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4
[제1세션_발표] 북한 정치: 2024년 평가 및 2025년 전망 / 곽길섭 7
Ⅰ. 개괄 7
Ⅱ. 정치분야 주목점 8
1. 북한이 밝힌 총평과 계획 9
2. 체킹 포인트 12
Ⅲ. 향후 변수 및 전망 20
1. 주요 계기와 변수 20
2. 전망 22
Ⅳ. 정책적 고려사항 24
참고문헌 26
[제1세션_토론] 북한 정치: 2024년 평가 및 2025년 전망 / 정준희 27
1. 2024년 북한정세 평가 27
1) 역사적인 전방위 노선 전환 27
2) 노선 전환 배경과 평가 28
3) 정치, 군사 부문 평가 31
2. 2025년 북한정세 전망 32
1) 노선 전환에 따른 불안정성 점증 32
2) 정치 이벤트와 당 대회 준비로 동원체제 강화 33
[제2세션_발표] 북한의 대남 적대정책 변화와 전망 / 정영철 36
1. 들어가며 36
2. 전원회의와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살펴본 북한 내부의 평가와 과제 37
3. 대외/대남관계에 대한 평가와 전망 44
4. 나가며 49
[제2세션_토론] 북한의 대남 적대정책 변화와 전망 / 김상범 52
[제3세션_발표] 북한 대외정책 ①: 트럼프 2기 출범과 북한의 대미전략 전망 / 김상기 68
Ⅰ. 들어가며 68
Ⅱ. 최근 북한의 대외정책 기조와 대외관계 69
Ⅲ.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망 74
Ⅳ. 북한의 대미정책과 북미협상 전망 79
Ⅴ. 맺음말 83
참고문헌 85
[제3세션_토론] 북한 대외정책 ①: 트럼프 2기 출범과 북한의 대미전략 전망 / 노규덕 88
1. 트럼프 1기 당시 트럼프-김정은 협상 경과 88
2. 트럼프 2기 미북 관련 동향 및 향후 전망 89
[제4세션_발표] 북한 대외정책 ②: 북러관계 지속 및 변화 전망 / 두진호 94
Ⅰ. 전략 상황 평가 94
1. 전황 분석 94
2. 북한 파병부대 상황 96
Ⅱ. 북한의 파병 실익과 추가 파병 가능성 98
1. 파병 실익 98
2. 러시아의 의도 및 추가 파병 가능성 100
Ⅲ. 북러 관계의 지속 가능성: 평가 및 전망 102
1. 리더십 103
2. 북러 신조약 이행력 104
3. 미러 관계 105
4. 미북 관계 107
Ⅳ. 시사점 및 우리의 대응 방향 108
[제4세션_토론] 북한 대외정책 ②: 북러관계 지속 및 변화 전망 / 안경모 110
북한의 국가 대전략: '편승'에서 '균형'으로의 재전환 110
균형전략의 확장과 북러관계의 급진전 113
2025년의 국가전략과 북러관계 전망 114
몇 가지 질문들 114
[제5세션_발표] 북한 경제: '경제발전 5개년계획' 성과 평가 및 전망 / 양문수 118
Ⅰ. 머리말 118
Ⅱ. 5개년계획의 주요 내용과 경과 119
1. 5개년계획의 주요 내용 119
2. 5개년계획의 경과 121
Ⅲ. 경제관리 정책 124
1. '중앙의 통일적 지도ㆍ관리 강화' 정책 124
2. 재정금융 정책 128
Ⅳ. '지방발전 20×10 정책' 130
1. '지방발전 20×10 정책'의 주요 내용 130
2. '지방발전 20×10 정책'의 특징 131
3. '지방발전 20×10 정책'의 파급효과 및 전망 134
Ⅴ. 경제지표를 통해 본 북한경제의 부문별 동향 137
1. 국가재정 동향 137
2. 북중무역 동향 138
3. 농업 동향 139
4. 시장 물가ㆍ환율 동향 141
Ⅵ. 5개년계획 종합평가 및 전망 145
1. 5개년계획 종합평가 145
2. 5개년계획 전망 149
[제5세션_토론] 북한 경제: '경제발전 5개년계획' 성과 평가 및 전망 / 최지영 152
1. 들어가며 152
2. 쟁점1: 지방 인민의 유인 제고를 위한 '지방발전 20×10 정책' 153
3. 쟁점2: 북한식 시장 사회주의 실험? '시장 억제화'에서 '시장 정보화'로 156
4. 나가며 159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간행도서목록 161
통일전략포럼 보고서/자료집 발간 목록 168
회원가입 안내 186
[제2세션_토론] 북한의 대남 적대정책 변화와 전망 / 김상범 54
〈표 1〉 적대적 두 국가관계 선언 이후 김정은 위원장의 대남 관련 발언 정리 54
[제3세션_발표] 북한 대외정책 ①: 트럼프 2기 출범과 북한의 대미전략 전망 / 김상기 71
〈표 1〉 북한의 양자 외교ㆍ교류 횟수: 2023.09.01~2024.11.30 71
〈표 2〉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 횟수: 미국 행정부 시기별 비교 78
[제4세션_발표] 북한 대외정책 ②: 북러관계 지속 및 변화 전망 / 두진호 95
〈표 1〉 양측 피해 현황 95
〈표 2〉 북러 관계의 지속 가능성 평가 108
[제4세션_발표] 북한 대외정책 ②: 북러관계 지속 및 변화 전망 / 두진호 98
〈그림 1〉 북한군 파병 동향 98
[제5세션_발표] 북한 경제: '경제발전 5개년계획' 성과 평가 및 전망 / 양문수 137
〈그림 1〉 국가 예산 수입ㆍ지출 증가율 추이(계획 기준) 137
〈그림 2〉 대북제재ㆍ코로나 이후 북중무역의 연도별 추이 139
〈그림 3〉 김정은 시대 북한의 식량생산 추이 140
〈그림 4〉 대북제재ㆍ코로나 이후 평양의 시장쌀값 및 달러환율 추이 14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4년 북한 정세 평가 및 2025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