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발간사를 통해 “2023년 주요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 러-우 전쟁・중동지역 분쟁 등 지정학적 긴장 및 공급망 불안 확대, 글로벌 교역의 큰 폭 둔화와 IT 업황 부진 등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큰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였지만, 우리 국채시장은 “165.7조원의 국고채를 성공적으로 발행하며 우리 경제의 굳건한 버팀목 역할을 해주었다.”고 평가함
□ 또한, 외국인 국채 투자 비과세 및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IRC) 폐지 등 “국채 투자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외국인 국채 투자 제도를 보완․개선하였다”면서 향후 “최고 권위의 채권지수인 WGBI에 우리 국채가 조속히 편입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고 유동성 확대 등 국채 시장 활성화 노력도 병행하겠다”고 밝힘
□ 「국채 2023」 주요 내용
1. 2023년 국채시장 동향
(1) (금리) 글로벌 시장에 동조하여 높은 변동성을 보였으나, 4분기 이후 하락세
(2) (발행) 국고채 총 165.7조원 발행(’22년 168.6조원 대비 △2.9조원)
2. 2023년 주요 추진정책
(1) 안정적 국고채 발행
(2) 투자환경 개선 및 수요기반확대
(3) 개인투자용 국채 도입 추진
[출처] 국채 백서, 「국채 2023」 발간 (2024.04.16.)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목차
표제지
목차
Part 01. 의의 및 제도변천 9
01. 국채시장 개관 10
02. 국채 발행근거 11
03. 한국 국채시장의 발전 경과 12
(1) 외환위기 이전(~1997년) 12
(2) 외환위기 이후(1998년~2008년) 14
(3)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2009년~2019년) 16
(4) 코로나19 팬데믹 이후(현재~) 18
04. 국채의 종류 21
(1) 국채의 종류 21
(2) 국고채의 종류 22
05. 국채 투자자 24
(1) 개관 24
(2) 국채 투자자의 다변화 25
Part 02. 2023년 국고채 시장 27
01. 국내외 경제상황 28
02. 국채시장 동향(연간/월별) 29
(1) 연간 국채시장 동향 29
(2) 월별 국채시장 동향 31
03. 주요 추진 정책 36
(1) 안정적 국고채 발행 36
(2) 투자환경 개선 및 수요기반 확대 37
(3) 개인투자용 국채 도입 39
04. 외국인 채권투자 동향 40
Part 03. 국고채 발행시장 42
01. 의의 43
02. 입찰 방식 45
(1) 경쟁입찰 발행 45
(2) 일반인 우선배정(비경쟁인수Ⅰ) 48
(3) 전문딜러 비경쟁인수 발행(비경쟁인수Ⅱ, 옵션방식) 48
(4) 스트립조건부 비경쟁인수 발행(비경쟁인수Ⅲ) 49
(5)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비경쟁인수Ⅳ) 49
03. 국고채 통합발행제도 50
04. 국고채 상환 53
(1) 국고채 상환 53
(2) 조기상환(Buy-back) 54
(3) 국고채 교환(Conversion Offer) 55
05. 일반인의 국고채 입찰 참여 56
06. 개인투자용 국채 58
(1) 개념 및 도입 배경 58
(2) 추진 경과 58
(3) 개인투자용 국채의 특성 60
