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시리아와 수교했다.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조태열 외교장관과 알샤이바니(Assad al-Shaybani) 시리아 외교장관이 서명함으로써 탈냉전 35년 만에 외교의 빈 칸을 모두 채웠다. 북한과의 대를 이은 특수 관계로 그동안 한국에 외교의 문을 닫았던 시리아 아사드(Bashar al-Assad) 정권이 붕괴하고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수교의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아랍 문화의 본산이라 불리며 풍성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시리아와의 수교는 한국 외교의 중요한 성과다. 2024년 12월 8일 아사드 정부의 퇴진과 함께 빠른 속도로 구성된 알샤라(Ahmed Al-Shara) 대통령의 신정부 역시 한국과의 수교를 통해 국제사회의 지지를 획득하는 계기로 인식하고 있다. 금번 수교의 배경과 함의를 정리하였다.
(출처: 외교안보연구소)
(출처: 외교안보연구소)
목차
1. 배경: 시리아 통합 신정부 출범
2. 과제: 인도적 지원과 국가 재건 협력
3. 함의: 시리아 국내 정치 및 역내 지정학적 안정화 기여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한-시리아 수교의 배경과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