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4) 한국의 사회동향

Ⅰ. 인구, 가구‧가족, 사회통합 영역 - 2020년 40대 미혼자 비율이 2000년 대비 남성 6.7배, 여성 5.7배 증가 - 2000년 이후 지역 간 인구불균형은 출생보다 지역간 인구이동이 더 주요한 요인 - 2022년 가족돌봄청년의 36.6%는 가족돌봄으로 인해 미래 계획을 세우기 어려움 - 갈등인식이나 정책태도의 경우, 청년세대 내 남녀 차이보다 시기별 차이가 두드러짐

Ⅱ. 주거, 건강, 범죄・안전 영역 - 2022년 65세 이상 노인가구의 74.9%가 자가 거주, 도지역은 62.3%가 단독주택 거주 - 2023년 65세 이상 노인 외래 처방환자의 5개 이상 다약제(90일 이상) 비율은 41.8% - 2022년 비만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11만 2천 명으로 전년대비 7.5% 크게 증가 - 2023년 마약류 범죄로 단속된 인원은 2만 8천 명으로 10년간 2.8배 증가

Ⅲ. 여가, 주관적 웰빙, 노동, 생활환경 영역 - 50~64세 신중년은 비활동적 여가 참여가 많지만, 만족도는 활동적 여가에서 높으며, 행복 수준이 낮은 집단은 보다 단조로운 여가활동에 치중되어 있음 - 50대 여성은 사회적 교류가 활발하나, 사회적 지지는 취약하고 외로움 인지율이 높음 - 40~64세 중장년층 취업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0~2023년 301만 명 증가 - 2023년 상반기 기준, GPT로 보완 가능 일자리(16.0%)가 대체 가능 일자리(9.8%) 보다 많음 -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변화양상은 남부와 중부가 다르며, 연간 생산성의 변동폭 확대


(출처: 통계청)

목차

목차 1

한국의 사회동향 2024 1

「한국의 사회동향 2024」 요약 4

Ⅰ. 인구, 가구ㆍ가족, 사회통합 영역 8

1. 미혼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가치관 변화 [계봉오, 국민대학교] 8

2. 지역인구의 변화: 저출생과 인구이동 [황선재, 충남대학교] 10

3. 가족돌봄청년(Young carer)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돌봄 상황 [김주현, 충남대학교] 12

4. 청년세대의 젠더 격차 [박선경, 고려대학교] 14

Ⅱ. 주거, 건강, 범죄ㆍ안전 영역 15

5. 노인가구의 주거특성과 주거문제 [고진수, 광운대학교] 15

6. 노인의 다약제 및 노인주의약물 사용 실태 [지성환ㆍ정희원, 서울아산병원] 17

7. 비만 관련 질병의 사망위험 [이석민, 통계청 통계개발원] 19

8. 마약류 오ㆍ남용 실태 [강은영, 한국형사ㆍ법무정책연구원] 21

Ⅲ. 여가, 주관적 웰빙, 노동, 생활환경 영역 22

9. 신중년의 여가와 행복 [배재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2

10. 중장년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웰빙 [심수진, 통계청 통계개발원] 24

11. 인구구조 변화와 중장년 노동시장 [함선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권현지, 서울대학교] 26

12. 인공지능(AI)이 일자리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전병유, 한신대학교] 27

13. 기후변화와 농작물 생산 변화 [김광수, 서울대학교] 29

[부록] 「한국의 사회동향 2024」 영역별 논문제목 및 집필진 30

해시태그

#사회동향 # 사회조사 # 인구동향 # 사회통계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4) 한국의 사회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