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지] 1
머리말 / Petteri Taalas ; Inger Andersen 6
서문 / Hoesung Lee ; Abdalah Mokssit 8
목차 12
이 종합보고서에 인용된 출처 15
2023 기후변화 종합보고서 :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 16
소개 18
A. 현황 및 추세 19
Box SPM.1 AR6 종합보고서에서 시나리오 및 모델링된 경로의 사용 24
B. 미래 기후변화, 리스크 및 장기적 대응 27
C. 단기적 대응 39
2023 기후변화 종합보고서 50
섹션 1. 소개 52
섹션 2. 현황 및 추세 56
2.1. 관측된 변화, 영향 및 속성 57
2.1.1. 관측된 온난화와 그 원인 57
2.1.2. 현재까지 관측된 기후 시스템 변화 및 영향 61
2.2. 현재까지 이행된 대응 67
2.2.1. 전지구적 정책 설정 67
2.2.2. 현재까지의 완화 행동 67
2.2.3. 현재까지의 적응 행동 70
2.3. 불충분한 현재의 완화 및 적응 조치와 정책 72
2.3.1. 온난화를 1.5 또는 2℃ 이하로 제한하는 완화 정책, 공약 및 경로 사이의 격차 72
Cross-Section Box.1: 넷제로 CO₂와 넷제로 GHG 배출에 대한 이해 75
2.3.2. 적응 격차 및 장애요인 76
2.3.3. 기후 행동의 장애요인으로서의 금융 부족 77
Cross-Section Box.2: 시나리오, 지구온난화 수준 및 리스크 78
섹션 3. 장기 기후 및 개발 미래 82
3.1. 장기 기후변화, 영향 및 관련 리스크 83
3.1.1. 장기 기후변화 83
3.1.2. 영향 및 관련 리스크 86
3.1.3. 갑작스럽고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의 가능성과 리스크 92
3.2. 장기 적응 옵션 및 한계 93
3.3. 완화 경로 97
3.3.1. 잔여탄소배출허용총량 97
3.3.2. 넷제로 배출: 시기와 시사점 100
3.3.3. 완화에 대한 부문별 기여 101
3.3.4. 오버슛 경로: 리스크 증가 및 기타 영향 102
3.4. 적응, 완화 및 지속가능발전 간의 장기적인 상호 작용 103
3.4.1. 시너지와 상충효과, 비용과 편익 103
3.4.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통합 기후 행동 추진 104
섹션 4. 변화하는 기후에서의 단기적 대응 106
4.1. 기후 행동의 시기와 긴급성 107
4.2. 단기 행동 강화의 편익 110
4.3. 단기 리스크 112
4.4. 기후변화 행동에 대한 형평성과 포용 116
4.5. 단기 완화 및 적응 행동 117
4.5.1. 에너지 시스템 119
4.5.2. 산업 119
4.5.3. 도시, 정주지 및 기반시설 120
4.5.4. 토지, 해양, 식량 및 물 121
4.5.5. 건강과 영양 121
4.5.6. 사회, 생계 및 경제 122
4.6.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적응 및 완화의 공동편익 123
4.7. 단기 기후변화 행동을 위한 거버넌스 및 정책 125
4.8. 대응 강화: 금융, 국제협력 및 기술 126
4.8.1. 완화 및 적응 행동을 위한 금융 126
4.8.2. 국제 협력 및 조정 127
4.8.3. 기술 혁신, 채택, 확산 및 이전 128
4.9. 부문 및 시스템 전반에 걸친 단기 행동의 통합 129
부속서 132
부속서 I. 용어집 134
부속서 II. 약어, 화학 기호 및 과학 단위 146
부속서 III. 기여자 150
부속서 IV. AR6 SYR 전문 검토자 158
부속서 V.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보고서 174
색인 178
판권기 185
[뒷표지] 186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기후변화 2023 종합보고서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