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01. 연구개요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5
02. AI비즈니스 생태계 및 국내외 정책 현황 17
1. AI비즈니스 생태계 18
2. 국내외 AI정책 22
03. AI 인재양성 및 인력 공급 체계 40
1. AI인재의 정의 41
2. AI인재 공급 현황 46
04. AI산업 실태 및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정책 수요 55
1. 조사 설계 및 개요 56
2. AI산업 실태 61
3. AI정책 수요 78
4. 주요 시사점 101
05. 서울시 AI산업 발전계획 105
1. 주요 현안과 중점과제 106
2. 중점과제별 세부방안 110
참고문헌 120
Abstract 122
판권기 125
[표 2-1]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국내외 AI생태계 19
[표 2-2] 호라이즌 유럽 프로그램 및 주요 내용 31
[표 2-3] 글로벌 AI클러스터 성공요인 33
[표 3-1] AI인재의 분류(추형석, 2019) 42
[표 3-2] 선행연구의 AI인재 육성 방향 44
[표 3-3] AI인재의 분류(2022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 45
[표 3-4] 전국 AI분야 종사자 46
[표 3-5] 2022년 직업별 AI인재 현황 47
[표 3-6] SWㆍAI전문인력 총수요 전망 48
[표 3-7] SWㆍAI전문인력 가운데 대학원의 비중 49
[표 3-8] SWㆍAI전문인력 수요 시산 49
[표 3-9] AI 관련 학과 수(2022년) 50
[표 3-10] 2025~2030년 AI전문인력 수요 및 공급 53
[표 4-1] 조사대상 표집틀 57
[표 4-2] 조사 개요 57
[표 4-3] AI기업의 주요 사업분야 58
[표 4-4] 대학원생 학부의 학과별 분포 60
[표 4-5] 전문가 델파이조사 대상의 주요 AI 활동분야 60
[표 4-6] AI분야 매출액 규모별 기업 수 및 연구개발비 합계 61
[표 4-7] AI기업 단독 및 공동특허 여부 62
[표 4-8] AI종사자 가운데 분야별 비중 67
[표 4-9] AI기업의 AI분야별 인재 여부 68
[표 4-10] 2024년 AI기업의 AI인재 채용계획 여부 68
[표 4-11] AI대학원생의 논문 및 특허 여부 72
[표 4-12] AI대학원생의 차후 경력경로 73
[표 4-13] AI대학원 연구실의 인적구성과 여부 78
[표 4-14] AI R&D 여부 현황 79
[표 4-15] 서울시 AI정책에 대한 중요성과 시급성 87
[표 4-16] 서울시 AI 인재양성 저해요인 90
[표 4-17] 중앙정부 및 서울시의 AI 인재양성 추진과제 91
[표 4-18] 서울시 AI기업 지원 저해요인 92
[표 4-19] 중앙정부 및 서울시의 AI기업 지원 추진과제 93
[표 4-20] 서울시 AI R&D 및 협업 저해요인 95
[표 4-21] 중앙정부 및 서울시의 AI R&D 및 협업 추진과제 96
[표 4-22] 선호되는 양재 AI클러스터 운영 주체와 역할 98
[표 4-23] 양재 AI클러스터 조직체계 99
[표 4-24] 중앙정부 및 서울시의 AI생태계 활성화 추진과제 100
[표 5-1] KAIST 양재산학캠퍼스 부설 연구센터 112
[표 5-2] KAIST 양재산학캠퍼스 산학 프로그램 113
[표 5-3] 서울시 AI R&D 프로그램 구성 114
[표 5-4] 서울시 AI핵심인재 양성 프로그램 114
[그림 2-1] 생성형 AI의 등장에 따른 AI스타트업의 AI 개발 변화 20
[그림 2-2] AI스타트업의 성장단계 20
[그림 2-3] 미국의 주요 AI클러스터 22
[그림 2-4] 캐나다의 주요 AI클러스터 23
