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2023년 국제정세 및 외교정책 기조
제1절 국제정세 개관 008
제2절 외교정책 기조 024
제2장 한반도의 자유·평화·번영과 역내 협력
제1절 북한 비핵화 추진 034
제2절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구현 040
제3절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및 한·미·일 3국 협력 강화 045
제4절 보편가치와 공동번영을 위한 동아시아 외교 054
제3장 인도-태평양 전략과 지역별 협력 네트워크
제1절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 068
제2절 아세안 및 인도-태평양 지역 외교 071
제3절 유럽·중앙아시아 지역 외교 087
제4절 미주 지역 외교 115
제5절 아프리카·중동 지역 외교 139
제6절 지역협의체 외교 167
제4장 경제안보 및 과학기술 외교
제1절 능동적 경제안보외교 및 주요국 경제외교 178
제2절 지역 및 글로벌 경제외교 193
제3절 기후·환경외교 및 에너지·자원 협력 200
제4절 과학기술외교 및 북극 협력 213
제5장 국격에 걸맞은 글로벌 중추국가 역할 강화
제1절 국제 평화·안보 증진 및 인권·민주주의 기여 222
제2절 원자력 협력 및 군축·비확산, 수출통제·제재 외교 234
제3절 선진국형 국제개발협력 추진 244
제4절 외교관계 및 대외활동의 법적 기반 확충 258
제5절 공공외교 266
제6장 국민과 함께하는 외교
제1절 국민과 함께하는 외교 282
제2절 외교 사안에 대한 국민적 지지 확보 285
제3절 재외국민 지원 및 보호 강화 291
제4절 재외국민 편익 증진 303
제7장 외교인프라 및 역량 강화 노력
제1절 조직 및 인사 308 제2절 교육 및 연구 활동 311
부록
1. 외교부 조직도 318
2. 외교관계 수립 현황 320
3. 재외공관 현황 323
4. 남 ·북한 국제기구 가입 현황 326
5. 2023 년 해외 순방 및 외빈 방한 현황 332
6. 경제 ·통상 관계 현황 333
7. 2023 년 조약 발효 현황 337
8. 사증면제협정 체결 현황 339
9. 운전면허 상호인정 현황 343
10. 여권 발급 및 해외여행자 현황 346
11. 2023 년 주요 국제 관계 일지 34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3년도 국제정세와 외교활동 (외교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