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3
2.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4
가. 보고서의 구성 4
나. 연구방법 5
다. 조사의 한계 6
II. 조사개요 및 사업체 일반현황 7
1. 조사개요 9
가. 조사연혁 9
나. 2023년 기준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 개요 11
다. 표본설계 14
라. 오차분석 25
2. 사업체 일반 현황 34
III. 임신 및 출산지원제도 활용 실태 47
1. 출산전후휴가제도 49
2. 배우자출산휴가제도 61
3. 임신기근로시간단축제도 75
4. 임신 및 출산 시기의 여성 근로자 고용 상황 91
5. 난임치료휴가제도 94
6. 기타 모성보호제도 105
가. 태아검진시간 보장 105
나. 유산·사산휴가 105
다. 생리휴가 105
라. 임신 중 시간외근로 금지 105
마. 임신 중 쉬운 근로로 전환 106
바. 임신 중 위험·유해직종 근무 금지 106
사. 임신 중 야간·휴일근로의 제한 106
아. 출산 후 시간외근로 금지 106
자. 수유시간 제공 107
차. 임신 근로자 출·퇴근시간 변경 107
IV. 육아 등 돌봄지원제도 활용 실태 111
1. 육아휴직제도의 현황 113
가. 육아휴직제도의 도입과 활용 기반 113
나. 육아휴직제도 사용 실적 139
다. 육아휴직에 따른 어려움과 대체인력 활용 141
라. 육아휴직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관련 제도 인지도 153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및 가족돌봄휴직제도의 현황 166
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166
나. 가족돌봄휴직제도 188
다. 가족돌봄휴가제도 195
라. 가족돌봄 등을 위한 근로시간 단축제도 203
3. 직장보육시설 설치 현황 224
V. 유연근로 및 일하는 문화 229
1. 유연근로제도 231
2. 일하는 문화 286
VI. 남녀고용 평등기회 315
VII. 향후과제 363
1. 조사 개선방안 265
2. 정책 개선방안 366
참고문헌 369
부록 37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3년 기준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