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7월 2일 '경제분석'에 게재한 논문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에서 출산지원급을 지급하는 저출생 정책이 합계출산율을 끌어올리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함
□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지원금을 1만원 지급 시 합계 출산율이 0.0003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출산지원금 100만원을 지급할 때 합계출산율은 0.03명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는 것임
□ 육아 부문의 아동 1인당 인프라 예산액은 100만원 늘어날 경우 합계출산율이 0.096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출산지원금을 분할 방식으로 지급하는 것보다 일시금으로 지급할 때 출산율 제고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출처] “출산지원금 100만원 지급 시 출산율 0.03명 올라” (2024.07.03.) / 뉴시스
□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지원금을 1만원 지급 시 합계 출산율이 0.0003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출산지원금 100만원을 지급할 때 합계출산율은 0.03명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는 것임
□ 육아 부문의 아동 1인당 인프라 예산액은 100만원 늘어날 경우 합계출산율이 0.096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출산지원금을 분할 방식으로 지급하는 것보다 일시금으로 지급할 때 출산율 제고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출처] “출산지원금 100만원 지급 시 출산율 0.03명 올라” (2024.07.03.) / 뉴시스
목차
I. 서론 2
II. 선행연구 고찰 3
1. 해외 선행연구 3
2. 한국 선행연구 5
III. 변수 구성 및 분석 모형 9
1. 데이터 및 변수 구성 9
2. 변수의 추이 및 기초통계량 17
3. 분석모형 21
IV. 분석 결과
1. 회귀분석 결과 22
2. 강건성 검증 26
3. 분석에 대한 요약 28
V. 결론 28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 : 현금정책과 비현금정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