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다가오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의 시대, 독일의 도전과 해결책은?

목차

표제지 1

목차 1

서론 2

(20세기 중후반) 독일 에너지 전환 정책의 태동기 4

(2000~2010년대) 새로운 에너지 정책 레짐의 등장 9

(2020~현재) 독일 에너지 전환의 현 주소 13

마무리하며 21

참고문헌 22

기후탄소 이슈레포트 25

겨울 축제도 동계 올림픽도 위기... 사라지는 눈과 얼음 26

2년에 한 번꼴 가뭄 왔다... 40년 뒤엔 '가을 가뭄'이 더 위험 29

〈표 1〉 독일 재생에너지 보조금 정책 9

〈표 2〉 독일 '에너지구상 2010(Energy Concept 2010)'의 중장기 목표 11

〈표 3〉 독일 에너지원별 실제 전력 발전량 14

[그림 1] 독일의 에너지정책 (1945~현재) 3

[그림 2] 독일 동서독 통일과 산업 중심지 4

[그림 3] 에센(Essen)에 위치한 졸페라인 탄광 - 현재는 폐쇄되어 관광지로 탈바꿈했다 5

[그림 4] 칼 암 마인(Kahl Am Main)에 위치한 독일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6

[그림 5] 유럽 하이브리드 해상풍력 프로젝트 추진 현황 17

[그림 6] 유럽 국가 간 연도별 전력거래 현황 (2021~2023) (TWh, 녹색(양수값)은 수출을, 빨간색(음수)은 수입을 의미) 20

이슈레포트 그림목차 26

[그림 1] 인제군 빙어호 26

[그림 2] 평창 동계올림픽 27

[그림 3] 고탄소 시나리오 21세기(2021~2100년) 봄/가을철 SEDI 가뭄지수 강도별 발생 횟수 분포 30

해시태그

#독일 # 에너지정책 # 재생에너지 # 에너지안보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다가오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의 시대, 독일의 도전과 해결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