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감소와 고령화, 국제 경쟁력 저하와 사회 변화 가속화 등에 대응하여 일본이 목표로 하는 국가상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인재전략」을 제시
□ 일본이 지향하는 국가상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혁신 인재의 6가지 능력과 이러한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체계 및 환경 구축을 위한 전략 제시
□ 주요 내용
1) 혁신 인재와 ‘협력하는(collaborative)’ 사회 구현
- 편견 타파, 다양성에 대한 사회수용성 제고, 윤리관 확립, 과학 커뮤니케이션 강화
- 글로벌 시각과 과학 문해력 강화
2) 차세대 인재 육성
-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환경・시스템 구축
- STEAM 교육 강화, 협업 능력 양성, 유학 등 국제 경험 강화
- 기업가 정신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함양
3) 인재 육성의 근본적 강화
- 혁신 활동의 핵심인 박사과정 학생 및 연구자, 엔지니어, 기술사, 관리자 등 이공계 역량 강화
4) 유동성 확보・선순환
- 고급 전문 인력이 조직을 넘어 개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용 유동성과 안정성 동시 실현
- 글로벌 학생-대학 간 교류 촉진, 해외 우수인재 유치 등 국제 두뇌 순환 활성화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일본이 지향하는 국가상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혁신 인재의 6가지 능력과 이러한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체계 및 환경 구축을 위한 전략 제시
□ 주요 내용
1) 혁신 인재와 ‘협력하는(collaborative)’ 사회 구현
- 편견 타파, 다양성에 대한 사회수용성 제고, 윤리관 확립, 과학 커뮤니케이션 강화
- 글로벌 시각과 과학 문해력 강화
2) 차세대 인재 육성
-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환경・시스템 구축
- STEAM 교육 강화, 협업 능력 양성, 유학 등 국제 경험 강화
- 기업가 정신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함양
3) 인재 육성의 근본적 강화
- 혁신 활동의 핵심인 박사과정 학생 및 연구자, 엔지니어, 기술사, 관리자 등 이공계 역량 강화
4) 유동성 확보・선순환
- 고급 전문 인력이 조직을 넘어 개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용 유동성과 안정성 동시 실현
- 글로벌 학생-대학 간 교류 촉진, 해외 우수인재 유치 등 국제 두뇌 순환 활성화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50年を見据えた「シン・ニッポンイノベーション人材戦略」(案)
(2050년을 전망한 「신일본혁신인재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