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망 : 트럼프와 외교·안보 라인 주요 인사들의 발언을 중심으로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은 대화와 관여 및 정상회담 추진, 최대 압박 정책, 북한 비핵화 우선, 군축협상 불수용 등을 골자로 할 것으로 전망됨

□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중국을 미국에 대한 최대 위협으로 간주하여, 강경한 대중 정책을 실행할 것임
-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시급한 현안을 우선적으로 종결시키고자 할 것임
- 트럼프 대통령 본인이 공언한 바와 같이 임기 초반에 김정은과 개인적 관계를 이용해 북한과 대화를 시도하고 북한이 이에 응할 경우, 미북대화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음

□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대북 강경․압박 정책과 함께 대화․관여 정책을 병행할 것으로 예상됨
- 외교․안보 라인의 주요 인사가 대북 강경론자인 것으로 보아 1기 행정부의 최대 압박 정책을 재현할 가능성이 있음
- 김정은 정권을 상대로 한 대화와 관여 정책이 북한의 위협을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함
- 브라이언 휴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대변인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힘(2025.1.28.)
- 트럼프 행정부는 현 글로벌 전략 환경 속에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군축 협상을 수용하기 어려움 

□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 변형된 형태의 군축 협상을 모색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음
- 한국 정부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군축 협상 불수용, 유엔안보리 대북제재 강화 등 북한․북핵 문제의 기본 원칙을 유지하기 위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안보 라인과 긴밀하게 협의해야 함

 

목차

목차

트럼프 2기 행정부 대북정책 2

강력한 대중 압박과 북한 문제 우선순위 하락 2

대북 강경론자 중용과 최대 압박 정책 3

대화와 관여 및 정상회담 추진 3

북한 비핵화 우선 추진 4

군축협상 불수용 5

해시태그

#트럼프행정부 # 트럼프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망 : 트럼프와 외교·안보 라인 주요 인사들의 발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