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 주요 내용과 우리의 대응 방향

제47대 미합중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취임 당일(2025년 1월 20일)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America First Trade Policy)’ 각서(Memorandum)를 발표했다. 교역의 상호성(Reciprocity) 보장을 위해 재무·상무·국무·국토안보 장관 등에 미국의 무역·통상 전략 및 정책의 전면적 점검과 개편을 주문한 바, 이는 짧게 보면 과거 30년의 중화권 중심 제조업 공급망의 확장을, 길게 보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무역기구(WTO) 체제로 대표되는 공급망 세계화 추세의 종언이자 국제무역 질서가 70여 년 만에 맞이하는 새로운 이정표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보호
무역주의 혹은 국제분업구조의 재편 사이 어딘가에 위치하게 될 세계 무역 체제의 미래상과 그 함의를 감히 예단
키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새로운 질서 아래 우리 기회요인의 극대화를 위한 국가적 산업·통상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다. 이를 위해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의 세부 내용과 2024년 연방 총선이 신행정부와 양원에 내린 ‘명령’을 검토한 후, 한국의 새로운 산업·통상 전략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출처: 산업연구원)

목차

1. 서론 45

2.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 45

3. 국제분업구조 대전환기, 한국의 대응 방향 56

4. 시사점: 능동적·공격적 접근 강화 59

해시태그

#트럼프관세 # 미국관세 # 한국경제 # 무역정책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 주요 내용과 우리의 대응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