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월 7일 발간한 경제동향 4월호에서 넉 달 연속 우리 경제에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함
- 대내외 수요 증가세가 축소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 인상으로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했다고 분석함
□ KDI는 미국의 관세인상으로 국제 통상 여건이 악화되면서 수출 하방 압력이 확대했다고 밝힘
-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세계경제 성장세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기업 심리가 위축되는 경향도 나타남
- 관세 인상 조치가 본격화하면 기업 심리가 더욱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함
□ 소비 부진흐름도 계속되어 1~2월 평균 소매 판매는 1.1% 감소하였으며,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3.4로 여전히 기준치(100)를 하회함
- 설비투자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통상 불확실성 등 수출 여건 악화로 하방 위험이 확대되는 상황임
- 고용 둔화도 지속되어 2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전월과 유사한 13만 6천 명을 기록하였고, 실업률 역시 모든 연령대에서 상승하였으며, 고용률 상승세도 완만해지는 모습을 보임
[출처] KDI, 넉 달째 '경기 하방위험 확대' 진단…'대외여건 급격 악화' (2025.04.07.) / 연합뉴스
- 대내외 수요 증가세가 축소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 인상으로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했다고 분석함
□ KDI는 미국의 관세인상으로 국제 통상 여건이 악화되면서 수출 하방 압력이 확대했다고 밝힘
-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세계경제 성장세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기업 심리가 위축되는 경향도 나타남
- 관세 인상 조치가 본격화하면 기업 심리가 더욱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함
□ 소비 부진흐름도 계속되어 1~2월 평균 소매 판매는 1.1% 감소하였으며,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3.4로 여전히 기준치(100)를 하회함
- 설비투자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통상 불확실성 등 수출 여건 악화로 하방 위험이 확대되는 상황임
- 고용 둔화도 지속되어 2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전월과 유사한 13만 6천 명을 기록하였고, 실업률 역시 모든 연령대에서 상승하였으며, 고용률 상승세도 완만해지는 모습을 보임
[출처] KDI, 넉 달째 '경기 하방위험 확대' 진단…'대외여건 급격 악화' (2025.04.07.) / 연합뉴스
목차
주요 경제지표
요약 및 평가
경제동향 주요지표
1. 국내총생산(2020년 불변가격)
2. 경기
3. 소비
4. 설비투자
5. 건설투자
6-1. 수출, 수입 및 교역조건
6-2. 경상수지 및 금융계정
7. 고용 및 임금
8. 물가
9-1. 금융시장 (I)
9-2. 금융시장 (II)
10. 부동산시장
11-1. 세계경제 동향 (I)
11-2. 세계경제 동향 (II)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KDI 경제동향 (202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