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북관계의 변화가 예상되었으나, 아직까지 큰 진전이 없다.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측 주요 당국자들이 북한을 핵국가로 지칭하며 대화 시그널을 발신하고 있지만, 북한은 여전히 소극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특히 한미연합훈련에 대해 북한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당분간 미북 간 대화 재개를 기대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북대화의 불씨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첫째, 트럼프 대통령이 여전히 김정은과의 관계 재구축을 위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기존 외교 관행에 얽매이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태를 고려할 때, 파격적인 방식으로 돌파구를 모색하려 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추구함으로써, 중북·중러 관계 강화에 집중하던 북한 대외전략 여건이 변화하고 있다. 북한으로서도 미국의 진의 타진 필요성이 존재한다. 셋째, 러우전쟁 종전 이후 러시아가 한반도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가능성도 있다. 문제는 미국이 조기 성과 도출을 위해 이른바 ‘스몰딜’을 추진할 가능성, 미북협상 과정에서 한국을 ‘패싱’할 우려 등이다. 물론 미북대화가 성사된다고 하더라도 북핵문제의 획기적 진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한국으로서는 미북관계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미북관계 변화는 한반도 안보환경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한국으로서는 러우 전쟁 종전 논의 동향은 물론, 미러·러북관계 변화에서부터 러시아의 전승절 준비동향에 이르기까지 미북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면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 또한 2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 리뷰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한미 간 정책 조율을 강화하여 우리의 의사가 미국의 대북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목차
표제지 1
목차 1
국문초록 2
대화 시그널을 발신하는 미국과 대화에 소극적인 북한 3
향후 미북관계 전망과 쟁점 5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북관계 평가와 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