[그림 2-5] 중국의 주요 AI클러스터 24
[그림 2-6] 세계 톱 10 R&D 투자 선도국 26
[그림 2-7] 국가별 1인당 GDP 대비 AI연구논문 수 26
[그림 2-8] 인공지능 국가전략 비전 및 목표 35
[그림 2-9] 인공지능 국가전략 인포그래픽 36
[그림 3-1] AI인력의 수요별 인재의 구분 44
[그림 3-2] AI 관련 학과 입학자 수 51
[그림 3-3] SW/전산/컴퓨터공학 학과 입학자 수 52
[그림 4-1] AI기업 종사자 규모 및 사업 시작연도별 분포 59
[그림 4-2] AI기업의 분포 59
[그림 4-3] AI종사자 규모 및 사업 시작연도별 분포 63
[그림 4-4] AI기업의 기술분야(1순위 및 2순위) 63
[그림 4-5] AI기업 제품 및 서비스 구매처 업종 64
[그림 4-6] AI기업의 학습용 데이터 확보 방안 64
[그림 4-7] 향후 유망한 AI 응용 산업 분야와 진출을 고려하는 신규 응용 산업 분야 65
[그림 4-8] AI기업이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있어 느끼는 애로사항 66
[그림 4-9] AI기업이 투자유치 및 기술교류에 있어 느끼는 애로사항 67
[그림 4-10] 향후 5년간 기업이 필요한 AI인재의 수요 69
[그림 4-11] AI고급인재를 수급하는 방법 70
[그림 4-12] AI인재 인력수급에 있어 느끼는 애로사항 70
[그림 4-13] AI대학원생 학부 학과의 AI 연관성 71
[그림 4-14] AI대학원 입학 전 종사한 직장의 산업분류 71
[그림 4-15] AI대학원생의 희망하는 직장 72
[그림 4-16] AI대학원생이 구직 시 어려움을 겪는 부분 73
[그림 4-17] AI인재에게 제시하는 연봉 수준 74
[그림 4-18] AI대학원생의 희망 연봉 74
[그림 4-19] AI기업과 AI대학원생 간 희망 연봉 인식 차이 75
[그림 4-20] AI기업의 채용 주요 고려사항 76
[그림 4-21] AI기업(수요)과 석사과정(공급)의 인식 차이 77
[그림 4-22] AI기업(수요)과 박사과정(공급)의 인식 차이 77
[그림 4-23] R&D에 느끼는 애로사항 80
[그림 4-24] AI원천ㆍ융합연구의 필요성 81
[그림 4-25] 공동(협력)연구가 필요한 분야 82
[그림 4-26] 산ㆍ학ㆍ연 공동(협력)연구가 어려운 이유 83
[그림 4-27] 산ㆍ학ㆍ연 공동(협력)연구를 통해 기대하는 바 84
[그림 4-28] 공동(협력)연구에 대해 선호하는 기관 유형 84
[그림 4-29] 양재 AI클러스터 인지 여부 85
[그림 4-30] 양재 AI클러스터가 추진할 정책 우선순위 85
[그림 4-31] 양재 AI클러스터를 추진할 운영주체 86
[그림 4-32] 양재 AI클러스터의 우선가치 86
[그림 4-33] 서울시 AI 인재양성 고려사항 89
[그림 4-34] 산ㆍ학ㆍ연 공동(협력)연구 기대효과(상: 1차 조사, 하: 2차 조사) 94
[그림 4-35] 산ㆍ학ㆍ연 공동(협력)연구 저해요인(상: 1차 조사, 하: 2차 조사) 95
[그림 4-36] 양재 AI클러스터 우선가치(상: 1차 조사, 하: 2차 조사) 97
[그림 5-1] 서울시 AI산업 발전에 대한 중앙정부와 서울시 간 역할 107
[그림 5-2] 서울시 AI산업 발전 중점과제 도출 108
[그림 5-3] 서울시 AI산업 발전 비전체계도 109
[그림 5-4] 글로벌 AI혁신축 조성 110
[그림 5-5] 서울시 AI펀드 조성 117
[그림 5-6] AI기술 수요-공급 매칭 플랫폼 117
[그림 5-7] AI글로벌 연구지원센터의 주요 기능 119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서울시 AI산업 실태분석과 발전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