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북한 엘리트 내 권력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 장악을 중심으로

목차

표제지 1

목차 11

요약 4

Ⅰ. 북한정치에서 숙청이 사라진 이유는 15

Ⅱ. 체스트 버나드(C. Barnard)의 비공식조직이론 적용 20

1. 비공식조직과 공식조직의 상호의존성 20

2. 북한 엘리트 내 비공식조직 형성의 조건: 객관적 권위의 부여 22

Ⅲ.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와 진화 방식 27

1.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과정 27

가.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등장 27

나.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핵심 엘리트와 공식조직화 완성 29

2.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진화 방향: 갈등과 분열 32

가. 경제적 이권을 둘러싼 군부와의 갈등 32

나. 장성택 비공식조직 내의 분열 36

Ⅳ.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와 진화 방식 39

1.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39

가.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등장 39

나.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핵심 엘리트 현황 42

(1) 군부 엘리트 42

(2) 당과 검열기구 엘리트 44

다.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특성 51

2.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진화: 확장과 지속 53

가. 최룡해 비공식조직에 대한 견제 53

(1) 백두혈통 김여정의 견제 53

(2) 조직비서 조용원의 견제 55

나. 최룡해 중심의 '지배엘리트 단일후견체제' 확립 58

(1)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소속감과 결속력 강화 58

(2) 최룡해 중심의 '지배엘리트 단일후견체제'의 역설 60

Ⅴ. 결론 63

참고문헌 65

판권기 78

[표 1] 군부내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화 과정 44

[표 2] 당과 검열기구내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화 과정 50

[그림 1] 분석틀: 비공식조직과 공식조직의 상호의존성 21

[그림 2] 북한의 수령체제 작동원리 22

[그림 3] 김정일이 구상한 '지배엘리트 경쟁후견체제' 25

해시태그

#북한정치 # 북한권력구조 # NARS입법·정책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북한 엘리트 내 권력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 장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