨기에 54
중동 56
시리아 57
이라크 59
예멘 61
이스라엘 63
이란 66
수단, 이집트, 사우디, UAE 69
미주 72
미국 73
캐나다 77
콜롬비아 79
에콰도르 81
아프리카 83
나이지리아 84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87
소말리아 90
모잠비크 92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3년 테러정세 2024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