(4) 기대 효과 61
Part 04. 국고채 유통시장 63
01. 의의 64
02. 채권유통시장의 유형 65
03. 국채전문유통시장 67
(1) 개요 67
(2) 시장제도 67
(3) 평가 68
04. 장외시장 71
(1) 개요 71
(2) 거래 현황 71
(3) 거래 방식 72
(4) 주요제도 73
Part 05. 국고채전문딜러제도 77
01. 의의 78
02. 도입 배경 79
03. 제도 변천 80
04. 국고채전문딜러 지정 82
05. 국고채전문딜러 의무 85
06. 국고채전문딜러의 권한 및 인센티브 89
Part 06. 국채의 관리제도 91
01. 의의 92
02. 상장제도 92
(1) 상장의 의의 92
(2) 상장의 장점 93
(3) 채권 및 국채 상장 93
03. 발행ㆍ유통을 위한 전자증권제도 95
(1) 전자증권제도의 의의 95
(2) 전자증권제도상 채권 및 국채의 발행 및 유통 97
(3) 증권표준코드 98
04. 청산ㆍ결제제도 100
(1) 청산ㆍ결제제도 의의 100
(2) 청산기관을 통한 결제위험 축소 101
(3) 국채전문유통시장의 청산ㆍ결제제도 103
05. 시가평가제도 105
Part 07. 외국인 국고채 투자 107
01. 개관 108
02. 외국인 투자 모니터링 시스템 110
03. 외국인 투자 절차 111
(1) 외국인의 채권투자 절차 111
(2) 외국인의 채권투자자금 예치ㆍ처분 113
(3) 국제예탁결제기구(ICSD) 국채통합계좌 개설 시 114
04. 외국인에 대한 채권 과세제도 115
05. 한국은행의 증권 보관서비스(Custody Service) 제공 117
Part 08. 국고채 연관시장 118
01. 의의 119
02. 국고채 환매조건부 채권매매(Repurchase Agreement, Repo) 120
(1) Repo 거래의 이해 120
(2) Repo거래의 경제적 의미 121
(3) 우리나라 Repo 시장에서의 국고채 활용 121
03. 국채선물 122
(1) 국채선물 시장 개요 122
(2) 국채선물 거래의 도입 목적 123
(3) 국채선물 거래의 특징 124
04. 국고채 원금이자분리채권(STRIPS) 128
(1) 개요 128
(2) 우리나라의 국고채 스트립 시장 129
05. 국고채 ETF(Exchange Traded Fund) 130
(1) 개요 130
(2) 국고채 ETF 장점 131
(3) 국고채 ETF 투자위험 133
[Annex] Statistics 134
01. 국고채 주요 현황 135
02. 2023년 국고채 만기물별 발행 현황 141
03. 국고채 발행잔액 및 잔존만기 구조 143
04. 연도별 국고채 만기도래 규모('23년 말 기준) 144
05. 연도별 국채 발행 현황 145
06. 채권종류별 발행 추이 146
07. 채권종류별 잔액 추이 147
08. 채권종류별 거래량 추이 148
09. 채권종류별 회전율 149
10. 외국인 채권종류별 보유 추이 150
판권기 151
〈표 1-1〉 국고채 평균 잔존만기(기말기준) 17
〈표 1-2〉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채권시장 연혁 19
〈표 1-3〉 국채의 종류 22
〈표 1-4〉 주요 국고채 투자기관 24
〈표 2-1〉 주요 실물경제지표 동향 28
〈표 2-2〉 2023년 상반기 국고채 금리 추이 33
〈표 2-3〉 2023년 하반기 국고채 금리 추이 35
〈표 2-4〉 국고채 발행 추이 36
〈표 3-1〉 국고채 응찰률 추이 46
〈표 3-2〉 국고채 발행 종목별 통합발행기간 51
〈표 3-3〉/〈표 3-4〉 연도별 조기상환 규모 54
〈표 3-4〉/〈표 3-5〉 연도별 국고채 교환 규모 55
〈표 3-5〉/〈표 3-6〉 국고채와 개인투자용 국채 비교 59
〈표 4-1〉 국채전문유통시장 거래제도 개관 68
