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글로벌 정상외교

목차

표제지 1

집필에 참여해 주신분 2

목차 5

I. 참여정부의 정상외교 개관 6

1. 정상외교란? 7

2. 참여정부 정상외교의 여정 8

II. 참여정부 글로벌 정상외교의 비전과 전략 18

1. 동맹 및 우방국들과의 미래지향적 협력관계 발전 19

2. 외교지평의 확대 19

3. 자원·에너지 확보 외교 22

4. 세계 중심국가로 도약하는 정상외교 25

III. 글로벌 정상외교의 성과 28

1.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평화체제 구축 외교 29

2. 동북아시대를 위한 균형적 실용외교 35

가. 한미 동맹의 포괄적·역동적·미래지향적 발전 35

나.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 구축 42

다. 한·중간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심화 발전 55

라. 한·중·일 동북아 3국간 협력 58

마. 한·러간 실질협력 관계 강화 64

3. 지역별 특성화 외교 70

1) 아주지역 70

2) 구주지역 75

3) 아중동 지역 100

4) 중남미 지역 109

5) 오세아니아 지역 112

4. 세계로 나아가는 다자 정상외교 114

1) APEC 정상회의 114

2) 유엔 총회 정상회의 123

3) ASEM 정상회의 130

4) ASEAN+3 정상회의 138

5) 한·ASEAN 정상회의 139

5)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143

6) 한국·중미통합체제(SICA) 정상회의 144

5. 선진통상국가 구현을 위한 경제외교 147

가. 본격적인 동시다발적 FTA 협상 진행 148

나. FTA 공동연구 진행 및 완료 152

다. 기타 FTA 여건 조성: 중국, 한·중·일 154

6. 세계로 나아가는 선진외교 155

가. 국제 안보책임의 분담 155

나. 국제적 기여의 증대 159

7.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한 투자형 정상외교 162

가. 21세기 자원고갈의 시대와 정상외교 162

나. 지역 특성화 에너지·자원외교 165

8. 유엔 사무총장 진출을 위한 정상외교 178

IV. 참여정부 글로벌 정상외교의 평가 184

1. 정상외교의 양적인 증대 184

2. 명실상부한 전방위 정상외교의 시현 185

3. 의전보다는 내실에 중점을 둔 정상외교 186

4.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한 비즈니스 정상외교 189

5. 다자 무대에서의 주도적 역할 190

부록 : 주요 정상회의 결과 문서 192

뒷표지 316

해시태그

#한국외교 # 정상외교 # 참여정부 # 노무현정부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글로벌 정상외교