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기후변화 리스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기후대응 시나리오별 분석

□ 한국은행·금융감독원·기상청은 11월 4일 발표한「기후변화 리스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기후변화 위험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을 경우 우리나라 성장률이 2100년까지 연평균 0.3%포인트씩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함

□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 위험은 탄소가격 상승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산업의 생산비용 증가, 국내외 온도 상승·강수 증가 피해, 태풍 등 자연재해 빈도·규모 확대 등을 통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시나리오별 분석 결과, 한국을 비롯해 세계가 별도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 2100년쯤에 국내총생산은 기준 시나리오보다 21%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 2024년부터 210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0.30%p씩 깎이는 셈임

□ 또한 기후위험에 대응하지 않는 시나리오에서 2100년에 가까워질수록 우리나라 생산자물가도 기준 시나리오보다 1.8% 더 높아짐
 - 다만,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시나리오에서는 2100년 생산자물가 추가 상승률이 1.9%로 오히려 '무대응' 경우보다 높았음. 한국은행은 탄소가격 정책 도입 등으로 기업의 생산 비용이 늘어 2050년까지 집중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함


[출처] “기후변화 대응 안 하면…한국 성장률, 2100년까지 연 0.3%p↓” (2024.11.04.)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1

목차 1

Ⅰ. 시나리오 개요 2

Ⅱ. 전환 및 물리적 리스크 5

1. 전환 리스크 5

1.1. 추정 방법 5

1.2. 시나리오별 추정치 5

2. 물리적 리스크 8

2.1. 추정 방법 8

2.2. 시나리오별 추정치 9

Ⅲ. 거시경제적 영향 11

1. 성장ㆍ물가: 전환ㆍ만성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11

1.1. 분석 방법론 11

1.2. 분석 결과 13

2. 자연재해 피해: 급성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22

2.1. 분석 방법론 22

2.2. 분석 결과 23

3. 기타 변수(금리ㆍ실업률) 25

3.1. 분석 방법론 25

3.2. 분석 결과 25

Ⅳ. 시사점 27

참고문헌 42

〈표 1〉 기상청 기후변화 표준시나리오와 NGFS 시나리오의 경로별 연계 9

〈표 2〉 지역별 태풍ㆍ홍수 피해 규모(상위 5개 지역 기준) 23

〈그림 1〉 기후대응 경로 2

〈그림 2〉 기후변화 시나리오 구조 3

〈그림 3〉 NGFS의 전환 리스크 추정모형 개요 5

〈그림 4〉 탄소배출량 감축 경로 5

〈그림 5〉 탄소가격 경로 6

〈그림 6〉 재생에너지 보급 경로 7

〈그림 7〉 탄소 포집ㆍ저장 기술 보급 경로 7

〈그림 8〉 우리나라 연평균기온 변화 경로 9

〈그림 9〉 우리나라 폭염일수 변화 경로 9

〈그림 10〉 우리나라 연평균강수량 변화 경로 10

〈그림 11〉 극한 강수량 변화 10

〈그림 12〉 성장ㆍ물가 분석 방법론 개요 11

〈그림 13〉 전환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12

〈그림 14〉 국내 만성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12

〈그림 15〉 해외 만성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13

〈그림 16〉 GDP에 미치는 영향 14

〈그림 17〉 리스크별 GDP 영향 14

〈그림 18〉 주요 전환 리스크 취약산업의 부가가치 변화 16

〈그림 19〉 주요 만성 리스크 취약산업의 부가가치 변화 17

〈그림 20〉 생산자물가 영향 18

〈그림 21〉 주요 전환 리스크 취약산업의 생산자물가 변화 19

〈그림 22〉 주요 만성 리스크 취약산업의 생산자물가 변화 20

〈그림 23〉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의 탄소비용 전가 정도에 따른 부가가치 변화 21

〈그림 24〉 급성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22

〈그림 25〉 전국 태풍ㆍ홍수 피해 규모 24

〈그림 26〉 지역별 태풍ㆍ홍수 피해 규모 24

〈그림 27〉 금리 변화 26

〈그림 28〉 실업률 변화 26

박스목차 29

BOX 1. 물리적 리스크(기후변화 요소) 산출 방법론 29

BOX 2. 전환 리스크 영향 추정 방법론 31

BOX 3. 국내 만성 리스크 영향 추정 방법론 34

BOX 4. 해외 만성 리스크 영향 추정 방법론 36

BOX 5. 리스크(전환ㆍ만성)별 취약산업 38

BOX 6. 홍수 피해 추정 방법론 40

박스표목차 30

〈표 A1〉 표준시나리오의 기후지수 구성 항목 및 정의 30

박스그림목차 29

〈그림 A1〉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생산체계(전지구→동아시아→남한상세) 29

〈그림 A2〉 지구시스템모델 발전 단계 29

〈그림 A3〉 해외 만성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36

〈그림 A4〉 전환ㆍ만성 리스크가 산업별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38

해시태그

#기후변화 # 실물경제 # 기후변화와경제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기후변화 리스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기후대응 시나리오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