〈표 4-2〉 국채전문유통시장의 지표종목 최우선 호가스프레드 추이 69
〈표 4-3〉 채권 종류별 장외거래 추이 72
〈표 4-4〉 장내 시장과 장외 시장 비교 73
〈표 4-5〉 수익률 공시대상채권 75
〈표 5-1〉 PD-PPD 현황('23.12월말 기준) 81
〈표 5-2〉 재무건전성 기준 82
〈표 5-3〉 인력 및 경력 기준 84
〈표 5-4〉 실적 기준 84
〈표 5-5〉 PD 분기별 평가 배점('23.10월부터 적용) 86
〈표 5-6〉 PD 월별 평가 배점('23.10월부터 적용) 88
〈표 5-7〉 '23년 상반기 및 '23년 하반기 우수PD 현황 90
〈표 6-1〉 국고채의 주요 상장 반영일 93
〈표 6-2〉 표준코드의 기본체계 99
〈표 6-3〉 국고채권 03625-5309(23-7) (2023년 9월 발행) 표준코드 예시 99
〈표 6-4〉 장내외 국채거래의 결제방식 비교 101
〈표 6-5〉 채권평가회사의 조기정착을 위한 정책 106
〈표 7-1〉 외국인 국내채권 보유규모 108
〈표 7-2〉 FIMS 업무개요 110
〈표 7-3〉 한국은행의 증권 Custody Service 업무 개요 117
〈표 8-1〉 국채선물 일평균 거래량 123
〈표 8-2〉 채권가격하락(금리상승)시 헤지거래 예시 123
〈표 8-3〉 국채선물 상품 126
〈표 8-4〉 주요 금융상품 간 비교 132
[그림 1-1] 채권종류별 발행잔액 비중 및 거래비중 10
[그림 1-2] 국채 종류별 발행량 및 발행잔액(2022년말 기준) 22
[그림 1-3] 장단기 국고채 발행 및 유통 비중 추이 23
[그림 1-4] 물가채 발행잔액 및 거래량 추이 23
[그림 1-5] 국고채 보유 비중 24
[그림 1-6] 외국인 국고채 보유 추이 25
[그림 2-1] 2023년 국고채 발행 추이 29
[그림 2-2] 2023년 국고채 유통 추이 29
[그림 2-3] 2023년 국고채 금리 추이 30
[그림 2-4] 2023년 연물별 금리 동향 30
[그림 2-5] 중장기 외국인 채권보유잔액 추이 41
[그림 2-6] 연도별 외국인 채권보유잔액 추이 41
[그림 2-7] 2021-2023년 월별 외국인 채권 순투자 추이 41
[그림 3-1] 국고채 입찰 및 발행과정 44
[그림 3-2] 국고채 발행 종목 수 및 평균 발행액 51
[그림 3-3] 국고채 상환 과정 53
[그림 4-1] 만기별 국고채 일평균 거래량 64
[그림 4-2] 국고채 거래 회전율 64
[그림 4-3] 채권유통시장의 유형 66
[그림 4-4] 국고채 발행량 및 국채전문유통시장 거래량 추이 69
[그림 6-1] 전자증권제도 계좌 구조 95
[그림 6-2] 채권 전자등록발행 절차 96
[그림 6-3] 채권의 전자등록 발행 흐름도 97
[그림 6-4] 한국의 증권표준코드 발급 프로세스 98
[그림 6-5] 양자 간 차감 및 다자간 차감의 비교 102
[그림 6-6] 주요 금융시장 청산ㆍ결제 인프라 현황 103
[그림 7-1] 외국인의 채권투자 절차 111
[그림 7-2] 외국인이 본인 명의의 계좌를 개설하는 경우 113
[그림 7-3] 외국인이 투자중개업자 명의의 계정을 이용하는 경우 114
[그림 7-4] 비거주자 등의 투자 형태에 따른 비과세 신청 절차 116
[그림 8-1] Repo 거래 구조 120
[그림 8-2] 국고채 현물(발행, 유통) 및 선물시장 간 시장연계구조 127
[그림 8-3] 국고채 원금이자 분리 사례 128
[그림 8-4] 국고채 스트립 잔액 및 행사비중 129
[그림 8-5] ETF 시장 구조 13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국채.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